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D Ca, ampullary ca, ERCP , , 담도암(담관암) CBD cancer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BD Ca, ampullary ca, ERCP , , 담도암(담관암) CBD cancer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CBD cancer>
1. 정의 및 개요
2. 원인
3. 병태생리 및 증상
4. 담도암의 진단
5. 담도암의 분류
6. 중재

<Ampullary cancer>
1. 개요
2. 동의어
3. 정의
4. 증상
5. 원인, 병태 생리
6. 진단
7. 치료 및 예후
8. 합병증
9. 치료
10. 예방법

<ERCP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사진포함
1. 검사의 개요
2.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
3. 검사 전 준비사항
4. 검사 순서
5. 시술 후 주의사항
6. 합병증
7.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환자
8. 추가 검사 및 처치

Ⅱ. 본론-환자정보

Ⅲ. 진단적 검사 및 결과

Ⅳ. 간호과정

본문내용

ent monitoring: TV 200~250, peak pr: 40
(setting: TV 450, RR 20회/min, PEEP 10, FiO2 0.8)
-V/S: BP 179/88(105), HR 124bpm. BT 37.6℃, RR 30회/min
-peripheral SpO2 86~88%관찰됨
간호진단
객담증가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청결
간호목표
-호흡수와 SpO2 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vent setting에 맞는 적정 TV이 관찰된다.
-효율적으로 객담을 배출시킨다.
간호계획

수행
간호계획
① 호흡수와 호흡양상, 호흡음을 사정한다.
② 매 4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 ETT통해 suction을 시행함으로 객담을 배출시킨다.
④ suction전 100%산소를 투여한다.
⑤ suction시 진동법, 타진법, 체위배액법 등을 시행한다.
⑥ 객담양상, 양, 색깔을 관찰한다.
⑦ 효율적인 객담배출을 위해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⑧ suction시 SpO2와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찰한다.
⑨ 규칙적으로*필요시 suction을 시행한다.
간호수행
① 호흡수와 호흡양상, 호흡음을 사정하였다.
② 매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③ ETT통해 suction을 시행하였다.
④ suction전 100%산소를 투여하였다.
⑤ suction시 진동법과 타진법을 시행하였다.
⑥ 객담양상, 양, 색깔을 관찰하였다: purulent&thick secretion 다량 관찰됨.
⑦ 효율적인 객담 배출을 위해 체위변경을 시행하였다.
⑧ suction시 SpO2와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찰하였고 SpO2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⑨ 2시간간격으로 체위변경과 함께 suction을 시행하였고 객담 증가시 suction을 시행하였다.
평가
① suction후 SpO2 95%, RR 24회/min관찰됨.
② lumg sound는 여전히 crackles
③ suction시 purulent&thick secrestion다량 관찰됨.
④ vent monitoring: TV 430~480, Peak pr 18~22
⑤ 기침하는 모습은 줄어들고 호흡양상 안정적임.
★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객관적 자료
-V/S: BP 179/88(105), HR 124bpm. BT 37.6℃, RR 30회/min
-CRP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대상자의 체온은 2시간 이내 정상체온 범위로 떨어질 것이다.
대상자는 정상범위의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수행
간호계획
① 2시간 마다 v/s을 측정해 변화양상을 사정한다.
② 고열로 인한 증상을 관찰한다.
③ 오한이 동반되지 않은 발열증상이 있을 땐 미온수로 몸을 닦아주거나 얼음주머니를 제공하고, 오한이 동반 된 발열증상이 있을 땐 담요를 덮어 보온한다.
④ 처방된 수액을 정맥으로 투여한다.
⑤ 처방된 항생제, 해열제를 투여한다.
⑥ 처방된 검사를 시행한다.
⑦ 서늘하고 조용한 환경을 유지한다.
⑧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간호수행
① 2시간 마다 V/S을 측정해 변화양상을 사정하였다.
② 오한이 동반되지 않은 발열증상이 관찰되어 담요를 벗기고 ICE PACK을 등 뒤에 제공했다.
③ 처방된 항생제(hanomycin, mebapenem)를 투여하였다.
④ 처방된 blood culture(peripherla*2, central*1)를 시행하였다.
⑤ blood culture시행 후 처방된 해열제 denogan 1g/NS 100ML IV시행하였다.
⑥ 담요를 벗겨 서늘한 환경을 유지하였다.
⑦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 하였다.
평가
① 2시간 뒤 체온 37.2℃, 4시간 뒤 체온 36.8℃ 관찰됨
②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함.
★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객관적 자료
- LOC is coma
- 침상안정 상태임.
간호진단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간호목표
대상자는 피부통합성을 유지할 것이다.
욕창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수행
간호계획
① 욕창호발 부위를 자주 사정한다.
② 부동으로 인한 피부압박을 예방하기 위해 2시간 간격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③ 충분한 영양을 공급한다.
④ 피부를 건조하지 않게 유지한다.
간호수행
① 체위변경 시 마다 욕창 호발부위를 사정하였다.
② 2시간 간격으로 체위변경을 시행하였다.
③ 수액(영양제)과 경관영양으로 영양을 공급하였다.
④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기 위해 로션을 바르고 젖은 린넨류는 즉시 교환하였다.
평가
2시간 간격으로 체위변경 유지함.
피부는 건조하지 않게 유지됨
욕창은 관찰되지 않음.
★PTBD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객관적 자료
- 10/25 T.B/D.B 5.18/4.55로 상승되어 abd.CT F/U후 PTBD시술 시행함.
PTBD Drain유지중임.
간호진단
PTBD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목표
PTBD시술 부위는 감염의 징후 없이 Clear하게 유지 될 것이다.
간호계획

수행
간호계획
① 활력징후를 규칙적으로 측정한다.
② 시술부위의 dressing상태를 자주 사정하고 매일 dressing시행한다.
③ dressing교환 시 무균법을 철저히 지킨다.
④ 혈액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확인한다.
⑤ PTBD bag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⑥ dressing이 견고하게 유지되며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⑦ drainage를 비우고 입구는 알콜솜으로 닦는다.
간호수행
① 2시간 간격 활력징후를 규칙적으로 측정해 체온변화를 모니터 하였다.
② PTBD 부위 dressing상태를 자주 관찰하고 매일 dressing을 시행하였다.
③ dressing교환 시 무균법을 철저히 지켰다.
④ 혈액검사를 실시하고 검사결과를 매일 확인 하였다.
⑤ PTBD bag은 항상 바닥에 닿지 않도록 고정하였다.
⑥ dressing상태가 깨끗하게 유지되었다.
⑦ 배액백을 비우고 입구는 항상 알콜솜으로 닦았다.
평가
- V/S: BP 179/88(105), HR 124bpm. BT 37.6℃, RR 30회/min
->해열제 투여 후 BT 37.2℃
- CRP
- PTBD시술부위 Dressing상태는 clear하다.
- PTBD bag은 바닥에 닿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4.11.19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91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