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우신염 케이스스터디 (1)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우신염 케이스스터디 (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정보조사지
2. 건강력
3. 검사
4. 평가
5. Intake & Output
6. 투약
7.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Ⅲ.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reathing Pattern)
영역4. 활동/휴식 과4. 심혈관/호흡기계반응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가슴이 답답해요.”
“말을 못 하겠어요.”
객관적
자료
SpO2 88%
wheezing
95세
간호목표
<단기>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SpO2 90% 이상으로 확인된다.
<장기>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호흡곤란의 양상을 보이지 않는다.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SpO2를 사정한다.
9/26 16:50
9/26 17:10
9/26 17:40
9/27 09:00
9/27 17:00
SpO2
88
95
100
95
97
1. SpO2 관찰을 통해 치료 경과를 파악할 수 있다.
2. 호흡을 도울 수 있는 체위를 취해준다.
→ Head up position 유지함
2. 체위에 따라 효율적인 호흡을 할 수 있다.
3. 의사 처방에 따라 산소를 투여한다.
→ 의사 처방에 따라 O2 4L/min Nasal cannula 적용함
3. 산소 제공을 통해 호흡곤란 증상을 완화 시킨다.
4. 대상자에게 호흡법을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격려한다.
→ 이야기하지 말고 코로 숨 들이마시고 입으로 후 내뱉도록 심호흡을 격려함, pursed-lip 호흡법 설명함
4. 오므린 입술 호흡법은 기도폐색에 따른 공기의 흡입을 줄여 효율이 좋은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5. 처방된 호흡기계 약물을 투여한다.
→ Nebulizer 요법으로 Ventolin 1A, Atrovent UDV 1A 투여함
5. 흡입식 약물은 좁아진 기도를 개방시키고, 끈끈한 분비물을 액화시키고, 기도 내의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평가
<단기>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SpO2 90% 이상으로 확인된다. (달성)
→ 9/27 17:00 SpO2 97% 확인되었다.
<장기>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호흡곤란의 양상을 보이지 않는다. (달성)
→ 퇴원 시 대상자는 호흡곤란의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간호진단
3. 전신쇠약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Risk for Falls)
영역11. 안전/보호 과2. 신체적손상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몸에 힘이 안 들어가요..”
“어머니가 일어서면 불안해요. 넘어질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전신허약감 있음
95세
Morse Fall Scale 35점
09/24
09/25
09/27
10/02
Hb
▼11.1
▼11.1
▼10.6
▼9.6
RBC
▼3.78
▼3.63
▼3.65
▼3.29
Hct
▼31.4
▼30.4
▼30.2
▼28.2
간호목표
<단기> 대상자는 3일 이내 낙상 예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장기>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낙상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1.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낙상 예방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 침대 난간을 항상 올려두기, 이동 시 미끄럼 방지 신발 신기, 보호자가 항상 상주할 것, 침대 고정 시키기 등을 교육함
1. 낙상 위험요인과 낙상 예방법에 대해 교육함으로써 낙상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2. 주변 환경을 점검하고 낙상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한다.
→ 주변 환경을 점검했으나 낙상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은 없었음
2. 이동보조기구(지팡이, 보행기, 휠체어 등)의 부적절한 사용과 유지는 낙상 위험을 증가시킨다.
3. 침상의 side rail을 항상 올려둔다.
→ side rail을 올렸으며 침상 바퀴를 고정함
3. side rail을 올려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4. 대상자를 혼자 두지 않게 하고, 옆에 항상 보호자가 상주할 수 있도록 한다.
→ 보호자가 항상 대상자 곁에서 상주하며 대상자를 관찰함
4. 보호자가 상주함으로써 위험 요소를 줄일 수 있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5. 침상에 낙상 위험의 경고문을 붙인다.
→ 대상자 입원 시에 경고문을 부착함
5. 낙상 위험성의 경고문을 붙이거나 손목에 눈에 띄는 색의 낙상 주의 손목밴드를 착용시키는 것은 낙상 위험성이 있는 대상자를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게 한다.
평가
<단기> 대상자는 3일 이내 낙상 예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달성)
→ 대상자는 낙상 예방법을 2개 이상 말했다.
<장기>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낙상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달성)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Ⅲ. 느낀점
이번 실습 기간에 연휴가 나흘이나 끼어있어 실제로 환자를 직접 본 기간은 3일 정도였다. 그마저도 너무 바빠 정규 바이탈 측정 시간과 BST 측정 시간 외에는 잘 보지 못 하였다. 학교에서 성인간호학 수업을 들을 때 가장 재밌게 공부했던 부분이 신장과 투석 내용이었기 때문에 이번 실습이 기대가 많이 됐는데 연휴가 길게 끼어있어 환자들을 오랫동안 보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특히 가장 아쉬웠던 점이 투석 환자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투석 전후 간호나 투석에 대해 자세히 배우지 못한 점이었다. 이 환자는 신우신염이라는 진단을 보고 케이스 주제로 선정하였는데 연휴 동안 퇴원을 하셔서 마지막까지 못 본 것도 아쉬웠으나 문헌고찰과 사례보고서를 통해 질병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해볼 수 있는 시간이 있었어서 다행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실습기간 동안 간간히 신장내과 환자들의 간호를 볼 수 없었던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의미 있는 시간이었던 것 같다. 이 케이스 대상자는 침대에 누워 있는 것 말고는 겉으로 보기에 말씀도 잘 하시고 정신도 명료하셔서 괜찮아 보였는데, 랩 결과를 보니 정상수치를 벗어난 결과가 여럿 보였다. 그래서 환자를 직접 보는 것보다 환자의 랩 검사 결과나 간호기록지 등을 먼저 살펴보아 환자를 파악하는 것이 더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음 실습 때는 이번 실습을 경험 삼아 더 많이 배울 수 있는 환경을 직접 찾고 만들 수 있는 학생간호사가 되어야겠다고 느꼈다.
Ⅳ. 참고문헌
유혜영. 제3판. 알기쉬운 사람해부학. 현문사. 2019
유양숙 외. 제8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22
서울아산병원, ‘급성 신우신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3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25.01.13
  • 저작시기202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19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