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최소분량 제한은 없으며 최대 A4지 3쪽까지 작성할 수 있습니다. (15점)
1)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은 어떠한 인간인가?
2)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왜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는가?
3)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라는 칸트의 말은 무슨 의미인가?
4) 정언명령이란 무엇인가?
5) 홉스에 따르면 사회계약은 어떤 이유로 체결될 수 있는가?
6) 흄은 도덕이 어떻게 성립된 것이라고 보았는가?
7) '무의식의 의식화'란 무슨 의미인가?
8) 프로이트에게 도덕은 무엇인가?
2. 교재와 강의 4장을 공부하고 교재 92페이지의 2번문제 (에로스로서의 사랑-결핍과 충족)에 딸린 6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최소분량 제한은 없으며 최대 A4지 3쪽까지 작성할 수 있습니다. (15점)
1) 에로스의 원래 뜻은 무엇인가?
2) 아리스토파네스는 에로스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3) 실존의 의미를 어원적 차원과 더불어 설명하라.
4) 사랑에 빠진 이들에게 하는 루크레티우스의 충고는 무엇이고, 왜 그러한 충고를 하고 있는지 설명하라.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3. 참고문헌
1)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은 어떠한 인간인가?
2)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왜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는가?
3)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라는 칸트의 말은 무슨 의미인가?
4) 정언명령이란 무엇인가?
5) 홉스에 따르면 사회계약은 어떤 이유로 체결될 수 있는가?
6) 흄은 도덕이 어떻게 성립된 것이라고 보았는가?
7) '무의식의 의식화'란 무슨 의미인가?
8) 프로이트에게 도덕은 무엇인가?
2. 교재와 강의 4장을 공부하고 교재 92페이지의 2번문제 (에로스로서의 사랑-결핍과 충족)에 딸린 6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최소분량 제한은 없으며 최대 A4지 3쪽까지 작성할 수 있습니다. (15점)
1) 에로스의 원래 뜻은 무엇인가?
2) 아리스토파네스는 에로스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3) 실존의 의미를 어원적 차원과 더불어 설명하라.
4) 사랑에 빠진 이들에게 하는 루크레티우스의 충고는 무엇이고, 왜 그러한 충고를 하고 있는지 설명하라.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기에 충족은 끝내 불가능하고, 불가능성은 불안을, 불안은 집착을, 집착은 다시 권태와 환멸을 초래하는 악순환을 낳는다. 셋째, 인간이 무한을 욕망하는 한 무한한 쾌락 증대는 구조적으로 좌절될 수밖에 없기에, 현명한 이는 충족 가능한 욕구와 충족 불가능한 욕망을 구분하고, 후자에 대한 기대를 걷어내어 마음의 동요를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이유로 루크레티우스는 사랑의 열정이 약속하는 ‘영원한 합일’과 ‘완전한 만족’의 표상을 믿지 말라고 타이른다. 그는 사랑이 만들어내는 상상의 과잉과 정서의 동요를 거두고, 필수적 욕구의 수준에서 감각적 즐거움을 절도 있게 누리며,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삶의 안정 속에서 평정한 쾌락을 지속하라고 권한다. 요컨대 그의 충고는 욕망의 무한 증식을 멈추어 고통의 재생산 고리를 끊고, 유한한 존재에 걸맞은 만족의 경계 안에서 마음의 평화를 보존하라는 실천적 지혜로 요약된다.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플라톤이 이해한 에로스는 당대 그리스인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던 사랑과는 차원이 다르다.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에로스는 상대방이 가진 매력, 곧 아름다운 외모나 고결한 인격에 대한 욕망이었다. 그러나 플라톤은 사랑을 단순히 구체적인 인격의 아름다움에 대한 열정으로 보지 않고, 아름다움 자체(Beauty itself), 곧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가치에 대한 열망으로 파악하였다.
