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2
1) 정의
2) 원인
3) 발달 과정
4) 진단기준
5) 임상적 특성
6) 기타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
7) 치료
8) 간호
Ⅲ. 간호사례 -------------------------------------------------------------16
1. 사례연구
1) 일반적 정보
2) 건강력
3) 발달력
4) 가족력
5) 의학적 진단 및 치료
6) 현재 상태
2. 자료 분석
1) 간호 문제 목록
2) 환자의 요구 및 강점 / 취약점
3. 간호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 ----------------------------------------- 27
Ⅳ. 결론 --------------------------------------------------------------- 35
Ⅴ.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2
1) 정의
2) 원인
3) 발달 과정
4) 진단기준
5) 임상적 특성
6) 기타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
7) 치료
8) 간호
Ⅲ. 간호사례 -------------------------------------------------------------16
1. 사례연구
1) 일반적 정보
2) 건강력
3) 발달력
4) 가족력
5) 의학적 진단 및 치료
6) 현재 상태
2. 자료 분석
1) 간호 문제 목록
2) 환자의 요구 및 강점 / 취약점
3. 간호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 ----------------------------------------- 27
Ⅳ. 결론 --------------------------------------------------------------- 35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계별로 교육하였다. (간접수행)
앞니를 위, 아래로 움직이며 닦는다.
앞니를 오른쪽, 왼쪽으로 움직이며 닦는다.
앞니의 안쪽을 닦는다.
어금니의 바깥쪽을 닦는다.
어금니의 안쪽을 닦는다.
어금니의 씹는 부분을 닦는다.
혀를 닦는다.
대상자는 거울을 보고 순서대로 차근차근 양치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간호 평가
장기목표 :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자발적으로 위생관리를 한다.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2024.10.17.부터 자발적으로 위생관리를 하였다. (달성)
날짜
목욕하기
식사 후
양치하기
식사 전 손씻기
10/17
10/18
10/19
10/20
10/21
10/22
단기목표 :
대상자는 24시간 이내 거부하지 않고 샤워를 시행한다.
대상자는 거부하지 않고 2024.10.17.부터 매일 스스로 샤워를 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3일 이내 하루 3번 양치질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2024.10.19.부터 하루 3번 양치질을 실시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24시간 이내로 목욕을 해야하는 이유를 2가지 이상 설명한다.
대상자는 “세균 씻어내야 한다.”라고 1가지 말하였다. (부분달성)
Ⅳ. 결론
4. 사례관리 대상자에게 정신간호과정을 적용한 후 소감을 기술하시오.
조현병은 서론에서 말한 것과 같이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병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언론이 조현병 보도에서 자극적인 내용만 다룬다는 기사를 보게 되었다. 조현병에 대한 우리나라 국민의 인식이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언론의 조현병 사건 보도가 이런 인식을 갖게 하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대한조현병학회는 용인정신병원 이유상 원장과 차의과대학 김일빈 교수(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이 조현병에 대한 미디어 프레임이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7일 밝혔다. 조현병의 과거 병명은 정신분열병이었다. 신경정신의학회와 조현병학회는 지난 2012년 편견과 낙인해소를 이유로 정신분열병을 조현병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에 연구팀은 명칭이 변경 된 후 미디어 프레임과 사회적 인식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하고 언론보도의 바람직한 방향 정립과 조현병 환자를 위한 적절한 치료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국내 대형 온라인 검색 엔진인 Naver를 통해 2005~2018년까지 약 800개 미디어가 보도한 온라인 뉴스 기사를 수집했으며, 토픽 모델링과 텍스트 분석을 통해 기사 내 조현병과 관련된 주요 토픽과 키워드를 식별하고 시간에 따른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언론은 범죄와 갈등과 관련된 프레임을 주로 다루고 있었으며, 의학적 정보는 점차 다루지 않기 시작했다. 갈등 프레임은 범죄와 같은 갈등을 포함한 것으로, 조현병 명칭 변경 후 조현병 환자의 범죄 보도는 약 5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 중 2016년 강남역 살인 사건과 같은 특정 사건이 이런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증상과 연구, 원인, 치료 등 의학적 내용의 의료 프레임은 명칭 변경 후 절반 이상 감소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으로 더 이상 중요한 이슈로 여겨지지 않게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외에도 강력범죄 연루 등 조현병 환자의 고정관념이 증폭되는 시회적 인식 변화가 초래됐으며, 부정적인 보도가 증가할 수록 입원 빈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현재 우리나라 언론은 정신질환 보도에서 범죄 등 갈등 위주의 프레임을 주로 다루고 있다\"며 \"이는 정신질환에 대한 불합리학 공포와 낙인을 조성할 수 있어 보도에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요청했다.
