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 3장에서 설명한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를 A4 2매 내외(표지 제외)로 요약하시오. (10점)
1) 나이와 언어 변이
2) 성과 언어 변이
2. 참고문헌을 참고하여, 사회적 환경(나이, 성, 계층 등)에 따른 언어 변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찾아 정리하고, 그 자료에 대해 설명하시오. (A4 3매 내외) (20점)
1) 가게에서 젊어 보이는 여자 직원에 대한 호칭 (연령별, 최종학력별)
2) 결혼한 남자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부인을 소개하며 가리키는 말(연령별, 최종학력별)
3) 친하지 않고 좀 어려운 선배의 질문에 시간이 없다고 대답하는 방식(성별)
4) 자신을 낳아준 남성을 부르는 말(성별)
참고문헌
1) 나이와 언어 변이
2) 성과 언어 변이
2. 참고문헌을 참고하여, 사회적 환경(나이, 성, 계층 등)에 따른 언어 변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찾아 정리하고, 그 자료에 대해 설명하시오. (A4 3매 내외) (20점)
1) 가게에서 젊어 보이는 여자 직원에 대한 호칭 (연령별, 최종학력별)
2) 결혼한 남자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부인을 소개하며 가리키는 말(연령별, 최종학력별)
3) 친하지 않고 좀 어려운 선배의 질문에 시간이 없다고 대답하는 방식(성별)
4) 자신을 낳아준 남성을 부르는 말(성별)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어휘는 ‘와이프’와 ‘집사람’이다. ‘와이프’는 연령대가 낮은 20대(65.3%)와 30대(68.1%)에서 높은 비율이 나왔다. 하지만 응답자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답변 비율이 감소하였고 60대에서는 12.3%만이 ‘와이프’를 선택했다. ‘집사람’에 답변 비율은 이와 완전히 반대된다. ‘집사람’은 연령대가 가장 높은 60대에서 66.6%로 가장 높은 답변 비율이 나왔다. 하지만 응답자의 연령이 낮아질수록 답변 비율이 감소하였고 20대에서는 18.6%만이 ‘집사람’을 선택했다. 연령에 따른 언어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3] 연령별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33쪽
[그림4]에서 5가지 선택문항 중 최종학력에 따른 답변이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어휘는 ‘와이프’와 ‘○○엄마’이다. ‘와이프’는 최종학력이 가장 높은 대학원 재학 이상에서 57.8%로 가장 높은 답변 비율이 나왔다. 하지만 최종학력이 낮아질수록 답변 비율이 감소하였고 중학교 졸업은 5.1%, 초등학교 졸업 이하는 15.0%로 응답했다. ‘○○엄마’는 최종학력이 가장 낮은 초등학교 졸업 이하에서 42.0%로 가장 높은 답변 비율이 나왔다. 하지만 응답자의 최종학력이 높아질수록 답변 비율이 감소하였고 대학교 졸업(재학)은 2.8%, 대학원 재학 이상은 6.0%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언어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림4] 최종학력별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82쪽
3) 친하지 않고 좀 어려운 선배의 질문에 시간이 없다고 대답하는 방식(성별)
친하지 않고 좀 어려운 선배의 질문에 시간이 없다고 대답하는 방식을 비확정적 표현, 확정적 표현, 거절의미의 상황표현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그림5]와 같이 남자의 경우 50.6%가 비확정적 표현을 선택했고 49.4% 확정적 표현을 선택했다. 여자의 경우 57.9%가 비확정적 표현을 선택했고 42.1%가 확정적 표현을 선택했다. 남성과 여성은 주장을 표현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남성은 평서문을 활용하여 자기주장을 강하게 표현하는 반면 여성은 단정적인 문장보다는 질문 등을 활용한 간접적인 대화를 선호한다. 이를 통해 여성이 남성보다 비확정적 표현을 더욱 선호함을 알 수 있다.
[그림5] 성별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191쪽
4) 자신을 낳아준 남성을 부르는 말(성별)
자신을 낳아준 남성을 부르는 말을 ‘아버지’, ‘아빠’, ‘아부지’, ‘아버님’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그림6]과 같이 남자의 경우 56.3%가 ‘아버지’를 선택했고 34.2%가 ‘아빠’를 선택했다. 여자의 경우 39.0%가 ‘아버지’를 선택했고 52.7%가 ‘아빠’를 선택했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성장한 자녀는 ‘아버지’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것이 맞다고 한다. 하지만 ‘아빠’라는 표현이 보다 친근감을 나타낼 수 있기에 여성은 ‘아버지’보다 ‘아빠’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를 통해 여성이 남성보다 친근한 표현을 더욱 선호함을 알 수 있다.
