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형이다.
<불암산 그루브>
모두 풍화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잔존지형이다. 사진처럼 단단한 화강암에 홈이 움푹 파여 있는 것을 보고 있노라면 그야말로 영겁의 세월이 느껴진다. 이 그루브는 빗물에 의해 침식받은 지형으로 알려져 있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시키지 않고 지형을 그대로 따라가며 만들어졌다.”라는 가이드북의 설명은 부족하기 그지없다. 지형적 설명, 나아가 도성 주변의 화강암 지형을 또 다른 콘텐츠로 이용한다면 역사·문화적으로 편중된 한양도성의 콘텐츠의 다양성을 확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형과 다양한 화강암 지형들 -
(1) 들어가며
(2) 비슬산의 다양한 화강암 지형들
1) 핵석(돌알, core stone)과 석비레(푸석바위, saprolite)
2) 토르(탑바위, tor)
3) 주빙하기후 지형 - 암괴류(돌강)와 애추(너덜지대,너덜겅)
4) 판상절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형이 대체로 그러한 지형에 해당한다. 특히 낙동강 상류지역에서는 저위평탄면이 함창(80~90m 내외)에서 예천(120M 내외)을 거쳐 안동(170m 내외)이나 영주(200m) 지역으로 가면서 점점 고도가 높아져 구릉형태로 분포하고 있다.
☞ 화강암지역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8.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형학(제4판), 법문사, 1999
강인준, 측량지형정보공학(1), 문운당, 2000
강대현 외, 자연지리학, 교학연구사, 1987
김우관, 지형학, 형설출판사, 2000
장재훈, 한국의 화강암 침식지형,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한명덕 외 8인, 지형 및 기상, 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