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서론
2. 본론
1) 제 1항에서 살펴보는 구체적인 사례
2) 제 2항에서 살펴보는 띄어쓰기의 특성
3) 제 3항에서 살펴보는 외래어의 특성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제 1항에서 살펴보는 구체적인 사례
2) 제 2항에서 살펴보는 띄어쓰기의 특성
3) 제 3항에서 살펴보는 외래어의 특성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용한 것을 이야기함을 알 수 있었다. 이어 표의주의적 표기는 ‘꽃이’, ‘꽃을’, ‘꽃에’, ‘꽃나무’, ‘꽃놀이’, ‘꽃망울’라는 말이 [꼬치], [꼬츨], [꼬체], [꼰나무], [꼰노리], [꼰망울]로 소리가 나지만 형태소를 밝혀서 적는 것을 이야기함을 알 수 있었다. 소리나는 그대로 쓰게 된다면 원래의 뜻을 파악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이어서 제 2항의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라는 내용에서는 단어의 정의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단어는 자립성을 가진 말의 단위이지만 조사 또한 단어로 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조사의 경우에는 앞의 단어에 붙여 쓰고 있다는 특징이 있으므로 띄어쓰기 또한 이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제 3항은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외래어의 정의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외국어와는 엄밀히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텔레비전’, ‘라디오’, ‘컴퓨터’, ‘스키’ 등의 예시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탐구를 통해서 한글 문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기회가 된다면 관련하여 심화 탐구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4. 참고문헌
1) 한국어어문규범 교안
2) 국립국어원, https://kornorms.korean.go.kr/regltn/regltnView.do#a
3) [우리말OX]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와 외래어 표기… 기본 법칙만 알아도 한결 쉬워요, 중도일보, 김용복, http://www.joongdo.co.kr/web/view.php?key=20170317000000167
4. 참고문헌
1) 한국어어문규범 교안
2) 국립국어원, https://kornorms.korean.go.kr/regltn/regltnView.do#a
3) [우리말OX]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와 외래어 표기… 기본 법칙만 알아도 한결 쉬워요, 중도일보, 김용복, http://www.joongdo.co.kr/web/view.php?key=20170317000000167
추천자료
[남북한 표준어][남북한 언어관][남북한 언어정책][남북한 언어사용][어문정책]남북한의 표준...
[맞춤법과표준어]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 분석
2009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표준어 규정과 오용 사례, 방송, 맞춤법 오류
남북한 어문규범 차이점 및 통일방안(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부호, 표준 발음법을 중심...
2015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한국어어문규범_한글 맞춤법 총칙은 (1)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
한국어어문규범 ) 한글 맞춤법 총칙은 (1)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