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기분화의 의미
2. 자기분화의 형성
3. 자기분화가 잘된 사람의 특징
Ⅲ. 결론(개인적의견)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자기분화의 의미
2. 자기분화의 형성
3. 자기분화가 잘된 사람의 특징
Ⅲ. 결론(개인적의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론(개인적 의견)
지금까지 자기분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건강한 자기분화의 형성은 한 개인을 넘어 사회에 많은 영향을 준다. 따라서 가정에서 자녀들에게 얼마나 건강한 자기분화의 환경을 조성하여 주느냐에 따라서 자녀들이 향후 건강한 사회구성원들의 역할을 할 수 있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의 미래가 결정된다고 볼수 있다. 따라서 건강한 자기분화가 기능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하고 자기분화 수준이 높은 부모들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볼 수 있는데 부모 특히 어머니의 사려 깊은 양육과 연합의 욕구를 자녀에게 투사하지 않는 독립된 인격체로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도록 성숙을 갖춘 부모가 되기 위한 환경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하여는 가족의 기능과 건강한 부모와 자녀 그리고 가족 구성원들을 위한 전문적이고 다양한 가족생활 교육 등의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자기분화는 한세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세대에 걸쳐 진행되고 전이된다고 볼수 있기에 가족 생활교육을 통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국가와 사회가 더욱더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해 본다.
Ⅳ. 참고문헌
1) 박순천, 백경임, 대학생의 자아 분화와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불교 상담학회지 3권 1호, pp. 79-96(2), 3-31, 2011
2) 이정숙, 김윤희, 대학생의 자아 분화와 동적 가족화 반응 특성 연구, 한국 생활과학회, 2000
3) 손승희, 가족 환경변인 및 자아 분화와 진로 탐색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 2000
4) 하상희,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의 세대 간 전이,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 2007
5) 김정택, 심혜숙, 자아 분화개념을 통한 Bowen의 정신 역동적 가족치료의 특징, 한국 치료가족학회지, 창간호, 31-35
6) 정경연, 심혜숙, 부모의 자아 분화 수준에 따른 아동의 자아 분화와 아동이 지각한 세대 간 가족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2)225-245, 2007
7) 제석봉, 자아 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 1989
8) 정미란, 청소년의 발달 시기에 따른 자아 분화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1994
9) 최소영, 자아 분화와 가족 간 의사소통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 2007
지금까지 자기분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건강한 자기분화의 형성은 한 개인을 넘어 사회에 많은 영향을 준다. 따라서 가정에서 자녀들에게 얼마나 건강한 자기분화의 환경을 조성하여 주느냐에 따라서 자녀들이 향후 건강한 사회구성원들의 역할을 할 수 있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의 미래가 결정된다고 볼수 있다. 따라서 건강한 자기분화가 기능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하고 자기분화 수준이 높은 부모들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볼 수 있는데 부모 특히 어머니의 사려 깊은 양육과 연합의 욕구를 자녀에게 투사하지 않는 독립된 인격체로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도록 성숙을 갖춘 부모가 되기 위한 환경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하여는 가족의 기능과 건강한 부모와 자녀 그리고 가족 구성원들을 위한 전문적이고 다양한 가족생활 교육 등의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자기분화는 한세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세대에 걸쳐 진행되고 전이된다고 볼수 있기에 가족 생활교육을 통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국가와 사회가 더욱더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해 본다.
Ⅳ. 참고문헌
1) 박순천, 백경임, 대학생의 자아 분화와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불교 상담학회지 3권 1호, pp. 79-96(2), 3-31, 2011
2) 이정숙, 김윤희, 대학생의 자아 분화와 동적 가족화 반응 특성 연구, 한국 생활과학회, 2000
3) 손승희, 가족 환경변인 및 자아 분화와 진로 탐색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 2000
4) 하상희,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의 세대 간 전이,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 2007
5) 김정택, 심혜숙, 자아 분화개념을 통한 Bowen의 정신 역동적 가족치료의 특징, 한국 치료가족학회지, 창간호, 31-35
6) 정경연, 심혜숙, 부모의 자아 분화 수준에 따른 아동의 자아 분화와 아동이 지각한 세대 간 가족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2)225-245, 2007
7) 제석봉, 자아 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 1989
8) 정미란, 청소년의 발달 시기에 따른 자아 분화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1994
9) 최소영, 자아 분화와 가족 간 의사소통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 2007
추천자료
가족상담이론) 가족상담의 필요성과 가족 시스템 및 가족상담의 개념과 기법 및 학습훈련
칼 로저스, 아브라함 모슬로우, 알프레드 애들러의 이론을 간략하게 정리
(가족복지론 A+레포트)대화 가족치료 이론과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을 설명하고 개인의견을 서술.
가족치료의 정의와 특징, 필요성에 대해 서술하고,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과 보웬의 가족치료 ...
보웬(Bowen)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에 대하여 논하시오
보웬의 가족치료 다세대 가족체계가족치료
상담개론에 대한 이해와 핵심내용 정리 (기독교 상담개론 요약)
가족체계이론에 대해서 설명한 후, 가족상담 및 치료 맥락에서 갖는 공헌점과 한계점을 서술...
가족상담및치료 )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강의에서 나타난 가족의 사례를 예시로 하여 자아...
(심리학에게묻다1)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의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