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I. 보건의료팀의 정의와 보건의료팀과 협력을 위해 필요한 기본자질 3
1. 보건의료팀의 정의 3
1) 보건의료인 3
2) 보건의료팀의 정의 3
2. 보건의료팀과의 협력을 위해 필요한 기본 자질 3
1) 보건의료분야의 직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3
2) 의사소통 기술 4
II. 건강증진과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보건의료팀과의 협력사례 요약 4
3. 긍정적 사례 4
1) 다학제 진료의 사례 4
① ooo병원 다학제 진료 사례 5
② ooo병원의 다학제 치료 사례 5
2) 약국, 의료기관의 협력으로 연휴기간 진료공백 개선 6
3) 병원 내 장기이식 TFT팀 구성 7
4. 부정적 사례 7
*해외긴급구호대의 국제보건기구 긴급의료팀의 네팔지진 파견사례 7
3. 사례질환 정리 8
3) 다학제가 이루어지는 oo센터의 암질환 8
4) 재해발생(지진)시 질환 및 간호의 범위 9
III. 느낀 점 9
※ 출처 각페이지 각주 표시
I. 보건의료팀의 정의와 보건의료팀과 협력을 위해 필요한 기본자질 3
1. 보건의료팀의 정의 3
1) 보건의료인 3
2) 보건의료팀의 정의 3
2. 보건의료팀과의 협력을 위해 필요한 기본 자질 3
1) 보건의료분야의 직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3
2) 의사소통 기술 4
II. 건강증진과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보건의료팀과의 협력사례 요약 4
3. 긍정적 사례 4
1) 다학제 진료의 사례 4
① ooo병원 다학제 진료 사례 5
② ooo병원의 다학제 치료 사례 5
2) 약국, 의료기관의 협력으로 연휴기간 진료공백 개선 6
3) 병원 내 장기이식 TFT팀 구성 7
4. 부정적 사례 7
*해외긴급구호대의 국제보건기구 긴급의료팀의 네팔지진 파견사례 7
3. 사례질환 정리 8
3) 다학제가 이루어지는 oo센터의 암질환 8
4) 재해발생(지진)시 질환 및 간호의 범위 9
III. 느낀 점 9
※ 출처 각페이지 각주 표시
본문내용
에 어려움을 겪었고 팀원들간의 갈등상황에 직면하기도 하였다. 또한 진료 외에 회의나 물류에 관련해서도 업무를 나누다 보니 업무가 과중해지고 적절히 휴식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지 못한다고 하였다. 실제로 업무를 마치고 하루정도의 휴식을 가지고 본국에서의 업무로 돌아가야 하므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 해외긴급구호대의 응급의료팀이 다른 단체와 협업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재난을 대처하는 사전교육 필요성 토로 : 해외긴급구호대의 활동을 하게 되었을 때 필연적일 수 있는 부분이지만 네팔 응급의료 활동 중 여진을 겪게 되면서 불안감과 충격을 받고 스스로 안전하지 않다고 느낀 이들도 있었다.
사례질환 정리
1) 다학제가 이루어지는 고대구로병원 대장암센터의 암질환(대장암 정리) 국가 암정보센터 대장암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6470&cid=60406&categoryId=60406#TABLE_OF_CONTENT2
대장암 :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
발생 위치에 따라 : 결장에 생기면 결장암, 직장에 생기면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직장암이라고 함.
대장암의 대부분은 대장 점막 샘세포에서 발생하는 선암(腺癌, 샘암)으로, 양성 종양인 선종성 용종(茸腫, polyp)에서 유래한다고 알려졌다.
선암 이외에도 림프종, 신경내분비종양(유암종, 類癌腫, carcinoid), 평활근육종(平滑筋肉腫) 등이 원발성으로, 즉 다른 병의 결과가 아니라 그 자체로 생길 수 있다. 대장의 림프종은 전체 소화관의 악성 종양 중 1% 미만이며, 소화관 림프종 중에서는 10~20%를 차지한다.