조현병 환자라는 이유로 이런 프레임이 씌인 것은 명백히 잘못된 것이라고 본다. 조현병 환자들이
하루 빨리 이 프레임에서 벗어나 모두에게 보호 받을 수 있는 세상이 오길 바란다.
Ⅴ. 참고문헌
김성재 외(2023). 정신간호총론. 경기도: 수문사
우현미, 허금희(2024). 정신건강간호학실습 지침서. 서울: 현문사
고려대학교의료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8651&cid=63166&categoryId=59314
문가인. 경북일보. [세상읽기] 청소년 조현병이 증가하고 있다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1102
변비 비켜! 약보다 효과 빠른 변비에 좋은 지압법 및 장마사지 (자생한방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37723&cid=63166&categoryId=56745
변비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음식과 생활습관을 알려주세요.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3533&cid=63166&categoryId=51020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임웅재. 서울경제. “조현병, 전체 범죄율은 일반인의 1/4···살인·방화는 5~8.5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3661942
이주민(2023). 메디칼업저버. \"우리나라 언론, 조현병 보도에서 자극적인 내용만 다룬다\"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8876
이후경. [이후경의 마음처방전] ‘묻지마 칼부림’이 소환한 조현병 극복하는 탁월한 처방 셋!
http://www.ikunk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38813
조현병 [schizophren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31&cid=51007&categoryId=51007
천명선(2006). 재미있는 인체 이야기. 가나출판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38984&cid=47309&categoryId=47309
앞니를 위, 아래로 움직이며 닦는다.
앞니를 오른쪽, 왼쪽으로 움직이며 닦는다.
앞니의 안쪽을 닦는다.
어금니의 바깥쪽을 닦는다.
어금니의 안쪽을 닦는다.
어금니의 씹는 부분을 닦는다.
혀를 닦는다.
대상자는 거울을 보고 순서대로 차근차근 양치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간호 평가
장기목표 :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자발적으로 위생관리를 한다.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2024.10.17.부터 자발적으로 위생관리를 하였다. (달성)
날짜
목욕하기
식사 후
양치하기
식사 전 손씻기
10/17
10/18
10/19
10/20
10/21
10/22
단기목표 :
대상자는 24시간 이내 거부하지 않고 샤워를 시행한다.
대상자는 거부하지 않고 2024.10.17.부터 매일 스스로 샤워를 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3일 이내 하루 3번 양치질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2024.10.19.부터 하루 3번 양치질을 실시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24시간 이내로 목욕을 해야하는 이유를 2가지 이상 설명한다.
대상자는 “세균 씻어내야 한다.”라고 1가지 말하였다. (부분달성)
Ⅳ. 결론
4. 사례관리 대상자에게 정신간호과정을 적용한 후 소감을 기술하시오.
