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실험이지만 불을 다루는 실험이라 안전을 기울여야 하는 실험이었다. 소금물을 가열하면 소금 때문에 튀어서 호일을 덮고 실험을 하였다. 알콜램프 불세기가 강하면 호일을 덮더라도 물이 같이 튀어서 증발접시 밖으로 넘쳐 실험값을 제대로 측정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우리는 불의 세기가 약해 시간은 오래 걸렸지만 물이 밖으로 넘치지 않고 실험을 잘 할 수 있었다. 호일을 덮었기 때문에 호일에 소금이 붙었고 붙은 소금을 약숟가락으로 때내어 증발접시에 담아야했다. 이때 약숟가락으로 소금을 때내는데 호일이 약간 벗겨져 소금가루가 은색을 띠었다. 여기서 호일이 소금과 같이 긁혀 오차가 발생했을 것이다. 차라리 호일의 무게를 실험하기 전에 재어놓고 실험한 후에 호일의 무게를 재어 소금무게를 계산하였다면 오차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다. 실험한 소금함량은 약 33.9‰가 나왔다. 이론적으로 알고 있는 값과 비슷하게 나왔다. 만약 소금함량 값이 이론값보다 높게 나왔다면 수분이 좀 남아있어 무게가 높게 측정된게 하나의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또 위에서 말했듯이 호일이 같이 벗겨져 들어갔거나 그밖의 이물질이 소금과 함께 증발접시의 남아있던게 또 다른 원인일 것이다.
실험값이 이론값보다 적게 나왔다면 물이 밖으로 튀면서 소금이 같이 튀어나갔다고 생각 할 수 있다.
⑦참고문헌 (reference)
1. 네이트 지식검색 검색어 세계 주요 바다별 염분 농도는?
http://ask.nate.com/qna/view.html?n=8855437
2. 구글 검색 검색어 바닷물 성분 http://mscience.net/point/ms1-11-1.html
우리는 불의 세기가 약해 시간은 오래 걸렸지만 물이 밖으로 넘치지 않고 실험을 잘 할 수 있었다. 호일을 덮었기 때문에 호일에 소금이 붙었고 붙은 소금을 약숟가락으로 때내어 증발접시에 담아야했다. 이때 약숟가락으로 소금을 때내는데 호일이 약간 벗겨져 소금가루가 은색을 띠었다. 여기서 호일이 소금과 같이 긁혀 오차가 발생했을 것이다. 차라리 호일의 무게를 실험하기 전에 재어놓고 실험한 후에 호일의 무게를 재어 소금무게를 계산하였다면 오차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다. 실험한 소금함량은 약 33.9‰가 나왔다. 이론적으로 알고 있는 값과 비슷하게 나왔다. 만약 소금함량 값이 이론값보다 높게 나왔다면 수분이 좀 남아있어 무게가 높게 측정된게 하나의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또 위에서 말했듯이 호일이 같이 벗겨져 들어갔거나 그밖의 이물질이 소금과 함께 증발접시의 남아있던게 또 다른 원인일 것이다.
실험값이 이론값보다 적게 나왔다면 물이 밖으로 튀면서 소금이 같이 튀어나갔다고 생각 할 수 있다.
⑦참고문헌 (reference)
1. 네이트 지식검색 검색어 세계 주요 바다별 염분 농도는?
http://ask.nate.com/qna/view.html?n=8855437
2. 구글 검색 검색어 바닷물 성분 http://mscience.net/point/ms1-11-1.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