그는 『향연』에서 소크라테스의 입을 빌려 사랑의 기원을 설명한다. 에로스는 풍요와 지혜의 신인 포로스(Poros)와 결핍의 여신인 페니아(Penia) 사이에서 태어난 존재이다. 이 혈통은 에로스에게 모순적인 본성을 부여한다. 한편으로 에로스는 어머니 페니아의 본성을 이어받아 언제나 부족하고 결핍되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아버지 포로스의 본성을 이어받아 그 결핍을 메우기 위해 지혜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끊임없는 동경과 모험심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에로스는 무지와 지혜 사이, 결핍과 충족 사이에 서 있는 중간자적 존재이다. 그는 결핍을 안고 있지만 그 결핍을 계기로 정신적 상승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열정의 힘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플라톤적 사랑은 단순히 타인의 매력을 소유하고자 하는 열정이 아니라, 영혼이 스스로 완전성에 이르려는 자기 초월적 열망이다. 에로스는 잃어버린 반쪽을 찾는 환희적 경험이나 육체적 결합에 머무르지 않고, 개별적 대상에 한정되지 않은 추상적 미, 진리, 선, 지혜를 향한 끊임없는 상승 운동으로 이해된다. 플라토닉 러브(Platonic love)란 바로 이 정신적·철학적 사랑을 의미한다. 그것은 욕망을 통해 상대를 수단화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성장하고 성숙을 추구하는 동등한 관계 속에서 실현되는 사랑이다.
알키비아데스와 소크라테스의 일화를 통해 플라톤은 이러한 차이를 더욱 뚜렷하게 드러낸다. 알키비아데스는 자신의 아름다움과 소크라테스의 지혜를 교환하자는 식의 관계를 제안했지만, 소크라테스는 이를 거부했다. 왜냐하면 진정한 에로스는 타인의 미덕을 빌려 자신의 결핍을 채우는 거래적 욕망이 아니라, 자발적인 영혼의 성숙을 향한 능동적 열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참된 에로스는 상대를 숭배하거나 의존하는 태도로는 이루어질 수 없으며, 동등한 자유인으로서 서로를 정신적 모험의 동반자로 인정할 때 가능하다.
따라서 플라톤에게 에로스는 영혼의 완전성을 향한 자발적 상승의 열정이다. 그것은 욕망을 넘어선 추구이며, 추상적 가치에 대한 사랑이다. 여기에서 사랑은 더 이상 개인적 결핍을 채우려는 이기적 소유의 욕망이 아니라, 자기 존재를 더 높은 차원으로 이끄는 창조적이고 능동적인 힘이 된다.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알키비아데스가 소크라테스에게 보여준 사랑 고백의 태도에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그는 당시 그리스 사회에서 통용되던 에로스의 상식적 관념, 즉 상대방이 가진 탁월한 장점이나 미덕을 자신의 것으로 끌어와 결핍을 메우려는 열망에 사로잡혀 있었다. 알키비아데스는 자신의 젊음과 외모를 내세워, 그 대가로 소크라테스의 지혜와 영혼의 아름다움을 얻고자 했다. 이는 사랑을 동등한 관계로 이해한 것이 아니라, 서로의 자원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사고한 것이며, 결국 사랑을 수단화하는 태도였다.
문제는 이러한 태도가 플라톤이 『향연』에서 소크라테스를 통해 말한 진정한 사랑의 본질과는 전혀 어긋난다는 점이다. 플라톤에게 사랑은 특정 인격의 아름다움에 매혹되어 그것을 소유하려는 열망이 아니라, ‘아름다움 자체(Beauty itself)’라는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가치를 향한 영혼의 상승과 성숙의 과정이었다. 그러나 알키비아데스는 이 사랑을 영혼의 자발적 성숙으로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소크라테스라는 인물의 미덕을 빌려 자신을 보완하려는 의존적 태도에 머물렀다.
