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남한 학교 편입학 과정의 개선
2) 새터민 청소년에 대한 경제적 지원
3) 자원봉사자를 이용한 멘토링 시스템 구축
4) 학교교육의 개선을 통한 학교적응 능력 신장
5) 정부와 민간, 중앙과 지방의 협동 지원 체제 형성
6)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7) 대안학교의 필요성
2) 새터민 청소년에 대한 경제적 지원
3) 자원봉사자를 이용한 멘토링 시스템 구축
4) 학교교육의 개선을 통한 학교적응 능력 신장
5) 정부와 민간, 중앙과 지방의 협동 지원 체제 형성
6)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7) 대안학교의 필요성
본문내용
치유가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여섯째, 진로개발 상담 및 직업훈련이다. 이들이 구지 대학을 가지 않더라도 남한 사회에서 충분히 잘 살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한편 정말 관심 있고 잘할 수 있는 것들을 개발하여 사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7) 대안학교의 필요성
많은 새터민 청소년들이 남한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도 탈락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들의 상황에 적합한 방법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대안학교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여러 민간단체에서 운영하는 대안학교들이 제도권 교육에서 낙오한 새터민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다. 또한 그동안 경험을 토대로 한 새터민 청소년 관련 전문성을 가지고 있어 새터민 청소년의 적응을 돕는 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진로개발 상담 및 직업훈련이다. 이들이 구지 대학을 가지 않더라도 남한 사회에서 충분히 잘 살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한편 정말 관심 있고 잘할 수 있는 것들을 개발하여 사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7) 대안학교의 필요성
많은 새터민 청소년들이 남한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도 탈락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들의 상황에 적합한 방법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대안학교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여러 민간단체에서 운영하는 대안학교들이 제도권 교육에서 낙오한 새터민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다. 또한 그동안 경험을 토대로 한 새터민 청소년 관련 전문성을 가지고 있어 새터민 청소년의 적응을 돕는 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