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문헌고찰
1) 원인
2) 종류
(1)세균성 뇌막염 Bacterial meningitis
(2)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Aseptic meningitis
3) 치료와 간호
II. 간호사정
I. 일반적 배경
II. 건강력
III. 신체사정 및 건강상태 사정
III. 임상검사 및 약물
1. 임상검사
1) Hematology
2) Urinalysis
3) Urine sediment(flowcyto metry) 요침사검사
4) Blood Chemistry
5) 기타 혈액 검사
6) 기타검사
2. 투약
1) Tridol
2) Brufen Syrup
3) Domperidone suspension
4) Amiceta
5) Cefotaxime
6) D-Mannitol
IV. 간호과정
1. 간 호 진 단
□ 간 호 계 획
□ 간 호 수 행
□ 간 호 평 가
1) 원인
2) 종류
(1)세균성 뇌막염 Bacterial meningitis
(2)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Aseptic meningitis
3) 치료와 간호
II. 간호사정
I. 일반적 배경
II. 건강력
III. 신체사정 및 건강상태 사정
III. 임상검사 및 약물
1. 임상검사
1) Hematology
2) Urinalysis
3) Urine sediment(flowcyto metry) 요침사검사
4) Blood Chemistry
5) 기타 혈액 검사
6) 기타검사
2. 투약
1) Tridol
2) Brufen Syrup
3) Domperidone suspension
4) Amiceta
5) Cefotaxime
6) D-Mannitol
IV. 간호과정
1. 간 호 진 단
□ 간 호 계 획
□ 간 호 수 행
□ 간 호 평 가
본문내용
간이 날 때면 왔다갔다하면서 갈아주었고, 부채질을 하여 시원한 환경이 되도록 도와주었다.
발한으로 인한 피부노폐물을 즉시 미온수를 수건에 적셔 닦아주어 청결한 피부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와주었다.
3. 탈수 증상 (요량 감소, 피부·점막의 건조, 불안 상태에서 의식 저하, 중증이면 혈압 저하, 혼수) 을 사정하고, 그에 관하여 수분섭취를 왜 해야하는지 보호자에게 설명했으며, 수분섭취에 도움이 되도록 물통에 항상 미지근한 물을 갈아주었다.
-07.29 평소보다 조금 적게 소변을 본 것 같다고 했으며, 색이 진한 노란색이었다고 했다. 그러나 07.30일에는 평소와 비슷하게 소변을 보았다고 했으며, GCS를 통한 의식저하를 사정했을 때 ~07.30일까지 15점 만점으로 정상이었으며 혈압 저하는 보이지 않았다.
07.30
~
07.31
처방명
단위
횟수
Cefotaxime 1g/vial
1VI
q8 (6A,2P,10P)
IVS
+ Normal Saline inj. 20ml/amp 0.5AM
4. UTI를 염려하여 RUA검사 확인 후 항생제를 결정하였으며, 항생제 반응 검사 후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 간 호 평 가
진단번호
평가날짜
평 가 내 용
1
XXX.
07.30
1. 07.30일 05:20에 잠깐 열(36.7℃)이 떨어졌으나, 다시 38℃이상 15:10까지 유지되었다. 이에 해열제인 Brufen Syrup과 Amiceta를 번갈아가며 3회 투여하였고, 그 결과 17:00 이후로는 38℃이하를 계속 유지하였으므로 단기목표 1번이 달성되었다.
3. 수분섭취에 관하여 설명했으나 환자가 한 입씩 조금씩 먹을 뿐 이행하지 않았다.
2. 간 호 진 단
번 호
발생날짜
간 호 진 단
해결날짜
서 명
2
XXX.07.29
두통
<<객관적자료>>
7/29일 NRS 사정 결과 8점
<<주관적자료>>
“머리 아파요”
“머리가 아플 때는 발로 침대를 차며 안절부절못하고 얼굴이 살짝 붉어져요(보호자)”
duty 전 퇴원으로 중단됨
□ 간 호 계 획
진단번호
단 기 목 적
간 호 지 시
2
1. 대상자는 3일이내(08.01)
NRS를 0점이라고 표현한다.
