목차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 폐렴이란
■ 폐렴의 원인
■ 페렴의 위험인자
■ 원인에 따른 폐렴의 분류
■ 폐렴의 증상
■ 폐렴의 진단
■ 폐렴의 합병증
■ 폐렴의 치료법
■ 폐렴의 간호
■ 폐렴의 예후
Ⅱ.본론
1. 대상자 사정
1) 일반적 사정
2) 건강력
3) 신체적 사정
4) 신체 검진
2. 진단검사
3. 약물
4. 간호진단
진단 #1. 폐조직의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비 효율적 체온조절
진단 #2. 발열이나 빈호흡과 동반되는 체액소실 증가, 호흡곤란과 동반되는 수분섭취 감소 등으로 인한 체액부족의 위험성
진단 #3. 노랗고 끈끈한 분비물로 나타나는 폐의 염증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진단 #4. 칭얼거림, 짜증으로 나타나는 낯선 입원환경과 관련된 불안
진단 #5. 식욕저하, 신체 활동 감소와 관련된 변비의 위험성
Ⅲ.결론
문헌고찰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 폐렴이란
■ 폐렴의 원인
■ 페렴의 위험인자
■ 원인에 따른 폐렴의 분류
■ 폐렴의 증상
■ 폐렴의 진단
■ 폐렴의 합병증
■ 폐렴의 치료법
■ 폐렴의 간호
■ 폐렴의 예후
Ⅱ.본론
1. 대상자 사정
1) 일반적 사정
2) 건강력
3) 신체적 사정
4) 신체 검진
2. 진단검사
3. 약물
4. 간호진단
진단 #1. 폐조직의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비 효율적 체온조절
진단 #2. 발열이나 빈호흡과 동반되는 체액소실 증가, 호흡곤란과 동반되는 수분섭취 감소 등으로 인한 체액부족의 위험성
진단 #3. 노랗고 끈끈한 분비물로 나타나는 폐의 염증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진단 #4. 칭얼거림, 짜증으로 나타나는 낯선 입원환경과 관련된 불안
진단 #5. 식욕저하, 신체 활동 감소와 관련된 변비의 위험성
Ⅲ.결론
문헌고찰
본문내용
배출하기가 쉽다고 설명드리고 수분섭 취를 권장한다.
- 아이에게는 물먹는 것을 보여 주면서 “아~ 맛있다! ”라고 하며 물먹는 것을 재 미 있게 생각하도록 한다
아이가 심하게 기침을 할 시에는 흉부를 지지해주라고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최대의 환기가 가능한 상태의 체위를 취해주어야 한다고 말씀드린다.
보호자에게 체위변경과 흉부배액, 타진을 설명드리고 격려한다.
-환아에게 식탕용 상에 앉아서 그림그리기를 시키고 앉아서 그림책을 보고,소꿉 놀이를 하도록 했다.(좌위, 반좌위를 취함)
-폐부위를 타진하기 위하여 패드를 댄 약컵을 이용하여서 또는 가볍게 주먹을 쥔 손으로 가슴과 등을 두드리는 시범을 보이고 교육하였다
숨을 크게 들이마시고 크게 내뱉는 심호흡을 보여주고 따라하게 한다.
▶평가
보호자께서 가래가 많이 나왔고 기침도 많이 줄어들었다고 말씀하셨다.
아이가 돌아다니고 뛰어다니는 것을 좋아해서 침상에 앉아있는 체위는 자주 적용 하지 못했다.
시간이 날 때 마다 보호자가 주먹으로 가볍게 가슴과 등을 두드려 주는 모습을 관찰 할수 있었다.
비강의 분비물이 많이 줄어든 것을 볼수 있었다.
아이에게 “이제 숨쉬는게 괜찮아요?”라고 묻자 고개를 끄덕이며 웃어주었다.
진단 #4. 칭얼거림, 짜증으로 나타나는 낯선 입원환경과 관련된 불안
▶과학적 근거
집안에서만 자란 아이들은 병원이란 환경이 낯설게 느껴지고 처음하는 치료들에 대해 경계심을 갖고 두려워 하며 공포심을 가질수 있다.
▶합리적 근거
“이모.. 나 그거 안해!”
\"으아앙...“
“애가 의사선생님들만 보면 겁에 질려..”
이번이 입원한 것이 처음이라고 말씀하셨다.
