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산 문제에서는 단위 환산에 유의해야 한다.
76. 기관절개관 적용 후 간호는?
① 변형된 트렌델렌버그 적용
② 시간은 2030초 간격으로 적용
③ 흡입압은 40-60mmHg으로 유지한다.
④ 흡입액 통과 시 증류수를 사용한다.
⑤ 흡입할 때 안전관을 막고 한다.
정답: ③
정답해설: 성인 기관 흡인의 적정 압력은 4060mmHg 정도이다. 너무 높은 압력은 기도 손상을 유발하고, 낮으면 분비물 제거가 불충분하다. 따라서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77. 5% D/W 1500ml를 10시간 동안 정맥주입할 때 1분당 점적수는?
① 25
② 50
③ 75gtt/분
④ 100gtt/분
⑤ 150gtt/분
정답: ③
정답해설: 1500ml ÷ 10시간 = 150ml/hr이다. 성인 점적수 20gtt/ml를 적용하면 150×20 ÷ 60분 = 50gtt/min이 아닌, 75gtt/min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75gtt/분이다.
78. 수술실이나 분만실에 적용하며 특히 무균병동 간호사가 사용하는 외과적 무균술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무균 적용된 가장자리도 무균으로 간주한다
② 무균된 것이 의심된다면 무균으로 간주한다
③ 허리 이상에 있고 시야 내에 있는 경우 멸균으로 간주한다
④ 세척 후 알코올에 담가둔 겸자는 멸균으로 간주한다
⑤ 멸균포는 간호사에게서 가까운 쪽→양쪽 옆쪽→먼 쪽으로 푼다
정답: ③
정답해설: 멸균 영역은 허리 이상, 시야 내에 있는 부분만 유효하다. 허리 아래나 시야에서 벗어난 물품은 오염된 것으로 본다. 따라서 외과적 무균술에서는 시야 확보와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79. 당뇨검사 중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치를 반영하는 검사항목은?
① 간이혈당검사
② 공복혈당검사
③ 식후혈당검사
④ 경구당부하검사
⑤ 당화혈색소검사
정답: ⑤
정답해설: 당화혈색소(HbA1c)는 2~3개월간의 평균 혈당을 반영한다. 이는 혈액 내 포도당이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단기 혈당 변동보다 장기 조절 상태를 확인하는 데 적합하다.
80. 욕창 단계 중 피하 전체 손상과 근육 손상이 일어나는 것은?
① 1단계
② 2단계
③ 3단계
④ 4단계
⑤ 미분류 단계
정답: ④
정답해설: 욕창 4단계는 피하조직을 넘어 근육과 뼈까지 손상되는 심한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괴사조직이 동반될 수 있다. 따라서 적극적인 외과적 처치와 감염 관리가 필요하다.
81. 억제대 사용 시 간호중재로 옳은 것
① 억제대는 최대한 꽉 끼게 적용한다.
② 섬망 환자는 즉시 보호대(억제대)를 적용해야 한다.
③ 적용부위는 30분마다 감각 등을 사정한다.
④ 환자의 안전을 위해 보호대는 24시간 적용해야 한다.
⑤ 흥분한 환자는 퇴원 시까지 보호대를 적용해야 한다.
정답: ③
정답해설: 억제대 사용 시에는 순환, 감각, 피부 상태를 주기적으로 사정해야 한다. 권장 주기는 30분 간격이다. 이는 환자 안전과 합병증 예방을 위해 필수적이다.
82. 치질 환자의 수술 시 체위는?
① 앙와위
② 측와위
③ 쇄석위
④ 복위
⑤ 잭-나이프 체위
정답: ⑤
정답해설: 치질 수술은 항문 부위 접근이 용이한 잭-나이프 체위에서 시행된다. 이 체위는 복위에서 엉덩이를 들어 올려 시야 확보를 돕는다. 따라서 항문 질환 수술에 적합하다.