2. 통증을 완화하는 비치료적 방법을 2가지 이상 수행할 수 있다.
3. 혈압 및 맥박수,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1. 통증을 매일 사정한다.
1-1. 통증의 발생부위, 지속기간, 특성, 악화/완화요인, 정도를 매일 사정한다. (대상자의 통증의 정도를 사정해서 이에 따른 수행을 위하여)
1-2. 통증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였다.
(통증을 말로 표현함으로써 그 느낌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2. 통증을 완화하는 비치료적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2-1. 관심전환요법: 독서, TV시청 등
2-2. 이완요법: 천천히 규칙적인 호흡, 평안했던 과거 회상, 음악듣기
(전환술로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로의 수용량이 감소하여 통증지각이 감소됨)
2-3.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주고, 편안한 체위를 취하실 수 있도록 도와준다. (편안한 환경과 체위는 신체적으로 이완됨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킴.)
3. Vital을 8시간마다 측정한다.
(통증시 혈압이 상승하고 맥박수와 호흡수가 증가하기 때문)
4. 뇌압상승을 예방하기 위해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머리가 더 이상 아프지 않다고 말한다
□ 간 호 수 행
진단번호
수행날짜
수 행 내 용
2
XXX.07.29
~
07.31
07.29
NRS 두통 8점
07.30
NRS 두통 7점
07.31
NRS 어지러움 3점 (생활에 지장없다 함)
1. 통증을 매일 duty에 맞추어 1회 사정했다. 통증의 발생부위, 지속기간, 특성, 악화/완화요인, 정도를 매일 사정(위의 두통사정참고) 해보았다.
2. 관심전환요법이 좋은 이유를 설명하였으며, 네이버 웹툰에 만화를 봤고 게임을 즐겨하였으며, TV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하지만 전자파로 인해 두통이 더 생길 수 있으므로 머리가 멍하다 싶을 시 그만두고 어머니와 대화를 하거나 잠을 좀 자는 등 쉴 수 있는 다른 것을 하도록 설명하였다. 두통이 있을 시 커텐을 쳐 살짝 어두운 분위기와 병실 문을 닫아 조용한 환경을 조성해주었으며, 최대한 스트레스 받지 않고 안정을 취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하였고, 시간이 날 때 마다 대화를 하였다.
3. 8시간마다 Vital을 측정해 보았으며, 체온은 07.30 저녁시간 이후 정상범위로 다른 맥박, 호흡, 혈압은 모두 정상범위로 측정되었다.
4. 뇌압상승을 예방하기 위해 뇌압강하제를 처방하여 8A,2P,8P,2A에 infusion pump를 사용하여 투여하였다.
07.30
처방명
단위
횟수
D-Mannitol 15% 250ml/bt
65ML
q6(8A,2P,8P,2A)
IV(Fulldrop)
3-1. Mannitol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설명하였다.
□ 간 호 평 가
진단번호
평가날짜
평 가 내 용
2013.07.31
1. 07.31 어지러움 NRS상으로 측정해보았을 때 3점으로 호소하였으므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2. 비치료적 방법을 2가지 이상 사용하셨으므로 <단기목표 2번>이 달성되었다
-대상자는 “누워서 게임 할 때 가장 안 아파요” 라고 말하였다.
3. 8시간마다 Vital을 측정하였을 때, 혈압, 맥박수, 호흡수 모두 정상범위를 유지하였으므로 <단기목표 3번>은 달성되었다.
4. Mannitol은 두 개내압 상승에 대해 예방차원에서 투여한다고 설명하였으며, 삼투압에 의해 두 개강내의 용액을 혈관으로 이동시켜 이뇨작용을 일으킨다고 설명하였다. 효과는 15분 이내 나타나고 8시간동안 지속되고 흉통, 저혈압, 심계항진, 빈맥, 설사, 오심, 구토, 구내염, 두통, 비염, 요저류 등으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얘기하고, 체온을 측정할 때마다 그 증상 또한 체크하였으나 정상이었다.
