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분자량 값은 118.09g
오차 값: 1.67g
6.고찰(discussion)
지시약을 이용해 산-염기 적정을 통하여 산-염기 적정법을 이해하는 실험이었다. 이번 실험은 전에 했던 실험보다 복잡했던 실험이었다. succinic acid와 NaOH과 증류수를 정확한 부피로 시료를 만들고 나서 삼각플라스크 안에 준비된 NaOH과 페놀프탈레인 혼합한 곳에 조금씩 떨어뜨린다. 20ml 일 때부터 한 방울씩 떨어뜨려 아주 흐린 핑크색이 되도록 만들어야 했다. 떨어뜨리는 동안에 스핀을 만드는 장치인 magnetic bar & 교반기 이용해 섞어 주었다. 아주 흐린 핑크가 아닌 핑크색이 나타나면 실험은 실패다. 왜냐하면 그 상태는 중성 상태가 아닌 염기성 상태이기 때문이다. NaOH의 값이 조금씩 값이 다르게 나왔다. 뷰렛의 눈금을 읽을 때 오목한 부분으로 읽는데 밀리미터 단위까지는 정확하게 나오지 않고 눈대중으로 읽기 때문에 평균값의 몰농도와 계산 값의 몰농도가 오차가 났다고 생각한다. 삼각 플라스크 안에 처음에 물로 씻었기 때문에 그 물기로 인해 부피가 달라져 오차가 났을 것 같다. 그래서 같은 과정의 실험을 3번 반복해서 평균값을 구하였다. 지시약의 색이 분홍색으로 변화는 과정에서 색의 진하기가 어느 정도이어야 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해 조교 선생님의 도움을 받았지만 오차가 나타났다. 또한 뷰렛의 NaOH를 조금씩 넣어주는 과정에서 맨 밑의 눈금을 지나치도록 넣어버려 정확한 부피 측정을 위해 다시 처음부터 실험할 수밖에 없었다. 이번 실험을 수행하면서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고, 산과 염기의 각 적정에 대해 지시약을 무엇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확실히 알게 되었고, 적정 공식을 이용해 미지 시료의 농도와 함량을 알아낼 수 있게 되었다.
7.참고문헌 (reference)
브라운의 유기화학 제 5판 사이플러스 p176~177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62&docId=294229&mobile&categoryId=562
http://blog.naver.com/feelo__o?Redirect=Log&logNo=70139515612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247952&mobile&categoryId
http://blog.naver.com/cnarcis?Redirect=Log&logNo=36635858
오차 값: 1.67g
6.고찰(discussion)
지시약을 이용해 산-염기 적정을 통하여 산-염기 적정법을 이해하는 실험이었다. 이번 실험은 전에 했던 실험보다 복잡했던 실험이었다. succinic acid와 NaOH과 증류수를 정확한 부피로 시료를 만들고 나서 삼각플라스크 안에 준비된 NaOH과 페놀프탈레인 혼합한 곳에 조금씩 떨어뜨린다. 20ml 일 때부터 한 방울씩 떨어뜨려 아주 흐린 핑크색이 되도록 만들어야 했다. 떨어뜨리는 동안에 스핀을 만드는 장치인 magnetic bar & 교반기 이용해 섞어 주었다. 아주 흐린 핑크가 아닌 핑크색이 나타나면 실험은 실패다. 왜냐하면 그 상태는 중성 상태가 아닌 염기성 상태이기 때문이다. NaOH의 값이 조금씩 값이 다르게 나왔다. 뷰렛의 눈금을 읽을 때 오목한 부분으로 읽는데 밀리미터 단위까지는 정확하게 나오지 않고 눈대중으로 읽기 때문에 평균값의 몰농도와 계산 값의 몰농도가 오차가 났다고 생각한다. 삼각 플라스크 안에 처음에 물로 씻었기 때문에 그 물기로 인해 부피가 달라져 오차가 났을 것 같다. 그래서 같은 과정의 실험을 3번 반복해서 평균값을 구하였다. 지시약의 색이 분홍색으로 변화는 과정에서 색의 진하기가 어느 정도이어야 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해 조교 선생님의 도움을 받았지만 오차가 나타났다. 또한 뷰렛의 NaOH를 조금씩 넣어주는 과정에서 맨 밑의 눈금을 지나치도록 넣어버려 정확한 부피 측정을 위해 다시 처음부터 실험할 수밖에 없었다. 이번 실험을 수행하면서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고, 산과 염기의 각 적정에 대해 지시약을 무엇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확실히 알게 되었고, 적정 공식을 이용해 미지 시료의 농도와 함량을 알아낼 수 있게 되었다.
7.참고문헌 (reference)
브라운의 유기화학 제 5판 사이플러스 p176~177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62&docId=294229&mobile&categoryId=562
http://blog.naver.com/feelo__o?Redirect=Log&logNo=70139515612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247952&mobile&categoryId
http://blog.naver.com/cnarcis?Redirect=Log&logNo=36635858
추천자료
식품중 유기산 정량
생활속의 산.염기 분석
[자연과학] (일반화학실험) 생활 속의 산-염기 분석
화학실험 사례1(화학평형이동), 화학실험 사례2(용해도곱상수결정), 화학실험 사례3(산소요구...
화학실험 사례(에멀젼합성, 산소요구량), 화학실험 사례(평형상수결정), 화학실험 사례(밀크,...
아스피린의 합성과 순도측정(대학레포트 A+)
산도와 알칼리도 실험(예비, 결과)
[일반화학실험2 레포트] 알칼리 소비량
[일반화학실험 A+ 1등 레포트] 실험 23. 비타민 C의 정량분석 실험 결과보고서
[분석화학실험] 산-염기 적정(지시약 사용) 결과 결과보고서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