조현병은 서론에서 말한 것과 같이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병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언론이 조현병 보도에서 자극적인 내용만 다룬다는 기사를 보게 되었다. 조현병에 대한 우리나라 국민의 인식이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언론의 조현병 사건 보도가 이런 인식을 갖게 하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대한조현병학회는 용인정신병원 이유상 원장과 차의과대학 김일빈 교수(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이 조현병에 대한 미디어 프레임이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7일 밝혔다. 조현병의 과거 병명은 정신분열병이었다. 신경정신의학회와 조현병학회는 지난 2012년 편견과 낙인해소를 이유로 정신분열병을 조현병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에 연구팀은 명칭이 변경 된 후 미디어 프레임과 사회적 인식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하고 언론보도의 바람직한 방향 정립과 조현병 환자를 위한 적절한 치료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국내 대형 온라인 검색 엔진인 Naver를 통해 2005~2018년까지 약 800개 미디어가 보도한 온라인 뉴스 기사를 수집했으며, 토픽 모델링과 텍스트 분석을 통해 기사 내 조현병과 관련된 주요 토픽과 키워드를 식별하고 시간에 따른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언론은 범죄와 갈등과 관련된 프레임을 주로 다루고 있었으며, 의학적 정보는 점차 다루지 않기 시작했다. 갈등 프레임은 범죄와 같은 갈등을 포함한 것으로, 조현병 명칭 변경 후 조현병 환자의 범죄 보도는 약 5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 중 2016년 강남역 살인 사건과 같은 특정 사건이 이런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증상과 연구, 원인, 치료 등 의학적 내용의 의료 프레임은 명칭 변경 후 절반 이상 감소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으로 더 이상 중요한 이슈로 여겨지지 않게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외에도 강력범죄 연루 등 조현병 환자의 고정관념이 증폭되는 시회적 인식 변화가 초래됐으며, 부정적인 보도가 증가할 수록 입원 빈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현재 우리나라 언론은 정신질환 보도에서 범죄 등 갈등 위주의 프레임을 주로 다루고 있다\"며 \"이는 정신질환에 대한 불합리학 공포와 낙인을 조성할 수 있어 보도에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요청했다.
조현병 환자라는 이유로 이런 프레임이 씌인 것은 명백히 잘못된 것이라고 본다. 조현병 환자들이
하루 빨리 이 프레임에서 벗어나 모두에게 보호 받을 수 있는 세상이 오길 바란다.
Ⅴ. 참고문헌
김성재 외(2023). 정신간호총론. 경기도: 수문사
우현미, 허금희(2024). 정신건강간호학실습 지침서. 서울: 현문사
고려대학교의료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8651&cid=63166&categoryId=59314
문가인. 경북일보. [세상읽기] 청소년 조현병이 증가하고 있다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1102
변비 비켜! 약보다 효과 빠른 변비에 좋은 지압법 및 장마사지 (자생한방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37723&cid=63166&categoryId=56745
변비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음식과 생활습관을 알려주세요.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3533&cid=63166&categoryId=51020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임웅재. 서울경제. “조현병, 전체 범죄율은 일반인의 1/4···살인·방화는 5~8.5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3661942
이주민(2023). 메디칼업저버. \"우리나라 언론, 조현병 보도에서 자극적인 내용만 다룬다\"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8876
이후경. [이후경의 마음처방전] ‘묻지마 칼부림’이 소환한 조현병 극복하는 탁월한 처방 셋!
http://www.ikunk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38813
조현병 [schizophren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31&cid=51007&categoryId=51007
천명선(2006). 재미있는 인체 이야기. 가나출판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38984&cid=47309&categoryId=47309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간호학/Schizophrenia 조현병(調絃病)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정신간호학 실습하면서 조현병(Schizophrenia) 사례연구자료입니다. 깔끔합니다^^
a+++ 꼼꼼한 케이스 간호학과 정신간호 실습 폐쇄병동 조현병 [schizophrenia] 진단5개 과정2...
[간호진단6개] 조현병 schizophrenia 간호과정 case study (항상 과제 A+ 받고 당연히 이 케...
정신 조현병 schizophrenia 간호과정 case study 간호진단 6개(항상 과제 A+ 받고 당연히 이 ...
정신간호학실습, 조현병Schizophrenia 케이스스터디 A+
정신간호학 조현병 A+(간호진단, 과정 3가지 완벽상세 기술)
A++자료입니다)정신간호학 실습, 조현병 케이스, 조현병 간호진단 3개/A+보장
[간호학과] [정신간호학실습] [A+받은과제] 조현병, Schizophrenia CASESTUDY(케이스스터디)
A+ 조현병 정신간호케이스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 1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