참고문헌
[아동청소년간호학] 신광출판사 -이자형, 김희숙 외 3명 저
[성인간호학] 현문사 (하권) -전시자 외(2010)
[건강사정] 현문사 -이강이 외
[손쉽고 편리한 아동간호진단] 현문사 -조결자, 송지호, 유일영 외 1명 저
[약리학 개론] 현문사 -서유현, 김혜선, 예상규, 유경상 공역
발한으로 인한 피부노폐물을 즉시 미온수를 수건에 적셔 닦아주어 청결한 피부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와주었다.
3. 탈수 증상 (요량 감소, 피부·점막의 건조, 불안 상태에서 의식 저하, 중증이면 혈압 저하, 혼수) 을 사정하고, 그에 관하여 수분섭취를 왜 해야하는지 보호자에게 설명했으며, 수분섭취에 도움이 되도록 물통에 항상 미지근한 물을 갈아주었다.
-07.29 평소보다 조금 적게 소변을 본 것 같다고 했으며, 색이 진한 노란색이었다고 했다. 그러나 07.30일에는 평소와 비슷하게 소변을 보았다고 했으며, GCS를 통한 의식저하를 사정했을 때 ~07.30일까지 15점 만점으로 정상이었으며 혈압 저하는 보이지 않았다.
07.30
~
07.31
처방명
단위
횟수
Cefotaxime 1g/vial
1VI
q8 (6A,2P,10P)
IVS
+ Normal Saline inj. 20ml/amp 0.5AM
4. UTI를 염려하여 RUA검사 확인 후 항생제를 결정하였으며, 항생제 반응 검사 후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 간 호 평 가
진단번호
평가날짜
평 가 내 용
1
XXX.
07.30
1. 07.30일 05:20에 잠깐 열(36.7℃)이 떨어졌으나, 다시 38℃이상 15:10까지 유지되었다. 이에 해열제인 Brufen Syrup과 Amiceta를 번갈아가며 3회 투여하였고, 그 결과 17:00 이후로는 38℃이하를 계속 유지하였으므로 단기목표 1번이 달성되었다.
3. 수분섭취에 관하여 설명했으나 환자가 한 입씩 조금씩 먹을 뿐 이행하지 않았다.
2. 간 호 진 단
번 호
발생날짜
간 호 진 단
해결날짜
서 명
2
XXX.07.29
두통
<<객관적자료>>
7/29일 NRS 사정 결과 8점
<<주관적자료>>
“머리 아파요”
“머리가 아플 때는 발로 침대를 차며 안절부절못하고 얼굴이 살짝 붉어져요(보호자)”
duty 전 퇴원으로 중단됨
□ 간 호 계 획
진단번호
단 기 목 적
간 호 지 시
2
1. 대상자는 3일이내(08.01)
NRS를 0점이라고 표현한다.
2. 통증을 완화하는 비치료적 방법을 2가지 이상 수행할 수 있다.
3. 혈압 및 맥박수,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1. 통증을 매일 사정한다.
1-1. 통증의 발생부위, 지속기간, 특성, 악화/완화요인, 정도를 매일 사정한다. (대상자의 통증의 정도를 사정해서 이에 따른 수행을 위하여)
1-2. 통증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였다.
(통증을 말로 표현함으로써 그 느낌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2. 통증을 완화하는 비치료적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2-1. 관심전환요법: 독서, TV시청 등
2-2. 이완요법: 천천히 규칙적인 호흡, 평안했던 과거 회상, 음악듣기
(전환술로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로의 수용량이 감소하여 통증지각이 감소됨)
2-3.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주고, 편안한 체위를 취하실 수 있도록 도와준다. (편안한 환경과 체위는 신체적으로 이완됨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킴.)
