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의이해와지원_즐겁게 하기 위해서는 레크레이션 스팟이나, 웃음, 놀이 등을 통한 프로그램이 중요한데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매의이해와지원_즐겁게 하기 위해서는 레크레이션 스팟이나, 웃음, 놀이 등을 통한 프로그램이 중요한데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치매의 개념
2) 치료레크리에이션의 개념과 필요성
3) 레크레이션 사례(2case)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나누어 준다.
* 이 스티커의 이름을 ”스마일 버튼”이라고 부르기로 전원 약속한다.
* 각자 스마일 버튼을 어디에 붙일 것인지에 대하여 생각하는 시간을 갖고, 이 버튼을 누르면 무조건 15초 정도 함박웃음을 웃거나 박장대소로 웃어야 하고 아랫배를 움켜잡고 온몸으로 들썩거리며 웃어야 한다고 원칙을 설명한 뒤 한두 명의 참가자를 시켜보면서 원칙을 상기시킨다.
* 스티커를 자신이 붙이고 싶은 곳에 마음대로 붙인다.(얼굴, 배, 팔, 등, 이름표) 그리고 상 대의 또는 서로의 스마일 버튼을 누르면서 신나게 마주 보며 웃는다.
* 액션을 강화하거나 큰 동작으로 움직이면서 크게 웃을수록 효과는 배가 된다.
* 이 게임의 경우는 혼자씩 하는 것은 수동적으로 될 수 있기에 반드시 2명 내지는 4명으로, 서로 얼굴을 보면서 상대의 웃는 얼굴을 보면서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3. 결론
지금까지 치매 노인에 대한 이해와 레크리에이션의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레크리에이션이 직접적으로 치매를 완화하거나 증상을 개선 시키는 효과는 미미하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치료레크리에이션을 통하여 개인의 내재적인 인지 영역 속에 남아 있는 지각이나 운동신경 등에 대하여 잔존능력이 급격하게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 활동을 통하여 노인의 성취감이나 자신감을 향상 시키고 매 순간 불안과 우울한 감정 대신 즐거움을 선사해 준다는 것은 분명한 치료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이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를 통하여 일상 수행 능력을 개발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치매의 정도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연구가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치료적 효과 발생을 위해, 일회성의 게임이 아닌 일상생활 수행에 있어 재활과 연관된 지속적인 활동이 이루어져야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 현장 분야에서 이러한 전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정착될 수 있도록 국가와 사회의 적극적인 지원체계 또한 필요하며 무엇보다 많은 사람이 치매에 관한 관심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해본다.
4. 참고문헌
1) 권중돈 외, 치매와 가족, 학지사, 2002
2) 김영숙, 치매에 대한 통합적 접근법, 교육과학사, 2002
3) 대전치료레크레이션협회편, 치료레크리에이션 개입전략, 2004
4) 전은미,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2007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5.03.05
  • 저작시기202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83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