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
1. 나이와 언어 변이
2. 성과 언어 변이
1) 여성 발화의 특징
2) 남녀 간 대화의 특성
3) 성별 관련 표현에서의 차이
Ⅱ. 사회적 환경에 따른 언어 변이 자료
1. 나이와 언어 변이
1) 언어 변이 자료
2) 자료 설명
2. 성과 언어 변이
1) 언어 변이 자료
2) 자료 설명
3. 학력과 언어 변이
1) 언어 변이 자료
2) 자료 설명
참고문헌
1. 나이와 언어 변이
2. 성과 언어 변이
1) 여성 발화의 특징
2) 남녀 간 대화의 특성
3) 성별 관련 표현에서의 차이
Ⅱ. 사회적 환경에 따른 언어 변이 자료
1. 나이와 언어 변이
1) 언어 변이 자료
2) 자료 설명
2. 성과 언어 변이
1) 언어 변이 자료
2) 자료 설명
3. 학력과 언어 변이
1) 언어 변이 자료
2) 자료 설명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만 약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남성의 64.3%는 안녕하세요 어휘를 선택하였고 여성은 78.9%를 선택하여 남녀간에 10% 이상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안녕하십니까 라는 어휘의 경우 남성은 33.1%를 선택한 반면 여성은 17.3%로 약 2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2번과 같이 상대방에게 도움을 청하는 상황에서 남성은 상대방 의사에 대한 질문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여성은 수락 가능성에 대한 준비 질문을 많이 사용하였다. 직접적으로 요청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여성은 18.7%로 나타났고 남성은 23.0%로 나타났다.
2) 자료 설명
안녕하세요와 안녕하십니까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문법적인 차이를 지닌다. 경어법상 안녕하세요는 비격식체에 해당하고 안녕하십니까는 격식체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격식체를 더 많이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는 앞서 살펴본 남녀 간 상대경어법의 차이로도 확인할 수 있다. 상대경어법에서 남성은 ‘-습니다’를 많이 사용하였고 여성은 ‘-어요’를 많이 사용하였다. 이러한 차이가 위 사례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번 사례와 관련하여 친구에게 주말 이사를 도와달라고 청하는 상황에서 남성은 주말에 이사하는데 도와줄래와 같이 상대방 의사에 대한 질문을 가장 많이 사용했다. 이와 달리 여성은 주말에 뭐해?와 같이 수락 가능성을 사전에 확인하는 질문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말에 이사하는 데 도와줘와 같은 직접 요청에 있어서도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상황에서 남녀 사이의 담화적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3. 학력과 언어 변이
1) 언어 변이 자료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에서는 학력에 따른 언어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가 등장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다.
<표3> 학력에 따른 언어 차이
구분
의미
어휘
1
뭉친 흰밥 위에 날생선 살을 얹어 만든 음식을 가르키는 말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238쪽
초밥
스시
1번 의미를 표현함에 있어 모든 학력 집단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휘는 초밥이었다. 초등학교 졸업 이하 집단에서는 초밥이라는 어휘를 90% 이상 사용하였고, 학력이 높아질수록 해당 어휘를 선택하는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대학교 졸업(재학) 이상 집단에서는 60% 중후반이 초밥이라는 어휘를 사용하였다. 스시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비율은 대학교 졸업(재학) 이상 집단에서 3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이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중학교 졸업 이하 집단에서 스시라는 어휘를 사용하는 비율은 10% 이하로 나타났다.
2) 자료 설명
위 자료는 학력에 따라 특정 의미를 표현하는 어휘에 있어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준다. 이는 학력이라는 사회적 환경도 언어 변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 고성환, 송정근(2023). 언어와 생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2번과 같이 상대방에게 도움을 청하는 상황에서 남성은 상대방 의사에 대한 질문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여성은 수락 가능성에 대한 준비 질문을 많이 사용하였다. 직접적으로 요청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여성은 18.7%로 나타났고 남성은 23.0%로 나타났다.
2) 자료 설명
안녕하세요와 안녕하십니까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문법적인 차이를 지닌다. 경어법상 안녕하세요는 비격식체에 해당하고 안녕하십니까는 격식체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격식체를 더 많이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는 앞서 살펴본 남녀 간 상대경어법의 차이로도 확인할 수 있다. 상대경어법에서 남성은 ‘-습니다’를 많이 사용하였고 여성은 ‘-어요’를 많이 사용하였다. 이러한 차이가 위 사례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번 사례와 관련하여 친구에게 주말 이사를 도와달라고 청하는 상황에서 남성은 주말에 이사하는데 도와줄래와 같이 상대방 의사에 대한 질문을 가장 많이 사용했다. 이와 달리 여성은 주말에 뭐해?와 같이 수락 가능성을 사전에 확인하는 질문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말에 이사하는 데 도와줘와 같은 직접 요청에 있어서도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상황에서 남녀 사이의 담화적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3. 학력과 언어 변이
1) 언어 변이 자료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에서는 학력에 따른 언어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가 등장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다.
<표3> 학력에 따른 언어 차이
구분
의미
어휘
1
뭉친 흰밥 위에 날생선 살을 얹어 만든 음식을 가르키는 말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238쪽
초밥
스시
1번 의미를 표현함에 있어 모든 학력 집단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휘는 초밥이었다. 초등학교 졸업 이하 집단에서는 초밥이라는 어휘를 90% 이상 사용하였고, 학력이 높아질수록 해당 어휘를 선택하는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대학교 졸업(재학) 이상 집단에서는 60% 중후반이 초밥이라는 어휘를 사용하였다. 스시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비율은 대학교 졸업(재학) 이상 집단에서 3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이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중학교 졸업 이하 집단에서 스시라는 어휘를 사용하는 비율은 10% 이하로 나타났다.
2) 자료 설명
위 자료는 학력에 따라 특정 의미를 표현하는 어휘에 있어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준다. 이는 학력이라는 사회적 환경도 언어 변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 고성환, 송정근(2023). 언어와 생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키워드
추천자료
(언어와 생활 2학년) 1. 교재 3장에서 설명한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를 A4 2매 내외(표지 제외)로 요약하시오. (10점) 2. 참고문헌을 참고하여, 사회적 환경(나이, 성, 계층 등)에 따른 언어 변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찾아 정리하고, 그 자료에 대해 설명하시오. (A4 3매 내외) (20점)
[언어와생활] 교재 3장에서 설명한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를 A4 2매 내외로 요약하시오. 참고문헌을 참고하여, 사회적 환경(나이, 성, 계층 등)에 따른 언어 변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찾아 정리하고, 그 자료에 대해 설명하시오.
[언어와생활] 교재 3장에서 설명한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를 A4 2매 내외로 요약하시오. 참고문헌을 참고하여, 사회적 환경(나이, 성, 계층 등)에 따른 언어 변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찾아 정리하고, 그 자료에 대해 설명하시오.
교재 3장에서 설명한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를 A4 2매 내외 표지 제외로 요약하시오 10점
[언어와생활] 교재 3장에서 설명한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를 A4 2매 내외로 요약하시오. 참고문헌을 참고하여, 사회적 환경(나이, 성, 계층 등)에 따른 언어 변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찾아 정리하고, 그 자료에 대해 설명하시오
2024년 1학기 언어와생활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
언어와생활 ) 교재 3장에서 설명한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를 A4 2매 내외로 요약하시오
언어와 생활
2023년 1학기 언어와생활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