신경내분비종양(유암종) : 위장관과 췌장, 난소, 폐 등의 신경내분비세포에서 발생하여 서서히 자라는 종양인데, 충수(충양돌기)와 직장에 주로 생기며 대부분 증상이 없다. 전이되거나 악성으로 유암종 증후군을 일으키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평활근육종이란 내장이나 혈관 따위의 벽을 이루는 평활근 즉 민무늬근에 생기는 육종(비상피성 조직에서 유래하는 악성 종양)이다.
대장에도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이라는 매우 드문 악성 종양이 생기는 수가 있다.
증상 : 복통, 혈변, 배변습관 이상(변비, 설사 모두)이 대장암의 주된 증상
치료 : 외과 수술이 기본이며, 조기암에 대해서는 내시경으로 절제
병기가 나쁠수록 다학제 치료를 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Duke의 분류표를 아래의 그림으로 제시함 출처 : 정담 편집부,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6 : 소화기 2013. 3. 21. 정담
2) 자연재해발생(지진)시 질환 및 간호의 범위 유양숙, 권보은 외, 성인간호학 상권, 제8판, 2022, 현문사,
질환 : 건물붕괴나 파편으로 인한 외상, 먼지나 먼지속에 포함된 독성으로 인한 폐질환
재해시 간호사의 역할 : 4대 색깔 재난대상자 분류, 인지-사정-지원-회복 단계별 간호
느낀 점
먼저 부정적 사례에서 인용한 위 논문 내용 김대동.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세계보건기구 응급의료팀 인증에 대한 질적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서울
에서는 응급의료팀의 운영시 국립의료원과의 물자의 순환활용을 통해 버려지는 물자를 최소화하고 역량이 검증된 비정부기관을 파트너로삼아 노하우를 함께 공유하여 전문성을 유지하고 역량을 강화 하는 필요성을 주장하였는데 이의 내용에 대해 동감하였다.
또한 긍정적 사례를 찾아보며 협의의 개념으로 생각하던 팀의 구성단위가, 재난 구호라는 특별한 목적 아래 세워진 보건의료팀과 정부의 행정관련 부처, 지역단체의 교류 내 등 팀 단위의 의사소통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최근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 KDRD 구조팀은 2022년 최근 WHO 긴급의료팀 인증을 획득하였다. 국가차원을 통한 파견 또한 자원과 의사소통, 의료적 부분의 행정 문제를 해결하여 유엔 국제탐색구조자문단(INSARAG) 국제구조대 역량 평가에서 최상급(Heavy) 등급을 인증을 받아 재외동포신문,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 의료팀, WHO 긴급의료팀 인증 획득
https://www.dongp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6007
여러 분야에서 세계적 역량을 갖추었다는 점이 놀라웠다.
긍정적 사례를 찾아보며 본인이 암센터를 방문하면서 관찰했던 기억을 떠올리며, 질환과 병원의 조직에 대해 이해하게 되어 많은 공부가 되었다.
- 해외긴급구호대의 응급의료팀이 다른 단체와 협업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재난을 대처하는 사전교육 필요성 토로 : 해외긴급구호대의 활동을 하게 되었을 때 필연적일 수 있는 부분이지만 네팔 응급의료 활동 중 여진을 겪게 되면서 불안감과 충격을 받고 스스로 안전하지 않다고 느낀 이들도 있었다.
사례질환 정리
1) 다학제가 이루어지는 고대구로병원 대장암센터의 암질환(대장암 정리) 국가 암정보센터 대장암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6470&cid=60406&categoryId=60406#TABLE_OF_CONTENT2
대장암 :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
발생 위치에 따라 : 결장에 생기면 결장암, 직장에 생기면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직장암이라고 함.
대장암의 대부분은 대장 점막 샘세포에서 발생하는 선암(腺癌, 샘암)으로, 양성 종양인 선종성 용종(茸腫, polyp)에서 유래한다고 알려졌다.
