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 입학을 위한 시험 준비에 바빠서 정체감 확립을 위한
적극적인 탐색이 부족하다. 이 시기의 학생들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을지 논하시오.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적극적인 탐색이 부족하다. 이 시기의 학생들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을지 논하시오.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그래야만 자신의 삶에 주인공으로 살 수 있을 것이다.
3. 결론
본인에게는 초등학생 조카가 한 명 있다. 어린 친구가 너무 바빠서 놀 시간이 없다고 말을 하길래 왜 바쁘냐고 물어보니 수영 학원, 스페인어 학원, 영어 학원, 수학 학원, 스케이트 학원을 다녀야 해서 놀 시간이 없다고 대답하였다. 조카가 직접 원해서 다니는 학원이 몇 개냐고 했더니 수영 빼고는 사실 재미있어서 다니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사실 수영과 스케이트를 제외하고 국어와 논술 학원을 붙여 넣으면 고등학생의 일상이 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 가릴 것 없이 방학 때는 학교를 다니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학원을 늘려서 학업을 따라가기 위해서 매진한다.
외국에는 갭이어(Gap Year)라는 것이 있다. 영국에서 처음 시작되어서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을 시작하기 전에 1년 간 여행을 다니거나 자신이 원하는 취미 생활을 하면서 스스로의 질문에 답하는 시간이다. 본인은 이 개념을 우리나라에도 적용시켜서 적어도 방학 때만이라도 자신은 누구이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스스로 찾아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물론 사회적인 문화가 바뀌어서 학력에 목숨을 거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특기를 살려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
작년에 스위스에 갔을 때 길거리에서 자전거를 고쳐주는 분이 계셨는데 마침 바람이 빠져서 바람을 넣어 달라고 말을 걸었다.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스위스는 참 행복해 보인다고 했더니 아저씨는 자신도 너무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고 대답했다. 가만히 생각해보니 나는 내 스스로 ‘행복하다’는 말을 언제 했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꾸역꾸역 찾아보니 중학생 때 마지막이었던 것 같다. 그 이후로는 내 삶이 행복했는지는 잘 모르겠다. 고등학생 때부터 학업 스트레스가 어마어마했었던 것 같기 때문이다. 그 감정이 성인까지 이어지면서 진정 내가 행복했던 때가 언제였는지 잊어버렸다. 성인이 돼서도 이럴진대, 나는 우리나라의 학생들의 입에서 ‘행복하다’는 말을 꼭 한 번 들어보고 싶다.
4. 참고문헌
(1)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발달, 청소년 심리 및 상담, 네이버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hh5700&logNo=220848675276
3. 결론
본인에게는 초등학생 조카가 한 명 있다. 어린 친구가 너무 바빠서 놀 시간이 없다고 말을 하길래 왜 바쁘냐고 물어보니 수영 학원, 스페인어 학원, 영어 학원, 수학 학원, 스케이트 학원을 다녀야 해서 놀 시간이 없다고 대답하였다. 조카가 직접 원해서 다니는 학원이 몇 개냐고 했더니 수영 빼고는 사실 재미있어서 다니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사실 수영과 스케이트를 제외하고 국어와 논술 학원을 붙여 넣으면 고등학생의 일상이 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 가릴 것 없이 방학 때는 학교를 다니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학원을 늘려서 학업을 따라가기 위해서 매진한다.
외국에는 갭이어(Gap Year)라는 것이 있다. 영국에서 처음 시작되어서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을 시작하기 전에 1년 간 여행을 다니거나 자신이 원하는 취미 생활을 하면서 스스로의 질문에 답하는 시간이다. 본인은 이 개념을 우리나라에도 적용시켜서 적어도 방학 때만이라도 자신은 누구이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스스로 찾아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물론 사회적인 문화가 바뀌어서 학력에 목숨을 거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특기를 살려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
작년에 스위스에 갔을 때 길거리에서 자전거를 고쳐주는 분이 계셨는데 마침 바람이 빠져서 바람을 넣어 달라고 말을 걸었다.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스위스는 참 행복해 보인다고 했더니 아저씨는 자신도 너무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고 대답했다. 가만히 생각해보니 나는 내 스스로 ‘행복하다’는 말을 언제 했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꾸역꾸역 찾아보니 중학생 때 마지막이었던 것 같다. 그 이후로는 내 삶이 행복했는지는 잘 모르겠다. 고등학생 때부터 학업 스트레스가 어마어마했었던 것 같기 때문이다. 그 감정이 성인까지 이어지면서 진정 내가 행복했던 때가 언제였는지 잊어버렸다. 성인이 돼서도 이럴진대, 나는 우리나라의 학생들의 입에서 ‘행복하다’는 말을 꼭 한 번 들어보고 싶다.
4. 참고문헌
(1)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발달, 청소년 심리 및 상담, 네이버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hh5700&logNo=220848675276
추천자료
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 형성이 중요한 발달과업인 이유를 이론적 배경을 활용하여 설명하고 ...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입학을 위한 시험 준비에 바빠서 정체감 확립을 위한 적극적인 탐색이...
고등학고 학생들은 대학입학을 위한 시험 준비에 바빠서 정체감 확립을 위한 적극적인 명색이...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입학을 위한 시험 준비에 바빠서 정체감 확립을 위한 적극적인 탐색이...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입학을 위한 시험 준비에 바빠서 정체감 확립을 위한 적극적인 탐색이...
교육심리학-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입학을 위한 시험 준비에 바빠서 정체감 확립을 위한 적극...
A+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입학을 위한 시험 준비에 바빠서 정체감 확립을 위한 적극적인 탐색...
교육심리학_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입학을 위한 시험 준비에 바빠서 정체감 확립을 위한 적극...
교육심리학 -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입학을 위한 시험 준비에 바빠서 정체감 확립을 위한 적...
교육심리학_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입학을 위한 시험 준비에 바빠서 정체감 확립을 위한 적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