[그림6] 성별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63쪽
참고문헌
- 고성환, 송정근(2023). 언어와 생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 김유민. 아가씨라고 부르지 마세요 호칭 갈등 어떻게 할까요?. 서울신문, 2022년 8월 30일자. https://www.seoul.co.kr/news/life/2022/08/30/20220830500049 (검색일: 2024.4.3.)
[그림3] 연령별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33쪽
[그림4]에서 5가지 선택문항 중 최종학력에 따른 답변이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어휘는 ‘와이프’와 ‘○○엄마’이다. ‘와이프’는 최종학력이 가장 높은 대학원 재학 이상에서 57.8%로 가장 높은 답변 비율이 나왔다. 하지만 최종학력이 낮아질수록 답변 비율이 감소하였고 중학교 졸업은 5.1%, 초등학교 졸업 이하는 15.0%로 응답했다. ‘○○엄마’는 최종학력이 가장 낮은 초등학교 졸업 이하에서 42.0%로 가장 높은 답변 비율이 나왔다. 하지만 응답자의 최종학력이 높아질수록 답변 비율이 감소하였고 대학교 졸업(재학)은 2.8%, 대학원 재학 이상은 6.0%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언어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림4] 최종학력별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82쪽
3) 친하지 않고 좀 어려운 선배의 질문에 시간이 없다고 대답하는 방식(성별)
친하지 않고 좀 어려운 선배의 질문에 시간이 없다고 대답하는 방식을 비확정적 표현, 확정적 표현, 거절의미의 상황표현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그림5]와 같이 남자의 경우 50.6%가 비확정적 표현을 선택했고 49.4% 확정적 표현을 선택했다. 여자의 경우 57.9%가 비확정적 표현을 선택했고 42.1%가 확정적 표현을 선택했다. 남성과 여성은 주장을 표현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남성은 평서문을 활용하여 자기주장을 강하게 표현하는 반면 여성은 단정적인 문장보다는 질문 등을 활용한 간접적인 대화를 선호한다. 이를 통해 여성이 남성보다 비확정적 표현을 더욱 선호함을 알 수 있다.
[그림5] 성별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191쪽
4) 자신을 낳아준 남성을 부르는 말(성별)
자신을 낳아준 남성을 부르는 말을 ‘아버지’, ‘아빠’, ‘아부지’, ‘아버님’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그림6]과 같이 남자의 경우 56.3%가 ‘아버지’를 선택했고 34.2%가 ‘아빠’를 선택했다. 여자의 경우 39.0%가 ‘아버지’를 선택했고 52.7%가 ‘아빠’를 선택했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성장한 자녀는 ‘아버지’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것이 맞다고 한다. 하지만 ‘아빠’라는 표현이 보다 친근감을 나타낼 수 있기에 여성은 ‘아버지’보다 ‘아빠’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를 통해 여성이 남성보다 친근한 표현을 더욱 선호함을 알 수 있다.
[그림6] 성별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63쪽
참고문헌
- 고성환, 송정근(2023). 언어와 생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국립국어원(2023). 2022년 국어 사용 실태조사.
- 김유민. 아가씨라고 부르지 마세요 호칭 갈등 어떻게 할까요?. 서울신문, 2022년 8월 30일자. https://www.seoul.co.kr/news/life/2022/08/30/20220830500049 (검색일: 2024.4.3.)
키워드
추천자료
2023년 1학기 언어와생활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
언어와 생활
언어와생활 ) 교재 3장에서 설명한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를 A4 2매 내외로 요약하시오
(언어와 생활 2학년) 1. 교재 3장에서 설명한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를 A4 2매 내외(표지 ...
2024년 1학기 언어와생활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
교재 3장에서 설명한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를 A4 2매 내외 표지 제외로 요약하시오 10점
[언어와생활] 교재 3장에서 설명한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를 A4 2매 내외로 요약하시오. 참...
[언어와생활] 교재 3장에서 설명한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를 A4 2매 내외로 요약하시오. 참...
[언어와생활] 교재 3장에서 설명한 사회적 환경과 언어 변이를 A4 2매 내외로 요약하시오. 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