선암 이외에도 림프종, 신경내분비종양(유암종, 類癌腫, carcinoid), 평활근육종(平滑筋肉腫) 등이 원발성으로, 즉 다른 병의 결과가 아니라 그 자체로 생길 수 있다. 대장의 림프종은 전체 소화관의 악성 종양 중 1% 미만이며, 소화관 림프종 중에서는 10~20%를 차지한다.
신경내분비종양(유암종) : 위장관과 췌장, 난소, 폐 등의 신경내분비세포에서 발생하여 서서히 자라는 종양인데, 충수(충양돌기)와 직장에 주로 생기며 대부분 증상이 없다. 전이되거나 악성으로 유암종 증후군을 일으키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평활근육종이란 내장이나 혈관 따위의 벽을 이루는 평활근 즉 민무늬근에 생기는 육종(비상피성 조직에서 유래하는 악성 종양)이다.
대장에도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이라는 매우 드문 악성 종양이 생기는 수가 있다.
증상 : 복통, 혈변, 배변습관 이상(변비, 설사 모두)이 대장암의 주된 증상
치료 : 외과 수술이 기본이며, 조기암에 대해서는 내시경으로 절제
병기가 나쁠수록 다학제 치료를 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Duke의 분류표를 아래의 그림으로 제시함 출처 : 정담 편집부,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6 : 소화기 2013. 3. 21. 정담
2) 자연재해발생(지진)시 질환 및 간호의 범위 유양숙, 권보은 외, 성인간호학 상권, 제8판, 2022, 현문사,
질환 : 건물붕괴나 파편으로 인한 외상, 먼지나 먼지속에 포함된 독성으로 인한 폐질환
재해시 간호사의 역할 : 4대 색깔 재난대상자 분류, 인지-사정-지원-회복 단계별 간호
느낀 점
먼저 부정적 사례에서 인용한 위 논문 내용 김대동.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세계보건기구 응급의료팀 인증에 대한 질적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서울
에서는 응급의료팀의 운영시 국립의료원과의 물자의 순환활용을 통해 버려지는 물자를 최소화하고 역량이 검증된 비정부기관을 파트너로삼아 노하우를 함께 공유하여 전문성을 유지하고 역량을 강화 하는 필요성을 주장하였는데 이의 내용에 대해 동감하였다.
또한 긍정적 사례를 찾아보며 협의의 개념으로 생각하던 팀의 구성단위가, 재난 구호라는 특별한 목적 아래 세워진 보건의료팀과 정부의 행정관련 부처, 지역단체의 교류 내 등 팀 단위의 의사소통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최근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 KDRD 구조팀은 2022년 최근 WHO 긴급의료팀 인증을 획득하였다. 국가차원을 통한 파견 또한 자원과 의사소통, 의료적 부분의 행정 문제를 해결하여 유엔 국제탐색구조자문단(INSARAG) 국제구조대 역량 평가에서 최상급(Heavy) 등급을 인증을 받아 재외동포신문,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 의료팀, WHO 긴급의료팀 인증 획득
https://www.dongp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6007
여러 분야에서 세계적 역량을 갖추었다는 점이 놀라웠다.
긍정적 사례를 찾아보며 본인이 암센터를 방문하면서 관찰했던 기억을 떠올리며, 질환과 병원의 조직에 대해 이해하게 되어 많은 공부가 되었다.
추천자료
2017 고위험모아간호
간호학특론 ) 미국의학원(Institute of Medicine, IOM)에서 제시한 여섯 가지 의료 질 영역을 설명하시오
2026년 대비 삼성서울병원 간호사 자기소개서 5편(합격인증) 삼성서울병원 간호사 자소서 합격예시
[간호사 취업 면접 대비] 병원별 면접기출 모범답안 Best 80선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정신보건센터의 역할,개념,사업내용,운영내용,현황
정신보건센터
재활영역에서의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지역사회의 정신보건사업
[A+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발생원인과 대처방안 및 아동학대의 발생 감소시키기 위한 개인, 사회, 국가의 역할 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