83. 55세 남성 위전절제술 전 혈액검사로 옳지 않은 것은?
① Hb : 8mg/dL
② Na : 143mEq/L
③ WBC : 8,000/mm³
④ AST/ALT : 35/32IU/L
⑤ PLT : 350,000
정답: ①
정답해설: 정상 Hb 수치는 남성 13~17g/dL 정도이다. 8mg/dL은 심한 빈혈 상태로 수술 전 교정이 필요하다. 나머지 수치는 정상 범위에 해당한다.
84. 47세 여성 환자가 심장 통증을 호소하며 병원에서 진단을 위해 방문했다.
① 증상인지 단계
② 증상치료 단계
③ 환자역할수행 단계
④ 의존역할수행 단계
⑤ 치료와 재활 단계
정답: ③
정답해설: 환자역할수행 단계는 질병으로 인해 환자가 의료인의 도움을 받는 단계이다. 이때 환자는 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거나 치료를 시작한다. 따라서 문제 상황은 환자역할수행 단계에 해당한다.
85. 헤파린 피하주사 시 주의사항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배꼽 주위 5cm 피해서 주사한다
② 피부에 각도 1015도로 주사한다
③ 약물 준비 후 새 주사바늘로 교환한다
④ 수술 후 수술 부위를 문지르지 않는다
⑤ 혈액이 나오는지 주사기 내관을 당겨 확인하지 않는다
정답: ②
정답해설: 헤파린 피하주사는 90도 혹은 피하지방이 얇으면 45도로 주입한다. 1015도는 근육주사와 혼동한 각도이다. 따라서 ②는 잘못된 설명이다.
86. 폐엽절제술 시행 후 간호가 아닌 것은?
① 의식 돌아오고 반좌위를 취해준다
② 조기이상을 격려한다
③ 수분섭취를 줄인다
④ 심호흡과 기침을 권장한다
⑤ 밀봉배액기구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정답: ③
정답해설: 수술 후에는 점액 배출과 회복을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수분을 줄이는 것은 오히려 분비물 정체와 합병증을 초래한다. 따라서 ③은 올바르지 않다.
87. 활동성 결핵환자의 격리지침으로 옳은 것
① 들어가기 전 병실 밖에서 가운 등을 착용하고 입장
② 병실에 들어가기 전 접촉 주의에 맞는 가운 등을 착용
③ 병실 문을 닫아두고 양압이 유지되는 1인실을 이용한다.
④ 병실 들어갈 때 간호사는 N95마스크를 착용
⑤ 병실에서 나올 때 환자는 N95마스크를 착용한다.
정답: ④
정답해설: 활동성 결핵은 공기 전파감염이므로 의료진은 반드시 N95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환자가 외부 이동 시에는 외과용 마스크를 착용한다. 병실은 음압격리실이 원칙이다.
88. 폐색전증 위험인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오래 누워 휴식을 취하는 손상이나 질병
② 40세 미만의 성인
③ 비행기에서 오랜 기간 앉아야 하는 경우
④ 흡연
⑤ 경구피임약 복용
정답: ②
정답해설: 폐색전증은 혈전 생성과 정맥 순환 정체와 관련이 깊다. 장시간 부동, 흡연, 호르몬제 사용 등이 주요 위험 요인이다. 그러나 40세 미만 성인은 상대적으로 위험 인자가 되지 않는다.
76. 기관절개관 적용 후 간호는?
① 변형된 트렌델렌버그 적용
② 시간은 2030초 간격으로 적용
③ 흡입압은 40-60mmHg으로 유지한다.
④ 흡입액 통과 시 증류수를 사용한다.
⑤ 흡입할 때 안전관을 막고 한다.
정답: ③
정답해설: 성인 기관 흡인의 적정 압력은 4060mmHg 정도이다. 너무 높은 압력은 기도 손상을 유발하고, 낮으면 분비물 제거가 불충분하다. 따라서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77. 5% D/W 1500ml를 10시간 동안 정맥주입할 때 1분당 점적수는?
