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체장애
(2) 뇌병변장애
(3) 시각장애
(4) 청각장애
(5) 언어장애
(6) 지적장애
(7) 자폐성장애
(8) 정신장애
(9) 신장장애
(10) 심장장애
(11) 호흡기장애
(12) 간장애
(13) 안면장애
(14) 장루 및 요루장애
(15) 뇌전증장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지체장애
(2) 뇌병변장애
(3) 시각장애
(4) 청각장애
(5) 언어장애
(6) 지적장애
(7) 자폐성장애
(8) 정신장애
(9) 신장장애
(10) 심장장애
(11) 호흡기장애
(12) 간장애
(13) 안면장애
(14) 장루 및 요루장애
(15) 뇌전증장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애인에게 지켜야 하는 예절은 다음과 같다. 호흡을 할 때 힘들어하며 폐나 기관지가 약한 경우가 많다. 심장장애와 마찬가지로 공기가 쾌적한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흡연을 해서는 안 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마스크를 구비해서 나눠는 것도 필요하다.
(12) 간장애
열두 번째 간장애를 가진 장애인에게 지켜야 하는 예절은 다음과 같다. 간 기능의 저하로 어려움을 겪는 것이 간장애이다. 주로 피로를 쉽게 겪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과도한 일정을 짜지 않아야 한다. 술 또한 권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복수가 찬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상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13) 안면장애
열세 번째 안면장애를 가진 장애인에게 지켜야 하는 예절은 다음과 같다. 안면의 변형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의 외형을 보고 무례하게 계속 쳐다보아서는 안 된다. 자신들의 외형을 가리기 위해서 아이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함부로 벗기려고 해서는 안 된다.
(14) 장루 및 요루장애
열네 번째 장루 및 요루장애를 가진 장애인에게 지켜야 하는 예절은 다음과 같다. 배변 및 배뇨 기능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많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리를 비울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복부에 무리가 가면 탈장까지 일어날 수 있어서 무리하게 힘을 쓰는 일을 하지 않도록 도와야 한다.
(15) 뇌전증장애
열다섯 번째 뇌전증장애를 가진 장애인에게 지켜야 하는 예절은 다음과 같다. 간질 등으로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 전에 사전에 간질 발작 시 어떻게 도와야 하는지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 발작을 겪게 될 경우에는 절차에 맞춰서 도와주어야 하며 특히 숨을 쉴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3. 결론
본고에서는 15개의 장애유형별로 지켜야 할 예절 및 배려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각 장애유형 별로 어떤 증상을 보이는 지, 그렇기 때문에 어떤 배려를 해야 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고를 계기로 점차 장애인 복지에 대한 여론이 형성되고 따뜻한 배려가 자리잡는 사회가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4. 참고문헌
1. 세심한 배려가 있는 아름다운 사회, 경남일보, 황숙자,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6156
2. 장애인복지론, 임종호 외 2명 , 학지사, 2022
(12) 간장애
열두 번째 간장애를 가진 장애인에게 지켜야 하는 예절은 다음과 같다. 간 기능의 저하로 어려움을 겪는 것이 간장애이다. 주로 피로를 쉽게 겪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과도한 일정을 짜지 않아야 한다. 술 또한 권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복수가 찬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상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13) 안면장애
열세 번째 안면장애를 가진 장애인에게 지켜야 하는 예절은 다음과 같다. 안면의 변형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의 외형을 보고 무례하게 계속 쳐다보아서는 안 된다. 자신들의 외형을 가리기 위해서 아이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함부로 벗기려고 해서는 안 된다.
(14) 장루 및 요루장애
열네 번째 장루 및 요루장애를 가진 장애인에게 지켜야 하는 예절은 다음과 같다. 배변 및 배뇨 기능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많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리를 비울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복부에 무리가 가면 탈장까지 일어날 수 있어서 무리하게 힘을 쓰는 일을 하지 않도록 도와야 한다.
(15) 뇌전증장애
열다섯 번째 뇌전증장애를 가진 장애인에게 지켜야 하는 예절은 다음과 같다. 간질 등으로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 전에 사전에 간질 발작 시 어떻게 도와야 하는지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 발작을 겪게 될 경우에는 절차에 맞춰서 도와주어야 하며 특히 숨을 쉴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3. 결론
본고에서는 15개의 장애유형별로 지켜야 할 예절 및 배려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각 장애유형 별로 어떤 증상을 보이는 지, 그렇기 때문에 어떤 배려를 해야 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고를 계기로 점차 장애인 복지에 대한 여론이 형성되고 따뜻한 배려가 자리잡는 사회가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4. 참고문헌
1. 세심한 배려가 있는 아름다운 사회, 경남일보, 황숙자,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6156
2. 장애인복지론, 임종호 외 2명 , 학지사, 2022
추천자료
[사회복지]아동복지 서비스의 실태와 문제점 및 사회복지서비스 개선방안
장애인복지정책 문제점과 개선방안
[직업재활]장애인 직업재활의 직, 간접적 분석과 정책적 함의
내부기관 장애의 경제적 어려움 (장애인복지론: [또 다른 장애를 가진 그들 내부기관 장애인...
[장애인복지론] 간 장애(肝障碍/Liver Disorder)
[장애인복지론] 발달장애인 자립생활 권리와 제도화방안 (장애에 대한 사회적 책임, 장애인 ...
[장애인복지] 장애인복지법의 15가지 장애유형별로 일상생활속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기본예절...
장애인복지법의 15가지 장애유형별로 일상생활 속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기본예절을 설명하시오.
[리포트] 장애인복지론(장애인에 대한 기본예절)
장애인복지론_15가지 장애유형별 일상생활 속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기본예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