이러한 태도는 사랑을 진정한 ‘성숙한 관계’로 만들지 못한다. 상대방의 지혜나 미덕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려는 태도는 곧 상대를 숭배하고 자신을 종속시키는 주종 관계로 전락한다. 이런 관계는 평등하고 자유로운 연인의 관계가 아니라, 한쪽이 지배하고 다른 한쪽이 예속되는 불균형한 관계일 수밖에 없다. 결국 알키비아데스의 고백은 표면적으로는 존경과 헌신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결핍을 채우려는 이기적 욕망을 은폐한 것일 뿐이다. 사랑을 통해 정신의 완전성을 이루려면 타인의 미덕을 단순히 빌려 쓰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영혼 속에 내재된 열망과 노력을 통해 자발적으로 성숙을 추구해야 한다. 소크라테스가 알키비아데스의 제안을 거절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었다.
요컨대 알키비아데스의 태도의 문제는 사랑을 자기 성숙의 자발적 모험이 아니라 타인의 자질을 통해 결핍을 메우려는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관계로 전락시켰다는 데 있다. 이는 상대방을 동등한 동반자가 아닌 숭배의 대상으로 만들고, 사랑을 자유롭고 능동적인 힘이 아니라 종속과 예속의 관계로 변질시킨다.
3. 참고문헌
철학의 이해, 이정호 외 3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과제 스트레스 싹~ 학점 쑥!
https://www.happycampus.com/store/zzzyzyztusz/
이러한 이유로 루크레티우스는 사랑의 열정이 약속하는 ‘영원한 합일’과 ‘완전한 만족’의 표상을 믿지 말라고 타이른다. 그는 사랑이 만들어내는 상상의 과잉과 정서의 동요를 거두고, 필수적 욕구의 수준에서 감각적 즐거움을 절도 있게 누리며,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삶의 안정 속에서 평정한 쾌락을 지속하라고 권한다. 요컨대 그의 충고는 욕망의 무한 증식을 멈추어 고통의 재생산 고리를 끊고, 유한한 존재에 걸맞은 만족의 경계 안에서 마음의 평화를 보존하라는 실천적 지혜로 요약된다.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플라톤이 이해한 에로스는 당대 그리스인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던 사랑과는 차원이 다르다.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에로스는 상대방이 가진 매력, 곧 아름다운 외모나 고결한 인격에 대한 욕망이었다. 그러나 플라톤은 사랑을 단순히 구체적인 인격의 아름다움에 대한 열정으로 보지 않고, 아름다움 자체(Beauty itself), 곧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가치에 대한 열망으로 파악하였다.
그는 『향연』에서 소크라테스의 입을 빌려 사랑의 기원을 설명한다. 에로스는 풍요와 지혜의 신인 포로스(Poros)와 결핍의 여신인 페니아(Penia) 사이에서 태어난 존재이다. 이 혈통은 에로스에게 모순적인 본성을 부여한다. 한편으로 에로스는 어머니 페니아의 본성을 이어받아 언제나 부족하고 결핍되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아버지 포로스의 본성을 이어받아 그 결핍을 메우기 위해 지혜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끊임없는 동경과 모험심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에로스는 무지와 지혜 사이, 결핍과 충족 사이에 서 있는 중간자적 존재이다. 그는 결핍을 안고 있지만 그 결핍을 계기로 정신적 상승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열정의 힘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플라톤적 사랑은 단순히 타인의 매력을 소유하고자 하는 열정이 아니라, 영혼이 스스로 완전성에 이르려는 자기 초월적 열망이다. 에로스는 잃어버린 반쪽을 찾는 환희적 경험이나 육체적 결합에 머무르지 않고, 개별적 대상에 한정되지 않은 추상적 미, 진리, 선, 지혜를 향한 끊임없는 상승 운동으로 이해된다. 플라토닉 러브(Platonic love)란 바로 이 정신적·철학적 사랑을 의미한다. 그것은 욕망을 통해 상대를 수단화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성장하고 성숙을 추구하는 동등한 관계 속에서 실현되는 사랑이다.
