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_속담을 한 개 선정하여 중급 학습자에게 교수하는 방안(제시, 설명, 활용)을 작성하십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_속담을 한 개 선정하여 중급 학습자에게 교수하는 방안(제시, 설명, 활용)을 작성하십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속담교육

2) 속담을 한 개 선정하여 중급 학습자에게 교수하는 방안

(1) 속담의 한 개 선정

(2) 위의 속담으로 중급 학습자에게 교수하는 방안

① 제시

② 설명 및 연습

③ 활용과 마무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배의 의미를 단어장에 노출하고 속담문법인 -더라도를 단어장에 또한 새겨서 학습자에게 한 번 더 생각하게 한다.
② 설명 및 연습
한국어의 속담을 소개하고 소담 속의 교훈이나 풍자성을 의미와 함께 간단히 설명해주어 속담에 쓰인 문장의 방문형, 명령형, 명사형, 평서형, 미 완전한 형태 등의 말미 형태에 대해서도 가볍게 설명할 수 있겠다.
-한국어 속담 제 시설명 1: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한국어 속담 제 시설명 2:둘이 먹다가 하나가 죽어도 모른다.
속담의 문법 예인 -더라도의 가정이나 양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로 -어도 보다 그 뜻이 강한 뉘앙스의 차이를 설명하고 이해를 돕는 정도로 하여 어휘의 자세한 의미는 강조하지 않고 학습자들이 스스로 그 문법을 알 수 있도록 어휘를 생성하도록 하게 한다. 그리고 속담 안의 단어인 서 말, 꿰다, 보배의 의미를 단어장에 암기시킨다.
③ 활용과 마무리
속담문법인 -더라도의 단어들을 가지고 짧은 글의 작문을 작성하도록 하고 작성 후에 서로 발표해 본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한국어의 속담에 대해서 제시된 속담문법인 -더라도의 들어간 단어를 통해 학습자에게 질문하고 대답하는 형식으로 배워 내용을 한 번 더 상기시켜 수업을 마무리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속담 안의 단어인 서 말, 꿰다, 보배의 의미를 한 번 더 확인시킨다.
Ⅲ. 결론
이렇게 속담은 문화교육의 내용을 설계할 자료로써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고 속담의 구술적인 특징은 바로 한국인에 대한 사고와 가치, 생활방식 등의 다양한 문화의 측면을 가지고 있어 그 한국 속담 교육적인 의의를 가진 것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속담은 문화를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되고 속담의 간결한 형식과 집약된 표현은 교육내용으로 적절히 활용될 수 있어 특히 한국 어학 습기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교육론에 가장 적절하지 않나 하고 생각되고 이렇게 속담을 한 개 선정하여 중급 학습자에게 교수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어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교육론을 좀 더 깊고 자세히 공부할 수 있어서 좋았다.
Ⅳ. 참고문헌
1. 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 교안
2. 김원경,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어휘교육론, 2017, 진흥원격평생교육원
3. 황 량, 한국어 속담을 통한 어휘 교육 방법 연구,2013,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4. 한국어 텍스트를 활용한 속담 교육 방안 연구.박경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국내석사).2020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5.02.07
  • 저작시기202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40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