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과실
2. 객관적 주의의무의 제한원리로써 신뢰의 원칙
3. 의료행위에 있어서 신뢰의 원칙의 적용
4. 수평적 의료분업과 신뢰의 원칙
2. 객관적 주의의무의 제한원리로써 신뢰의 원칙
3. 의료행위에 있어서 신뢰의 원칙의 적용
4. 수평적 의료분업과 신뢰의 원칙
본문내용
나 간호조무사에게 주사케하는 경우에도 주사할 위치나 방법 등에 관한 적절하고 상세한 지시를 함과 함께 스스로 그 장소에 입회하여 주사시행과정에서의 환자의 징후 등을 계속 주시하면서 주사가 잘못없이 끝나도록 조치하여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판시하였다. 다만 간호사가 진료의 보조를 함에 있어서는 모든 행위 하나하나마다 항상 의사가 현장에 입회하여 일일이 지도감독하여야 한다고 할 수는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의사가 진료의 보조행위 현장에 입회할 필요 없이 일반적인 지도감독을 하는 것으로 족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고 판시한 판례도 있다.
의사와 조수간호사 등 보조자 사이, 전문의와 일반의수련의 사이, 주치의와 야간당직의사 사이처럼 지휘감독관계에 있는 경우 등 수직접 분업관계에는 신뢰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의사와 조수간호사 등 보조자 사이, 전문의와 일반의수련의 사이, 주치의와 야간당직의사 사이처럼 지휘감독관계에 있는 경우 등 수직접 분업관계에는 신뢰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키워드
추천자료
신뢰의 원칙과 부진정부작위범
[의료사고][의료소송][의료사고 유형][의료사고 사례][의료소송 사례][의료사고 예방방안]의료사고의 유형과 의료사고 사례, 의료소송 사례 분석 및 의료사고의 예방 방안 분석(의료사고, 의료소송)
[전략적간호관리] 2022년 기말시험 과제물, 간호학과 4학년
간호사의 잘못된 수혈로 인한 환자 사망사건
(방송통신대 간호윤리와법 기말과제물) 비밀유지의 의무를 소홀히 하여 발생한 간호과실의 임상적 사례를 제시하고 예방법과 대처법에 관하여 기술하시오 허가면허 위임먼허 의료분쟁해결제도 간호의 윤리적 개념 등
의료사고와 의료분쟁
(사회복지)의약분업정책에 대한 고찰
(4대 중증질환 정책 개선방안) 4대 중증질환 현재정책내용, 건강보험, 재난적 의료비, 4대 중증질환 복지정책, 4대 중증질환 복지정책 문제점, 4대 중증질환 정책 한계점, 4대 중증질환 정책 개선방안
[의료정책]우리나라 의료환경 변화와 1차의료의 현황 및 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