처음 입원했을 당시 v/s도 체크하기 어려울정도로 불안해 하고 무서워 하는 모습을 보였다.
체온만 쟤려고 해도 경계심을 보이고, 나가지 않고 병실안에만 있으려고 하 는 경향을 보였다.
▶간호 목표
병원환경과 치료에 잘 적응 할수 있도록 친근감 있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 하여 아이의 불안을 없애고 의료진과 치료에 협조적이 될 수 있다.
▶기대 결과
환아가 이모가 무섭지 않다고 말한다.
환아가 가진 불안감을 최소로 줄일수 있다.
병실밖으로 나와서 밝게 뛰어 놀수 있다.
▶간호 중재
병원 실내를 돌아다니면서 구경시켜 주었고, 다른 병실에 있는 같은 또래 친구 2명을 소개시켜 준다.
원래 쓰던 베개와 이불을 가지고 와서 사용하고, 집에서 가지고 놀던 장난감과 책등을 가지고 와서 사용하도록 한다.
치료시에 옆을 떠나지 않고 우는 아이를 잡아준다거나 달래거나 하는식으로 지지해준다.
병실에 들어갈 때 마다 말을 붙이고 머리를 쓰다 듬어 주는등 신체적 접촉을 많이 해본다.
▶평가
아이에게 이모가 아직도 무섭냐고 묻자 그냥 씩 웃으며 껌을 주었다.
병실밖으로 나와서 친구들과 노는 모습을 관찰 할수 있었다.
먼저 “이모 안녕~” 하면서 말을 건네고 표정이 밝아진 것을 볼수 있었다.
진단 #5. 식욕저하, 신체 활동 감소와 관련된 변비의 위험성
▶과학적 근거
입원에 대한 스트레스와 질병과정으로 인해 아동의 식욕, 섭취가 불량하게 된다. 식욕이 저하됨으로 인해 섭취량이 적어져 장운동이 저하되면 변비가 나타날 수 있다.
▶합리적 근거
\"애가 배가 빵빵 하네“
“똥 잘싸던 앤데, 며칠째 안누네..”
입원전에는 이틀에 한번씩은 꼭 변을 봤다고 하셨는데 입원하고 나서 3일짼 데 아직 변을 못봤다고 한다.
복부가 약간은 딱딱하고 볼록하게 촉진되었다.
▶간호 목표
식욕이 증진되고 규칙적으로 배변할수 있다.
▶기대 결과
구강섭취량이 증가 하고 운동량이 증가한다.
배변후 복부가 말랑 말랑 하게 만져진다.
▶간호 중재
평상시에 배변습관을 확인해본 결과 이틀에 한번정도라고 말씀하셨다.
- 입원하고 나서 3일동안 한번도 변을 보지 못했다고 한다.
수분섭취를 권장하고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고 교육한다.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을 물어보니 우유나 다른 유제품이라고 하셔서 그런종류의 것들을 많이 먹이라고 말씀드렸다.
아이의 배를 손으로 살살 문질러 마사지 하도록 하고 그래야지 장의 운동이 활발 해져서 아이가 배변할수 있게 된다고 말씀드린다.
안정을 취해야 한다고 너무 침상에만 있으면 장의 운동이 감소 되기 때문에 변비 가 올수 있다고 말씀드리고 가급적이면 조금씩 걸어서 병동을 돌아다니라고 격려 한다.
▶평가
먹는 것은 많이 늘었으나 아직은 변을 보지는 못했다고 말씀하셨다.
할머니와 같이 병동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모습을 관찰 할수 있었다.
Ⅲ.결론
대상자인 김○○아이는 내원하기 1주전부터 cough 있었으나 대수롭지 않게 생각 하고 있다가 3일전부터는 fever까지 동반되어 local에서 치료 받았으나 계속 호전이 없어서 11월 3일 ER을 통해 입원하게된 아이였다. 입원당시 V/S은 110/70 - 100 - 34 - 38.5。C로 체크 되었고 주증상은 기침과 고열, 가래 였다.
입원 내내 BT는 2시간 마다 체크 하였으며 v/s과 I/O는 8시간 마다 체크 하였다. 또한 매일 매일 체중을 쟤서 기록하였다.