알키비아데스와 소크라테스의 일화를 통해 플라톤은 이러한 차이를 더욱 뚜렷하게 드러낸다. 알키비아데스는 자신의 아름다움과 소크라테스의 지혜를 교환하자는 식의 관계를 제안했지만, 소크라테스는 이를 거부했다. 왜냐하면 진정한 에로스는 타인의 미덕을 빌려 자신의 결핍을 채우는 거래적 욕망이 아니라, 자발적인 영혼의 성숙을 향한 능동적 열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참된 에로스는 상대를 숭배하거나 의존하는 태도로는 이루어질 수 없으며, 동등한 자유인으로서 서로를 정신적 모험의 동반자로 인정할 때 가능하다.
따라서 플라톤에게 에로스는 영혼의 완전성을 향한 자발적 상승의 열정이다. 그것은 욕망을 넘어선 추구이며, 추상적 가치에 대한 사랑이다. 여기에서 사랑은 더 이상 개인적 결핍을 채우려는 이기적 소유의 욕망이 아니라, 자기 존재를 더 높은 차원으로 이끄는 창조적이고 능동적인 힘이 된다.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알키비아데스가 소크라테스에게 보여준 사랑 고백의 태도에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그는 당시 그리스 사회에서 통용되던 에로스의 상식적 관념, 즉 상대방이 가진 탁월한 장점이나 미덕을 자신의 것으로 끌어와 결핍을 메우려는 열망에 사로잡혀 있었다. 알키비아데스는 자신의 젊음과 외모를 내세워, 그 대가로 소크라테스의 지혜와 영혼의 아름다움을 얻고자 했다. 이는 사랑을 동등한 관계로 이해한 것이 아니라, 서로의 자원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사고한 것이며, 결국 사랑을 수단화하는 태도였다.
문제는 이러한 태도가 플라톤이 『향연』에서 소크라테스를 통해 말한 진정한 사랑의 본질과는 전혀 어긋난다는 점이다. 플라톤에게 사랑은 특정 인격의 아름다움에 매혹되어 그것을 소유하려는 열망이 아니라, ‘아름다움 자체(Beauty itself)’라는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가치를 향한 영혼의 상승과 성숙의 과정이었다. 그러나 알키비아데스는 이 사랑을 영혼의 자발적 성숙으로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소크라테스라는 인물의 미덕을 빌려 자신을 보완하려는 의존적 태도에 머물렀다.
이러한 태도는 사랑을 진정한 ‘성숙한 관계’로 만들지 못한다. 상대방의 지혜나 미덕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려는 태도는 곧 상대를 숭배하고 자신을 종속시키는 주종 관계로 전락한다. 이런 관계는 평등하고 자유로운 연인의 관계가 아니라, 한쪽이 지배하고 다른 한쪽이 예속되는 불균형한 관계일 수밖에 없다. 결국 알키비아데스의 고백은 표면적으로는 존경과 헌신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결핍을 채우려는 이기적 욕망을 은폐한 것일 뿐이다. 사랑을 통해 정신의 완전성을 이루려면 타인의 미덕을 단순히 빌려 쓰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영혼 속에 내재된 열망과 노력을 통해 자발적으로 성숙을 추구해야 한다. 소크라테스가 알키비아데스의 제안을 거절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었다.
요컨대 알키비아데스의 태도의 문제는 사랑을 자기 성숙의 자발적 모험이 아니라 타인의 자질을 통해 결핍을 메우려는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관계로 전락시켰다는 데 있다. 이는 상대방을 동등한 동반자가 아닌 숭배의 대상으로 만들고, 사랑을 자유롭고 능동적인 힘이 아니라 종속과 예속의 관계로 변질시킨다.
3. 참고문헌
철학의 이해, 이정호 외 3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과제 스트레스 싹~ 학점 쑥!
https://www.happycampus.com/store/zzzyzyztusz/
키워드
추천자료
철학의이해 2023년)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
철학의이해 2023학년도 2학기) 철학의이해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
[2023 철학의이해][출처표기]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
2023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과제물)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중간과제)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중간과제)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철학의이해(중간)_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철학의이해(중간)_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철학의이해(중간)_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