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말하기 교육의 목표와 방향
(2)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수업 방향
1) 역할극
2) 토의 및 토론
3) 그룹 발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말하기 교육의 목표와 방향
(2)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수업 방향
1) 역할극
2) 토의 및 토론
3) 그룹 발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최선의 해결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말하기 과제이며, 토론은 찬반의 입장으로 나뉘는 주제에 대해 각각의 입장을 밝히고 자신의 입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주장에 근거를 들어 논리적으로 말하는 과제이다. 이러한 토의와 토론은 그 수준이 높아 말하기 과제의 중급이나 상급에 해당하는 학생에게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말하기 수업의 방식이므로, 이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상호작용에서 배제되고자 하는 움직임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지 않도록 모든 사람에게 발언의 기회를 보장하고, 책임감 있게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교수자에게 요구될 수 있다.
3) 그룹 발표
이것은 쉽게 설명하면 \'조별과제\'의 말하기 버전이다. 역할극이나 토의, 토론에 비해서는 그 형식이 자유롭지만 격식있게 이야기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공적인 자리에서의 말하기 연습의 기회를 가진다는 이점이 있다. 이 그룹 발표의 주제는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학습자가 선택할 수도 있고, 교수자가 정해줄 수도 있다. 단순한 설명을 전개할 수도 있지만, 설문조사 발표, 인터뷰한 뒤 발표와 같이 활동과 함께하는 말하기 활동은 보다 복합적인 의사소통의 능력 발전을 동반할 수 있을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말하기 교육의 목표와 방향,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수업의 방향에 대해 3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어쨌든 말하기 교육의 가장 근본적인 목적이 ‘원활한 의사소통’에 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내용을 파악하는 데에 중심이 되는 말하기 교육보다는 본 글에서 제시한 다양한 방법의 말하기 유형에서의 교육을 통해 실제적 말하기의 경험이 위주가 되는 교육과정의 편제가 필요할 것이다.
4. 참고문헌
김갑찬. “말하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이슈메이커. (2017.11.07.). http://www.issuemaker.kr/news/articleView.html?idxno=6219
이민경. (2023). 교수법 이후 시대의 한국어 교육 -이화여대 언어교육원의 말하기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2023(0), 52-56.
김지애, 김수은. (2016).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담화 통합 말하기 교육 방안. 한국어 교육, 27(1), 21-55.
김중섭. (2015). 한국어 기능 교육: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어 교육, 26(4), 359-388.
3) 그룹 발표
이것은 쉽게 설명하면 \'조별과제\'의 말하기 버전이다. 역할극이나 토의, 토론에 비해서는 그 형식이 자유롭지만 격식있게 이야기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공적인 자리에서의 말하기 연습의 기회를 가진다는 이점이 있다. 이 그룹 발표의 주제는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학습자가 선택할 수도 있고, 교수자가 정해줄 수도 있다. 단순한 설명을 전개할 수도 있지만, 설문조사 발표, 인터뷰한 뒤 발표와 같이 활동과 함께하는 말하기 활동은 보다 복합적인 의사소통의 능력 발전을 동반할 수 있을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말하기 교육의 목표와 방향,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수업의 방향에 대해 3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어쨌든 말하기 교육의 가장 근본적인 목적이 ‘원활한 의사소통’에 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내용을 파악하는 데에 중심이 되는 말하기 교육보다는 본 글에서 제시한 다양한 방법의 말하기 유형에서의 교육을 통해 실제적 말하기의 경험이 위주가 되는 교육과정의 편제가 필요할 것이다.
4. 참고문헌
김갑찬. “말하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이슈메이커. (2017.11.07.). http://www.issuemaker.kr/news/articleView.html?idxno=6219
이민경. (2023). 교수법 이후 시대의 한국어 교육 -이화여대 언어교육원의 말하기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2023(0), 52-56.
김지애, 김수은. (2016).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담화 통합 말하기 교육 방안. 한국어 교육, 27(1), 21-55.
김중섭. (2015). 한국어 기능 교육: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어 교육, 26(4), 359-388.
추천자료
[한국어교육론 공통] 1.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에 대해 설명한 ...
(한국어교육론 공통)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의 주요 원리와 방법을 다른 언어 교수법과 비교하...
읽기 텍스트 유형을 2개 이상 선정하여 그 유형에 해당하는 텍스트 예시 1개씩을 제시하고 각...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 한국어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수업)의 방향...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_의사소통능력을기르기위한한국어말하기교육의방향
한국어문법교육론
과제 중심 교수요목의 대안으로 제시된 focus on form의 기법에 대해 focus on forms, focus ...
말하기 교육의 내용 선정 원리에 대해 서술하시오
외국어로서의 이해교육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 - 실제 담화 현장과 유사한 상황을 재구성하여 초급 학습자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