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무렵 고려는 송뿐만 아니라 대식국(大食國). 일본. 거란.여진 등과도 활발한 교역을 하였다. 이 같은 대외관계의 전개가 외국 상인의 내항 등 대외교역의 확대를 수반하면서 국내 상업과 유통경제의 활성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표-4>고려전기 대외무역
고려의 상업과 유통경제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고려의 교역품을 검토하여보면,
-수입품: 송의 귀금속류. 고급직물. 향료. 장식품. 등 사치품과 일본과 여진의 도검(刀劍). 궁전(弓箭). 철갑(鐵甲) 등 무구류(武具類).
-수입원인: 이 시기의 대외무역이 지배층의 경제적인 이익을 보장하거나 그들의 사치적인 수요를 충 당하는 선에서 이루어졌음을 강하게 시사하여 주고 있다.
-수출품: 세포(細布). 능라(綾羅). 초피(貂皮). 위석(葦席). 송자(松子). 인삼(人蔘) 등.
-수출원인: 당시 지배층이 피지배층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교역한 품목으로서 이 시기 대외무역이 대 체로 지배층의 사치적. 군사적. 목적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채웅석, 「고려전기 화폐유통의 기반」,『한국문화』9,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1988.
이 시기 대외무역을 주도하였던 것은 농민들에 대한 약탈적인 방식에 의존할 없는 그 이상의 잉여생산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비록 대외무역이 귀족지배층에 의해 독점되어 이익분배의 면에서 극히 왜곡된 결과를 가져오기는 하였으나, 대외무역의 확대는 일차적으로 농업생산력의 발달에 부응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보다 순리라고 생각된다. 박종기. 1994. 위 논문. pp.242.
▶참고문헌:
박종기, 1990, 『韓國史新論』(新修版), 潮閣.
박종기,「고려시대의 대외관계」,『한국사』6,한길사.1994.
박종기, 1999, 『5백년 고려사』,푸른 역사.
안병우,「고려와 송의 상호인식과 교섭: 11세기 후반~12세기 전반」,『역사와 현실』43, 2002.
이정신, 2003, 『고려시대의 변동과 대외정책』.
국사편찬위원회, 2008, 『우리 역사 길라잡이』.
간접 참고:
김광수, 「고려전기 대여진교섭과 북방개척문제」,『동양학』7,단국대 동양학 연구소.1977.
김상기, 「고려전기의 해상활동과 문물의 교류」,『동방사논총』,,서울대 출판부, 1984.
박한남, 「거란 및 금과의 통교」, 『한국사』15, 국사편찬위원회, 1995.
박종기, 「11세기 고려의 대외관계와 정국운영론의 추이」,『역사와 현실』,30,1998.
<표-4>고려전기 대외무역
고려의 상업과 유통경제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고려의 교역품을 검토하여보면,
-수입품: 송의 귀금속류. 고급직물. 향료. 장식품. 등 사치품과 일본과 여진의 도검(刀劍). 궁전(弓箭). 철갑(鐵甲) 등 무구류(武具類).
-수입원인: 이 시기의 대외무역이 지배층의 경제적인 이익을 보장하거나 그들의 사치적인 수요를 충 당하는 선에서 이루어졌음을 강하게 시사하여 주고 있다.
-수출품: 세포(細布). 능라(綾羅). 초피(貂皮). 위석(葦席). 송자(松子). 인삼(人蔘) 등.
-수출원인: 당시 지배층이 피지배층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교역한 품목으로서 이 시기 대외무역이 대 체로 지배층의 사치적. 군사적. 목적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채웅석, 「고려전기 화폐유통의 기반」,『한국문화』9,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1988.
이 시기 대외무역을 주도하였던 것은 농민들에 대한 약탈적인 방식에 의존할 없는 그 이상의 잉여생산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비록 대외무역이 귀족지배층에 의해 독점되어 이익분배의 면에서 극히 왜곡된 결과를 가져오기는 하였으나, 대외무역의 확대는 일차적으로 농업생산력의 발달에 부응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보다 순리라고 생각된다. 박종기. 1994. 위 논문. pp.242.
▶참고문헌:
박종기, 1990, 『韓國史新論』(新修版), 潮閣.
박종기,「고려시대의 대외관계」,『한국사』6,한길사.1994.
박종기, 1999, 『5백년 고려사』,푸른 역사.
안병우,「고려와 송의 상호인식과 교섭: 11세기 후반~12세기 전반」,『역사와 현실』43, 2002.
이정신, 2003, 『고려시대의 변동과 대외정책』.
국사편찬위원회, 2008, 『우리 역사 길라잡이』.
간접 참고:
김광수, 「고려전기 대여진교섭과 북방개척문제」,『동양학』7,단국대 동양학 연구소.1977.
김상기, 「고려전기의 해상활동과 문물의 교류」,『동방사논총』,,서울대 출판부, 1984.
박한남, 「거란 및 금과의 통교」, 『한국사』15, 국사편찬위원회, 1995.
박종기, 「11세기 고려의 대외관계와 정국운영론의 추이」,『역사와 현실』,30,1998.
추천자료
고려의 건국과 호족
고려시대의 미술교육
[토지제도][고대사회][고구려][신라][고려][조선][일제강점기][광복이후]고대사회의 토지제도...
[성리학][성리학 이념][고려말 성리학][조선시대 성리학][관학화][도학화]성리학의 기능, 성...
고려가요의 궁중가요화와 여음의 특성
고려가요의 겸연쩍음의 미학
고려시대의 사회복지 역사
5학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다양한 문화를 꽃피운 고려 - 고려 과학 기술의 ...
[통일관(남북통일관)][한국 통일관][북한 통일관][고려 통일관]통일관(남북통일관)과 한국의 ...
[일본도자기][일본도자기 역사][일본도자기와 고려다완][일본도자기와 도자기축제][일본도자...
[역사의식][역사의식과 의식유형][역사의식과 고려시대][역사의식과 춘원 이광수][정산종사][...
[화학부문 기업][화학][기업][SK에버텍][금강고려화학]화학부문 기업 SK에버텍, 화학부문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