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랑처럼 불안과 고통을 유발하는 감정을 경계한다. 루크레티우스는 사랑이 원자론적 우주에서 비롯된 물리적 현상이라고 설명하며, 이는 일시적이고 환상적이다.
질투나 소유욕은 영혼의 평화를 해치므로, 이를 피하면 진정한 쾌락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충고는 사랑을 탈신화화하여 인간의 행복을 위한 실용적 지침으로 삼는 데 목적이 있다.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플라톤적 관점에서 에로스는 단순한 육체적 욕망이 아니라, 아름다움과 선(善)을 향한 영혼의 상승적 욕망으로, 결핍(lack)과 충만(fulfillment)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한다. 플라톤의 향연에서 디오티마를 통해 소크라테스가 설명하듯, 에로스는 신이 아니라 ‘다이몬(daemon)’으로, 가난(Poverty)과 풍요(Resource)의 자식이다.
에로스가 ‘무엇을 갖지 못한 상태’에서 출발해 ‘갖고 싶은 것’을 추구하는 동력임을 의미한다. 플라톤은 에로스를 사다리로 비유하며, 단계적으로 승화된다고 본다. 첫째, 육체적 아름다움에 끌리다. 둘째, 영혼의 아름다움. 셋째, 법과 제도의 아름다움. 넷째, 지식의 아름다움 그리고 마지막으로 절대적 아름다움(이데아)의 세계로 나아간다.
젊은 연인에 대한 사랑은 출발점이지만, 철학적 탐구로 이어져 영원한 진리를 깨닫는다. 플라톤은 에로스를 창조적 힘으로 보아, 사랑은 출산(육체적 또는 정신적)을 통해 불멸을 추구한다고 한다. 에로스가 감각적 세계에서 이데아 세계로 이끄는 철학의 본질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플라톤적 에로스는 ‘플라토닉 러브(순수한 사랑)’로 오해되지만, 실제로는 욕망의 정화와 승화를 통해 인간을 완성하는 힘이다.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알키비아데스는 플라톤의 향연에서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며, 소크라테스의 지혜를 자신의 미모와 교환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그는 소크라테스를 실레노스 상자처럼 외형은 추하나 내면은 신성하다고 칭찬하지만, 육체적 매력으로 소크라테스를 유혹하려는 시도다. 구체적으로,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가 자신에게 매력을 느끼는 척한다고 비난하며, “내 미모를 주면 당신의 지혜를 가르쳐달라”고 제안한다. 이는 술에 취한 상태에서 대담하게 고백되지만, 소크라테스의 절제와 무관심에 좌절한다.
이 태도의 문제는 여러 가지다. 첫째, 알키비아데스는 에로스를 육체적·거래적 관계로 왜곡한다. 소크라테스의 에로스는 철학적 상승을 위한 것이지만, 알키비아데스는 개인적 야망을 위한 수단으로 본다. 둘째, 그는 소크라테스의 덕성을 인정하나, 소유하려는 소유욕을 드러낸다. 셋째, 알키비아데스의 도덕적 실패를 상징한다. 그는 소크라테스의 가르침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나중에 아테네를 배신하는 등 타락한다. 따라서 그의 태도는 진정한 사랑이 아닌, 자아 중심적 욕구로, 플라톤이 에로스의 이상적 형태를 강조하는 데 대비된다.
<참고문헌>
철학의 이해, 이정호 외 3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2016)
철학의 이해, 김은철 외 3인, 양성원(2023)
질투나 소유욕은 영혼의 평화를 해치므로, 이를 피하면 진정한 쾌락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충고는 사랑을 탈신화화하여 인간의 행복을 위한 실용적 지침으로 삼는 데 목적이 있다.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플라톤적 관점에서 에로스는 단순한 육체적 욕망이 아니라, 아름다움과 선(善)을 향한 영혼의 상승적 욕망으로, 결핍(lack)과 충만(fulfillment)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한다. 플라톤의 향연에서 디오티마를 통해 소크라테스가 설명하듯, 에로스는 신이 아니라 ‘다이몬(daemon)’으로, 가난(Poverty)과 풍요(Resource)의 자식이다.
에로스가 ‘무엇을 갖지 못한 상태’에서 출발해 ‘갖고 싶은 것’을 추구하는 동력임을 의미한다. 플라톤은 에로스를 사다리로 비유하며, 단계적으로 승화된다고 본다. 첫째, 육체적 아름다움에 끌리다. 둘째, 영혼의 아름다움. 셋째, 법과 제도의 아름다움. 넷째, 지식의 아름다움 그리고 마지막으로 절대적 아름다움(이데아)의 세계로 나아간다.
젊은 연인에 대한 사랑은 출발점이지만, 철학적 탐구로 이어져 영원한 진리를 깨닫는다. 플라톤은 에로스를 창조적 힘으로 보아, 사랑은 출산(육체적 또는 정신적)을 통해 불멸을 추구한다고 한다. 에로스가 감각적 세계에서 이데아 세계로 이끄는 철학의 본질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플라톤적 에로스는 ‘플라토닉 러브(순수한 사랑)’로 오해되지만, 실제로는 욕망의 정화와 승화를 통해 인간을 완성하는 힘이다.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알키비아데스는 플라톤의 향연에서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며, 소크라테스의 지혜를 자신의 미모와 교환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그는 소크라테스를 실레노스 상자처럼 외형은 추하나 내면은 신성하다고 칭찬하지만, 육체적 매력으로 소크라테스를 유혹하려는 시도다. 구체적으로,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가 자신에게 매력을 느끼는 척한다고 비난하며, “내 미모를 주면 당신의 지혜를 가르쳐달라”고 제안한다. 이는 술에 취한 상태에서 대담하게 고백되지만, 소크라테스의 절제와 무관심에 좌절한다.
이 태도의 문제는 여러 가지다. 첫째, 알키비아데스는 에로스를 육체적·거래적 관계로 왜곡한다. 소크라테스의 에로스는 철학적 상승을 위한 것이지만, 알키비아데스는 개인적 야망을 위한 수단으로 본다. 둘째, 그는 소크라테스의 덕성을 인정하나, 소유하려는 소유욕을 드러낸다. 셋째, 알키비아데스의 도덕적 실패를 상징한다. 그는 소크라테스의 가르침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나중에 아테네를 배신하는 등 타락한다. 따라서 그의 태도는 진정한 사랑이 아닌, 자아 중심적 욕구로, 플라톤이 에로스의 이상적 형태를 강조하는 데 대비된다.
<참고문헌>
철학의 이해, 이정호 외 3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2016)
철학의 이해, 김은철 외 3인, 양성원(2023)
추천자료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철학의이해 중간과제물)교재 1장을 정독한 후, 핵심내용을 1쪽에 요...
[철학의이해] 2023년 중간과제물, 1)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
[철학의이해] 2023년 중간과제물,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
2023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과제물)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중간과제)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중간과제물 철학의이해,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 유가의 도덕적 삶
(철학의이해) 2024년 2학기 중간과제물- 교재와 강의 2장에서는 여러 철학자들의 인간관이 소...
철학의이해 2025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
(2025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철학의 이해, 공통형)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
2025 방송통신대학교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과제물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