그리고 네블라이져를 적용하여 객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 대상자에게 적용하였던 간호진단은
#1. 폐조직의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비 효율적 체온조절
#2. 발열이나 빈호흡과 동반되는 체액소실 증가, 호흡곤란과 동반되는 수분 섭취 감 소 등으로 인한 체액부족의 위험성
#3. 노랗고 끈끈한 분비물로 나타나는 폐의 염증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4. 칭얼거림, 짜증으로 나타나는 낯선 입원환경과 관련된 불안
#5. 식욕저하와 관련된 변비
이렇게 5가지 였다. 그중 진단 #1, #3, #4는 평가가 그런대로 괜찮았던 것 같다.
체온은 36.7。 c 정도로 유지되었고, 객담이나 콧물도 많이 줄어서 호흡하는데도
어려움이 없었다. 그리고 입원환경에 대한 불안도 나중에는 먼저 나를 보고 인사할
정도로 많이 친숙해지고 적응을 했던 것 같다.
문헌고찰
소아과학 홍창의편 완전개정 7판 / 2002년 2월 20일 출판 / 대한 교과서 (주)
639p-640p
2002 Korean Drug handbook / 노환성/ 약업신문
250p,227p,3p,116p
- 아이에게는 물먹는 것을 보여 주면서 “아~ 맛있다! ”라고 하며 물먹는 것을 재 미 있게 생각하도록 한다
아이가 심하게 기침을 할 시에는 흉부를 지지해주라고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최대의 환기가 가능한 상태의 체위를 취해주어야 한다고 말씀드린다.
보호자에게 체위변경과 흉부배액, 타진을 설명드리고 격려한다.
-환아에게 식탕용 상에 앉아서 그림그리기를 시키고 앉아서 그림책을 보고,소꿉 놀이를 하도록 했다.(좌위, 반좌위를 취함)
-폐부위를 타진하기 위하여 패드를 댄 약컵을 이용하여서 또는 가볍게 주먹을 쥔 손으로 가슴과 등을 두드리는 시범을 보이고 교육하였다
숨을 크게 들이마시고 크게 내뱉는 심호흡을 보여주고 따라하게 한다.
▶평가
보호자께서 가래가 많이 나왔고 기침도 많이 줄어들었다고 말씀하셨다.
아이가 돌아다니고 뛰어다니는 것을 좋아해서 침상에 앉아있는 체위는 자주 적용 하지 못했다.
시간이 날 때 마다 보호자가 주먹으로 가볍게 가슴과 등을 두드려 주는 모습을 관찰 할수 있었다.
비강의 분비물이 많이 줄어든 것을 볼수 있었다.
아이에게 “이제 숨쉬는게 괜찮아요?”라고 묻자 고개를 끄덕이며 웃어주었다.
진단 #4. 칭얼거림, 짜증으로 나타나는 낯선 입원환경과 관련된 불안
▶과학적 근거
집안에서만 자란 아이들은 병원이란 환경이 낯설게 느껴지고 처음하는 치료들에 대해 경계심을 갖고 두려워 하며 공포심을 가질수 있다.
▶합리적 근거
\"으아앙...“
“애가 의사선생님들만 보면 겁에 질려..”
처음 입원했을 당시 v/s도 체크하기 어려울정도로 불안해 하고 무서워 하는 모습을 보였다.
체온만 쟤려고 해도 경계심을 보이고, 나가지 않고 병실안에만 있으려고 하 는 경향을 보였다.
▶간호 목표
병원환경과 치료에 잘 적응 할수 있도록 친근감 있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 하여 아이의 불안을 없애고 의료진과 치료에 협조적이 될 수 있다.
▶기대 결과
환아가 이모가 무섭지 않다고 말한다.
환아가 가진 불안감을 최소로 줄일수 있다.
병실밖으로 나와서 밝게 뛰어 놀수 있다.
▶간호 중재
병원 실내를 돌아다니면서 구경시켜 주었고, 다른 병실에 있는 같은 또래 친구 2명을 소개시켜 준다.
원래 쓰던 베개와 이불을 가지고 와서 사용하고, 집에서 가지고 놀던 장난감과 책등을 가지고 와서 사용하도록 한다.
치료시에 옆을 떠나지 않고 우는 아이를 잡아준다거나 달래거나 하는식으로 지지해준다.
병실에 들어갈 때 마다 말을 붙이고 머리를 쓰다 듬어 주는등 신체적 접촉을 많이 해본다.
▶평가
아이에게 이모가 아직도 무섭냐고 묻자 그냥 씩 웃으며 껌을 주었다.
