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혁명가극(革命歌劇)의 태동과 발전 [요약] _ 서연호 & 이강렬 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단행본 혁명가극(革命歌劇)의 태동과 발전 [요약] _ 서연호 & 이강렬 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혁명가극이란 무엇인가

2. 5대 혁명가극이란 무엇인가
 1) 대표적 혁명가극 <피바다>
 2)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3) 혁명가극 <밀림아 이야기하라>
 4)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5) 혁명가극 <금강산의 노래>

본문내용

노래>는 김일성의 사회주의 현실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특히 사회주의 애국주의 교양을 위해 만들어져 공연된 작품이다.
이 가극작품의 내용은 일제통치의 암담한 시기에 나라 없는 죄로 생이별을 하였던 황석민 일가에 대한 것으로 그들이 사회주의 제도 안에서 20여년만에 다시 만나는 것을 줄거리로 하고 있다. 혁명가극 <금강산의 노래>는 결국 북한의 사회주의 제도에 대한 자랑인데 이러한 제도를 김일성이 세웠으며 이것이 자신들의 행복과 조국번영의 원천이 된다는 것이다.
혁명가극 <금강산의 노래>는 <피바다>식 가극 창작의 원칙에 입각하고 있기에 그 형식에서도 인민성과 민족적 특성, 통속성을 구현하여 작품을 주제사상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음악에서도 <피바다>식 가극 창작원칙에 입각하여 절가와 방창을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방창에 주제가 <금강산의 노래>와 <목련꽃의 노래>, <달빛 밝은 이 밤에> 등 새로운 방창수법들이 도입되어 묘사수단으로써 그 기능을 최대한 살렸다.
무대 미술이나 무용을 작품의 주제사상적 내용에 맞게 다양하게 활용하는 데 있어서 <피바다>식 가극 창조에서의 제반 원칙적 요구에 철저히 입각하여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5대 혁명가극 외에도 북한에는 많은 혁명가극이 있는데 그중에서 대표적인 것을 든다면 1974년에 만들어진 <한 자위단의 운명>을 들 수 있다. 혁명가극 <한 자위단의 운명>은 일제와 조선인민 사이의 민족적이고 계급적 모순이 극도로 첨예화된 1930년대의 식민지 반봉건 사회의 축도이다. 모든 혁명가극이 그러하듯이 <한 자위단의 운명>역시 <피바다>식 가극 창작원칙에 입각하여서 모든 형식적인 원칙을 지키고 있다. 또 그 내용에 있어서도 허구적 이상과 김일성의 우상화에 초점을 맞춘다.
이처럼 혁명가극은 그 형식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스토리 역시 제한성을 갖고 있는데, 항일과 김일성에 의한 해방이라는 도식에 충실하고 있다. 그리고 작품의 등장인물은 한결같이 긍정적 인물에 대한 부정적 인물의 대비로 일관된다. 대립관계를 통해 모순을 보다 교육적인 쪽으로 유도해 낼 수 있고 긍정적인 인물은 보다 선명하게 부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1970년대 이후에 김일성의 혁명적 대작과 가계의 우상화라는 교시에 따라 만들어진 혁명가극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창작이론에 입각하여 집체적 창작방법에 의해 만들어지며, 표본적인 혁명가극으로써의 <피바다>식이 등장하게 되었고, 이로써 그들의 가극시대가 시작되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1.20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4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