① 25
② 50
③ 75gtt/분
④ 100gtt/분
⑤ 150gtt/분
정답: ③
정답해설: 1500ml ÷ 10시간 = 150ml/hr이다. 성인 점적수 20gtt/ml를 적용하면 150×20 ÷ 60분 = 50gtt/min이 아닌, 75gtt/min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75gtt/분이다.
78. 수술실이나 분만실에 적용하며 특히 무균병동 간호사가 사용하는 외과적 무균술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무균 적용된 가장자리도 무균으로 간주한다
② 무균된 것이 의심된다면 무균으로 간주한다
③ 허리 이상에 있고 시야 내에 있는 경우 멸균으로 간주한다
④ 세척 후 알코올에 담가둔 겸자는 멸균으로 간주한다
⑤ 멸균포는 간호사에게서 가까운 쪽→양쪽 옆쪽→먼 쪽으로 푼다
정답: ③
정답해설: 멸균 영역은 허리 이상, 시야 내에 있는 부분만 유효하다. 허리 아래나 시야에서 벗어난 물품은 오염된 것으로 본다. 따라서 외과적 무균술에서는 시야 확보와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79. 당뇨검사 중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치를 반영하는 검사항목은?
① 간이혈당검사
② 공복혈당검사
③ 식후혈당검사
④ 경구당부하검사
⑤ 당화혈색소검사
정답: ⑤
정답해설: 당화혈색소(HbA1c)는 2~3개월간의 평균 혈당을 반영한다. 이는 혈액 내 포도당이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단기 혈당 변동보다 장기 조절 상태를 확인하는 데 적합하다.
80. 욕창 단계 중 피하 전체 손상과 근육 손상이 일어나는 것은?
① 1단계
② 2단계
③ 3단계
④ 4단계
⑤ 미분류 단계
정답: ④
정답해설: 욕창 4단계는 피하조직을 넘어 근육과 뼈까지 손상되는 심한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괴사조직이 동반될 수 있다. 따라서 적극적인 외과적 처치와 감염 관리가 필요하다.
81. 억제대 사용 시 간호중재로 옳은 것
① 억제대는 최대한 꽉 끼게 적용한다.
② 섬망 환자는 즉시 보호대(억제대)를 적용해야 한다.
③ 적용부위는 30분마다 감각 등을 사정한다.
④ 환자의 안전을 위해 보호대는 24시간 적용해야 한다.
⑤ 흥분한 환자는 퇴원 시까지 보호대를 적용해야 한다.
정답: ③
정답해설: 억제대 사용 시에는 순환, 감각, 피부 상태를 주기적으로 사정해야 한다. 권장 주기는 30분 간격이다. 이는 환자 안전과 합병증 예방을 위해 필수적이다.
82. 치질 환자의 수술 시 체위는?
① 앙와위
② 측와위
③ 쇄석위
④ 복위
⑤ 잭-나이프 체위
정답: ⑤
정답해설: 치질 수술은 항문 부위 접근이 용이한 잭-나이프 체위에서 시행된다. 이 체위는 복위에서 엉덩이를 들어 올려 시야 확보를 돕는다. 따라서 항문 질환 수술에 적합하다.
83. 55세 남성 위전절제술 전 혈액검사로 옳지 않은 것은?
① Hb : 8mg/dL
② Na : 143mEq/L
③ WBC : 8,000/mm³
④ AST/ALT : 35/32IU/L
⑤ PLT : 350,000
정답: ①
정답해설: 정상 Hb 수치는 남성 13~17g/dL 정도이다. 8mg/dL은 심한 빈혈 상태로 수술 전 교정이 필요하다. 나머지 수치는 정상 범위에 해당한다.
84. 47세 여성 환자가 심장 통증을 호소하며 병원에서 진단을 위해 방문했다.
