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형학 연구보고서 - 서울의 화강암 지형과 함께하는 순성놀이 (서울의 화강암 지형, 한양도성과 순성놀이, 문제제기, 한양도성길 답사 결과, 안내시설 설치 유력 스팟)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형학 연구보고서 - 서울의 화강암 지형과 함께하는 순성놀이 (서울의 화강암 지형, 한양도성과 순성놀이, 문제제기, 한양도성길 답사 결과, 안내시설 설치 유력 스팟)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서울의 화강암 지형
 (2) 한양도성과 순성놀이
 (3) 문제제기
 (4) 한양도성길 답사 결과
 (5) 안내시설 설치 유력 스팟
3. 결론

본문내용

상시키지 않고 지형을 그대로 따라가며 만들어졌다.”라는 가이드북의 설명은 부족하기 그지없다. 지형적 설명, 나아가 도성 주변의 화강암 지형을 또 다른 콘텐츠로 이용한다면 역사·문화적으로 편중된 한양도성의 콘텐츠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아래 표는 답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만약 서울시에서 지형적인 설명을 담은 안내시설을 설치한다고 가정하여 지형적 가치가 뛰어난 네 곳을 선정한 결과이다.
지역
선정 이유
현장 사진
인왕산 초입
(화강암의 마술과 옛 조상의 지혜가 합쳐진 예술 작품)
지표로 드러난 핵석과 그것을 활용하여 위로 설치된 성곽을 관찰할 수 있다.
인왕산 정상부
(바위처럼 단단한 북현무의 위엄)
내사산의 전체 모습과 앞으로 올라갈 북악산의 화강암 암체를 관찰할 수 있다.
북악산 성곽 곡장부
(산줄기가 흘러
서울을 만들다.)
북한산의 암체와 산자락이 북악으로 이어지는 지세를 관찰할 수 있다.
남산 잠두봉포토아일랜드
(산이라는 병풍에 둘러쌓인 서울)
코스가 끝나기 전에 내사산의 전체 모습을 마지막으로 볼 수 있는 곳이다.
도성 주변과 내사산에는 이미 많은 국내외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도심에서 짧고 굵은 등산을 원하는 사람들은 인왕산과 북악산으로, 대학로의 젊음과 이화동의 벽화를 느끼기 위해 낙산으로, 드라마가 촬영된 서울의 멋진 전경을 보기 위해 남산으로 모여들고 있다. 만약 한양도성이 세계유산에 정식 등재된다면 더 많은 관광객들이 몰릴 것이다. 이것은 관광객들의 요구사항, 즉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는다는 말과 동일하다. 그럴수록 한양도성이라는 값을 매기기 힘든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한다. 그 방안 중의 하나로 서울의 지형에 대한 내용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은, 아니 알리려 노력하지 않았던 지리적 요소를 내세운다면 새로운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논문 및 단행본>
권동희, 2012, 한국의 지형, 한울아카데미
권동희, 2006, 지리이야기, 한울
김도형, 2010, 순성의 즐거움 서울성곽 600년을 걷다, 효형출판
서울시 문화관광디자인본부 한양도성도감, 2014, 서울 한양도성 가이드북,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2012, 서울 한양도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를 위한 학술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
이현군, 2009, 옛 지도를 들고 서울을 걷다, 청어람미디어
전우용, 2008, 서울은 깊다, 돌베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1.06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1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