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실습케이스 / 치료적 의사소통 보고서 / 양극성장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실습케이스 / 치료적 의사소통 보고서 / 양극성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라 대화를 하는 대상자의 병에 대한 정보도 부족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상자와의 대화 내용을 보면 대상자가 산만하게 이야기를 진행하고 있어 한 가지 주제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이 들었고 간호 학생인 입장에서 의료진에 대해 욕을 하는 대상자에게 방어를 보인 것은 아주 잘못된 것이라 생각이 들고 꼭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3) 대상자와의 부정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자신의 언어적, 비언어적 특성에 대한 앞으로의 수정 보완 계획을 기록하시오.
① 언어적 특성에 대한 수정 보완 계획
먼저 제일 문제 되었던 점들은 대상자의 부정적인 생각이나 말을 표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대상자가 거절하는 느낌이 들게 했던 비치료적 의사소통의 방어이다. 이러한 방법이 아닌 대상자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개방적 질문을 하거나 적극적으로 경청하는 방법이 더 좋았다는 생각이 든다.
간호사로서 대상자를 남으로만 보는 것이 아닌 좀 더 따뜻한 애정과 헌신하는 정신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거절을 하는 행위에 대해 어느 정도 선까지의 행동을 허락을 할지 다시 생각해 보고 가까이서 둘만 대화를 듣기 위해 한 행동이었는데 너무 거부감을 가진 것은 잘못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조건 적으로 칭찬을 하거나 방어를 하는 것 보다 오히려 이런 상황일수록 의도적으로 말을 하지 않으면서, 대상자에게 생각을 정리할 여유와 말할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으로 침묵을 하는 것도 좋은 계획이라는 생각이 든다.
② 비언어적 특성에 대한 수정 보완 계획
치료적 의사소통 및 면담을 할 때 면담의 기본 원칙을 보면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해야 한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대상자와 갑자기 대화를 시작하긴 했지만 대화 환경으로 인해 대상자가 더 산만해진 것을 생각하면 장소 선정이 중요한 것으로 보이며 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에 관심을 보이기 위해 관찰을 하는 것도 중요한 생각이 들었다.
위 대화에서는 나와있지 않지만 상대방과 대화를 하다가 생각할 것이 있으면 눈 맞춤을 피하는 버릇이 있는데, 그런 안 좋은 습관을 고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문헌
[1] 우현미, 허금희. (2024). 『정신건강간호학실습 지침서』. 현문사
[2] 김성재 외. (2023). 『정신간호총론』. 경기: 수문사
[3] 이병주, 김명언. (2012). 의사와 간호사 간 관계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유형, 원인 및 비대칭성.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5(1), 1-25.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5.02.28
  • 저작시기202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74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