① 증상인지 단계
② 증상치료 단계
③ 환자역할수행 단계
④ 의존역할수행 단계
⑤ 치료와 재활 단계
정답: ③
정답해설: 환자역할수행 단계는 질병으로 인해 환자가 의료인의 도움을 받는 단계이다. 이때 환자는 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거나 치료를 시작한다. 따라서 문제 상황은 환자역할수행 단계에 해당한다.
85. 헤파린 피하주사 시 주의사항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배꼽 주위 5cm 피해서 주사한다
② 피부에 각도 1015도로 주사한다
③ 약물 준비 후 새 주사바늘로 교환한다
④ 수술 후 수술 부위를 문지르지 않는다
⑤ 혈액이 나오는지 주사기 내관을 당겨 확인하지 않는다
정답: ②
정답해설: 헤파린 피하주사는 90도 혹은 피하지방이 얇으면 45도로 주입한다. 1015도는 근육주사와 혼동한 각도이다. 따라서 ②는 잘못된 설명이다.
86. 폐엽절제술 시행 후 간호가 아닌 것은?
① 의식 돌아오고 반좌위를 취해준다
② 조기이상을 격려한다
③ 수분섭취를 줄인다
④ 심호흡과 기침을 권장한다
⑤ 밀봉배액기구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정답: ③
정답해설: 수술 후에는 점액 배출과 회복을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수분을 줄이는 것은 오히려 분비물 정체와 합병증을 초래한다. 따라서 ③은 올바르지 않다.
87. 활동성 결핵환자의 격리지침으로 옳은 것
① 들어가기 전 병실 밖에서 가운 등을 착용하고 입장
② 병실에 들어가기 전 접촉 주의에 맞는 가운 등을 착용
③ 병실 문을 닫아두고 양압이 유지되는 1인실을 이용한다.
④ 병실 들어갈 때 간호사는 N95마스크를 착용
⑤ 병실에서 나올 때 환자는 N95마스크를 착용한다.
정답: ④
정답해설: 활동성 결핵은 공기 전파감염이므로 의료진은 반드시 N95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환자가 외부 이동 시에는 외과용 마스크를 착용한다. 병실은 음압격리실이 원칙이다.
88. 폐색전증 위험인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오래 누워 휴식을 취하는 손상이나 질병
② 40세 미만의 성인
③ 비행기에서 오랜 기간 앉아야 하는 경우
④ 흡연
⑤ 경구피임약 복용
정답: ②
정답해설: 폐색전증은 혈전 생성과 정맥 순환 정체와 관련이 깊다. 장시간 부동, 흡연, 호르몬제 사용 등이 주요 위험 요인이다. 그러나 40세 미만 성인은 상대적으로 위험 인자가 되지 않는다.
키워드
추천자료
[2026대비] 보훈병원 필기시험 기출(복원) 문제 총정리(100문항 및 정답제공)
생활일본어 기말고사 기출문제 족보 88문항 / 2020년~2024년 생활 일본어 기말 기출족보 정리...
살빼기 운동과 영양조절 기말고사 기출문제 족보 88문항 / 2021년~2024년 살빼기 운동과 영양...
[결혼과 가족 중간고사 족보] OCU 결혼과 가족 중간고사 기출문제 및 족보 88문항 / 결혼과 ...
[서울의료원 간호사 필기시험 기출문제 정리]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간호사 필기시험 기출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사 필기시험 기출문제 정리] 서울대학교병원(서울대병원) 간호사 필기시...
서울의료원 간호사 필기시험 기출 73문항 정리 (서울의료원 간호사 필기시험 2회이상 반복기...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사 필기시험 기출 75문항 정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사 필기시험 2회이상...
[2026년 대비] 서울의료원 간호사 필기시험 기출족보 100문항 (정답,해설포함)
(생활속의 계약과 협상 중간,기말 족보) 생활속의 계약과 협상 중간고사,기말고사 족보 88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