병실밖으로 나와서 친구들과 노는 모습을 관찰 할수 있었다.
먼저 “이모 안녕~” 하면서 말을 건네고 표정이 밝아진 것을 볼수 있었다.
진단 #5. 식욕저하, 신체 활동 감소와 관련된 변비의 위험성
▶과학적 근거
입원에 대한 스트레스와 질병과정으로 인해 아동의 식욕, 섭취가 불량하게 된다. 식욕이 저하됨으로 인해 섭취량이 적어져 장운동이 저하되면 변비가 나타날 수 있다.
▶합리적 근거
“똥 잘싸던 앤데, 며칠째 안누네..”
복부가 약간은 딱딱하고 볼록하게 촉진되었다.
▶간호 목표
식욕이 증진되고 규칙적으로 배변할수 있다.
▶기대 결과
구강섭취량이 증가 하고 운동량이 증가한다.
배변후 복부가 말랑 말랑 하게 만져진다.
▶간호 중재
평상시에 배변습관을 확인해본 결과 이틀에 한번정도라고 말씀하셨다.
- 입원하고 나서 3일동안 한번도 변을 보지 못했다고 한다.
수분섭취를 권장하고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고 교육한다.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을 물어보니 우유나 다른 유제품이라고 하셔서 그런종류의 것들을 많이 먹이라고 말씀드렸다.
아이의 배를 손으로 살살 문질러 마사지 하도록 하고 그래야지 장의 운동이 활발 해져서 아이가 배변할수 있게 된다고 말씀드린다.
안정을 취해야 한다고 너무 침상에만 있으면 장의 운동이 감소 되기 때문에 변비 가 올수 있다고 말씀드리고 가급적이면 조금씩 걸어서 병동을 돌아다니라고 격려 한다.
▶평가
먹는 것은 많이 늘었으나 아직은 변을 보지는 못했다고 말씀하셨다.
할머니와 같이 병동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모습을 관찰 할수 있었다.
Ⅲ.결론
대상자인 김○○아이는 내원하기 1주전부터 cough 있었으나 대수롭지 않게 생각 하고 있다가 3일전부터는 fever까지 동반되어 local에서 치료 받았으나 계속 호전이 없어서 11월 3일 ER을 통해 입원하게된 아이였다. 입원당시 V/S은 110/70 - 100 - 34 - 38.5。C로 체크 되었고 주증상은 기침과 고열, 가래 였다.
입원 내내 BT는 2시간 마다 체크 하였으며 v/s과 I/O는 8시간 마다 체크 하였다. 또한 매일 매일 체중을 쟤서 기록하였다.
그리고 네블라이져를 적용하여 객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 대상자에게 적용하였던 간호진단은
#1. 폐조직의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비 효율적 체온조절
#2. 발열이나 빈호흡과 동반되는 체액소실 증가, 호흡곤란과 동반되는 수분 섭취 감 소 등으로 인한 체액부족의 위험성
#3. 노랗고 끈끈한 분비물로 나타나는 폐의 염증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4. 칭얼거림, 짜증으로 나타나는 낯선 입원환경과 관련된 불안
#5. 식욕저하와 관련된 변비
이렇게 5가지 였다. 그중 진단 #1, #3, #4는 평가가 그런대로 괜찮았던 것 같다.
체온은 36.7。 c 정도로 유지되었고, 객담이나 콧물도 많이 줄어서 호흡하는데도
어려움이 없었다. 그리고 입원환경에 대한 불안도 나중에는 먼저 나를 보고 인사할
정도로 많이 친숙해지고 적응을 했던 것 같다.
문헌고찰
소아과학 홍창의편 완전개정 7판 / 2002년 2월 20일 출판 / 대한 교과서 (주)
639p-640p
2002 Korean Drug handbook / 노환성/ 약업신문
250p,227p,3p,116p
추천자료
폐렴(pneumonia)에 대한 케이스 CASE
성인간호학 내과병동 - pneumonia case study
[간호학]폐렴(pneumonia)환자 사례 보고서
간호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폐렴(뉴모니아), pneumonia
폐렴 케이스 Pneumonia Case Study [성인간호] 진단명 : Pneumonia, DM , HTN, CRF
[소아과 케이스 컨퍼런스 (Case Conference)] 폐렴 (pneumonia)
내과중환자실) Pneumonia case study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케이스 case study 사례연구 pneumonia
폐렴 Aspiration pneumonia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