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순성놀이란?
- 구간별 답사 내용 정리
- 결론
- 순성놀이란?
- 구간별 답사 내용 정리
- 결론
본문내용
로 올라가는데 오르막 계단이 끝없이 펼쳐졌다. 눈에 꽉 차게 들어오는 N서울타워에 금방 도착할 것처럼 보였지만 20분은 더 걸어 가야하는 현실에 매우 짜증이 나기도 했다. 또 중국인들은 뭐이렇게 많이 놀러 왔는지 타워 근처에선 여기가 한양도성인지 만리장성인지 구분이 되지 않을 정도였다. 아무튼 헥헥거리며 올라간 남산에서 서울을 내려다보니 오늘 걸었던 모든 곳이 한 눈에 보였다. 이제 숭례문으로 내려가기만 하면 되니 개운함도 느낄 수 있었다. 해가 지기 전에 빨리 하산을 시작했다.
하산길 중간에선 한창 공사 중인 옛 남산식물원과 남산도서관, 안중근의사 기념관, 백범광장을 차례로 볼 수 있었다. 이곳은 바로 1920년대 일제가 남산신궁을 지었던 자리이기도 하다. 지금은 예전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지만 식물원의 평지, 백범광장으로 가는 길에 ‘삼순이 계단’으로도 유명한 긴 계단 등을 보면 이곳이 신궁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복원공사가 더 진행되면 이곳에도 성곽이 들어선다고 하니 나중에 또 한 번 와야겠다.
SK빌딩과 힐튼호텔을 지나 내려오면서 순성놀이를 마쳤다. 10시 30분에 걷기 시작해서 오후 5시 30분에 도착했으니 식사시간을 제외하면 6시간 정도 걸렸다. 걷는 속도가 남들보다 빨라서 시간은 적게 걸렸지만 그만큼 체력이 빨리 닳았다. 이렇게 실제로 한양도성을 직접 보니 수백 년이 지나도 잘 남아있는 모습에 기뻤고, 흔적도 없이 사라진 모습에 안타까웠다. 서울시에서는 한양도성을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려고 바쁘게 움직인다고 하는데 현재 사라진 부분을 과연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등재의 가부가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덧붙여서 도성길 주변에 안내판이 좀 더 많았으면 하는 생각도 들었다. 나는 가이드북을 들고 가서 길이나 문화재를 쉽게 찾았지만 그렇지 않았다면 도성길을 따라 걷기도 힘들었을 것 같다. 이런 점까지 신경을 써준다면 참 고마울 것 같다.
참고자료
<논문 및 단행본>
권동희, 2012, 한국의 지형, 한울아카데미
권동희, 2006, 지리이야기, 한울
김도형, 2010, 순성의 즐거움 서울성곽 600년을 걷다, 효형출판
서울시 문화관광디자인본부 한양도성도감, 2014, 서울 한양도성 가이드북,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2012, 서울 한양도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를 위한 학술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
이현군, 2009, 옛 지도를 들고 서울을 걷다, 청어람미디어
전우용, 2008, 서울은 깊다, 돌베개
하산길 중간에선 한창 공사 중인 옛 남산식물원과 남산도서관, 안중근의사 기념관, 백범광장을 차례로 볼 수 있었다. 이곳은 바로 1920년대 일제가 남산신궁을 지었던 자리이기도 하다. 지금은 예전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지만 식물원의 평지, 백범광장으로 가는 길에 ‘삼순이 계단’으로도 유명한 긴 계단 등을 보면 이곳이 신궁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복원공사가 더 진행되면 이곳에도 성곽이 들어선다고 하니 나중에 또 한 번 와야겠다.
SK빌딩과 힐튼호텔을 지나 내려오면서 순성놀이를 마쳤다. 10시 30분에 걷기 시작해서 오후 5시 30분에 도착했으니 식사시간을 제외하면 6시간 정도 걸렸다. 걷는 속도가 남들보다 빨라서 시간은 적게 걸렸지만 그만큼 체력이 빨리 닳았다. 이렇게 실제로 한양도성을 직접 보니 수백 년이 지나도 잘 남아있는 모습에 기뻤고, 흔적도 없이 사라진 모습에 안타까웠다. 서울시에서는 한양도성을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려고 바쁘게 움직인다고 하는데 현재 사라진 부분을 과연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등재의 가부가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덧붙여서 도성길 주변에 안내판이 좀 더 많았으면 하는 생각도 들었다. 나는 가이드북을 들고 가서 길이나 문화재를 쉽게 찾았지만 그렇지 않았다면 도성길을 따라 걷기도 힘들었을 것 같다. 이런 점까지 신경을 써준다면 참 고마울 것 같다.
참고자료
<논문 및 단행본>
권동희, 2012, 한국의 지형, 한울아카데미
권동희, 2006, 지리이야기, 한울
김도형, 2010, 순성의 즐거움 서울성곽 600년을 걷다, 효형출판
서울시 문화관광디자인본부 한양도성도감, 2014, 서울 한양도성 가이드북,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2012, 서울 한양도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를 위한 학술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
이현군, 2009, 옛 지도를 들고 서울을 걷다, 청어람미디어
전우용, 2008, 서울은 깊다, 돌베개
추천자료
지형학 연구보고서 - 서울의 화강암 지형과 함께하는 순성놀이 (서울의 화강암 지형, 한양도성과 순성놀이, 문제제기, 한양도성길 답사 결과, 안내시설 설치 유력 스팟)
(한국문화자원의 이해1 A형) 강의나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문화자원 중 관광적 가치가 크다고 생각하는 자원을 하나 선택하여 아래의 작성기준을 준수하여 과제물을 작성하시오
ICT 수업 지도안
동국대 역사교양강의 과제물 - 서울의 고려시대 유적 탐구 (북한산의 고려시대 유적 답사기)
문화 콘텐츠 과제 종로 관광 경험 설문조사 및 대안과 기대효과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B형] 강의나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문화자원 중 한곳을 직접 방문한 후 아래의 작성기준을 준수하여 과제물을 작성하시오
(한국문화자원의 이해1 B형) 강의나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문화자원 중 한곳을 직접 방문한 후 아래의 작성기준을 준수하여 과제물을 작성하시오
정도전의 사상과 건국이념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의미,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역사,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원칙과 체계화,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정감록,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풍수지리설,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주택 및 제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