3. Vital을 8시간마다 측정한다.
(통증시 혈압이 상승하고 맥박수와 호흡수가 증가하기 때문)
4. 뇌압상승을 예방하기 위해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머리가 더 이상 아프지 않다고 말한다
□ 간 호 수 행
진단번호
수행날짜
수 행 내 용
2
XXX.07.29
~
07.31
07.29
NRS 두통 8점
07.30
NRS 두통 7점
07.31
NRS 어지러움 3점 (생활에 지장없다 함)
1. 통증을 매일 duty에 맞추어 1회 사정했다. 통증의 발생부위, 지속기간, 특성, 악화/완화요인, 정도를 매일 사정(위의 두통사정참고) 해보았다.
2. 관심전환요법이 좋은 이유를 설명하였으며, 네이버 웹툰에 만화를 봤고 게임을 즐겨하였으며, TV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하지만 전자파로 인해 두통이 더 생길 수 있으므로 머리가 멍하다 싶을 시 그만두고 어머니와 대화를 하거나 잠을 좀 자는 등 쉴 수 있는 다른 것을 하도록 설명하였다. 두통이 있을 시 커텐을 쳐 살짝 어두운 분위기와 병실 문을 닫아 조용한 환경을 조성해주었으며, 최대한 스트레스 받지 않고 안정을 취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하였고, 시간이 날 때 마다 대화를 하였다.
3. 8시간마다 Vital을 측정해 보았으며, 체온은 07.30 저녁시간 이후 정상범위로 다른 맥박, 호흡, 혈압은 모두 정상범위로 측정되었다.
4. 뇌압상승을 예방하기 위해 뇌압강하제를 처방하여 8A,2P,8P,2A에 infusion pump를 사용하여 투여하였다.
07.30
처방명
단위
횟수
D-Mannitol 15% 250ml/bt
65ML
q6(8A,2P,8P,2A)
IV(Fulldrop)
3-1. Mannitol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설명하였다.
□ 간 호 평 가
진단번호
평가날짜
평 가 내 용
2013.07.31
1. 07.31 어지러움 NRS상으로 측정해보았을 때 3점으로 호소하였으므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2. 비치료적 방법을 2가지 이상 사용하셨으므로 <단기목표 2번>이 달성되었다
-대상자는 “누워서 게임 할 때 가장 안 아파요” 라고 말하였다.
3. 8시간마다 Vital을 측정하였을 때, 혈압, 맥박수, 호흡수 모두 정상범위를 유지하였으므로 <단기목표 3번>은 달성되었다.
4. Mannitol은 두 개내압 상승에 대해 예방차원에서 투여한다고 설명하였으며, 삼투압에 의해 두 개강내의 용액을 혈관으로 이동시켜 이뇨작용을 일으킨다고 설명하였다. 효과는 15분 이내 나타나고 8시간동안 지속되고 흉통, 저혈압, 심계항진, 빈맥, 설사, 오심, 구토, 구내염, 두통, 비염, 요저류 등으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얘기하고, 체온을 측정할 때마다 그 증상 또한 체크하였으나 정상이었다.
참고문헌
[아동청소년간호학] 신광출판사 -이자형, 김희숙 외 3명 저
[성인간호학] 현문사 (하권) -전시자 외(2010)
[건강사정] 현문사 -이강이 외
[손쉽고 편리한 아동간호진단] 현문사 -조결자, 송지호, 유일영 외 1명 저
[약리학 개론] 현문사 -서유현, 김혜선, 예상규, 유경상 공역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골다공증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미숙아 (Premature infant)
급성 췌장염 케이스 스터디(Acute pancreatits 케이스, Acute pancreatits CASE STUDY, Acute...
아동간호실습 급성기관지염 + 인두염 케이스 발표 자료
폐암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3 - 폐암 간호과정 폐암 폐암 케이스 스터디 폐암 case study)
급성중이염 케이스,급성중이염case, 중이염 case,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선천성 담도폐쇄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A++ 보장 아동간호학 실습 케이스스터디 - 폐렴
A+받은 자료 BURN CASE STUDY 화상 케이스 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