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최소분량 제한은 없으며 최대 A4지 3쪽까지 작성할 수 있습니다.
1)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은 어떠한 인간인가?
2)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왜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는가?
3)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라는 칸트의 말은 무슨 의미인가?
4) 정언명령이란 무엇인가?
5) 홉스에 따르면 사회계약은 어떤 이유로 체결될 수 있는가?
6) 흄은 도덕이 어떻게 성립된 것이라고 보았는가?
7) '무의식의 의식화'란 무슨 의미인가?
8) 프로이트에게 도덕은 무엇인가?
2. 교재와 강의 4장을 공부하고 교재 92페이지의 2번문제 (에로스로서의 사랑-결핍과 충족)에 딸린 6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최소분량 제한은 없으며 최대 A4지 3쪽까지 작성할 수 있습니다.
1) 에로스의 원래 뜻은 무엇인가?
2) 아리스토파네스는 에로스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3) 실존의 의미를 어원적 차원과 더불어 설명하라.
4) 사랑에 빠진 이들에게 하는 루크레티우스의 충고는 무엇이고, 왜 그러한 충고를 하고 있는지 설명하라.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3. 참고문헌
1)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은 어떠한 인간인가?
2)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왜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는가?
3)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라는 칸트의 말은 무슨 의미인가?
4) 정언명령이란 무엇인가?
5) 홉스에 따르면 사회계약은 어떤 이유로 체결될 수 있는가?
6) 흄은 도덕이 어떻게 성립된 것이라고 보았는가?
7) '무의식의 의식화'란 무슨 의미인가?
8) 프로이트에게 도덕은 무엇인가?
2. 교재와 강의 4장을 공부하고 교재 92페이지의 2번문제 (에로스로서의 사랑-결핍과 충족)에 딸린 6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최소분량 제한은 없으며 최대 A4지 3쪽까지 작성할 수 있습니다.
1) 에로스의 원래 뜻은 무엇인가?
2) 아리스토파네스는 에로스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3) 실존의 의미를 어원적 차원과 더불어 설명하라.
4) 사랑에 빠진 이들에게 하는 루크레티우스의 충고는 무엇이고, 왜 그러한 충고를 하고 있는지 설명하라.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Eros)는 단순한 육체적 사랑이나 성적 욕망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는 『향연(Symposium)』에서 에로스를 결핍(desire)과 그것을 채우려는 충동으로서 인간의 본질적 동력으로 설명한다. 인간은 본래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결핍을 느끼며, 이러한 결핍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랑의 감정을 경험한다. 플라톤은 에로스를 단순한 감정적 반응이 아니라, 정신적·영적 성장과 연계된 존재론적 힘으로 이해했다.
특히나 그는 에로스를 단계적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강조했다. 초기 단계에서 인간은 육체적 아름다움에 매혹되지만, 점차 정신적·정서적 아름다움으로 관심을 확장하게 된다.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선과 진리, 지혜 자체의 아름다움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본 것이다. 다시 말해, 플라톤적 에로스는 인간이 결핍을 인식하고 이를 충족시키며, 더 높은 차원의 선과 진리를 추구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에로스는 개인적 욕망을 넘어서 철학적 탐구와 자기 완성을 가능하게 하는 존재론적 힘으로 작용한다.
에로스는 또한 인간관계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단순히 육체적 매력에 기반한 사랑이 아니라, 상대의 정신적 아름다움과 선함을 인식하고 이를 존중하며 함께 성장하는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인간은 자기 내적 결핍을 채우는 동시에, 상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 존재를 확장시키게 된다. 따라서 플라톤적 관점에서 에로스는 결핍과 충족, 개인적 욕망과 정신적 성장을 연결하는 다층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향연』에서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에게 자신의 사랑을 고백한다. 그는 열정적이고 집요한 태도로 소크라테스를 향한 감정을 표현하며, 소크라테스와의 육체적·정서적 친밀함을 원한다. 그러나 플라톤적 시각에서 볼 때, 알키비아데스의 태도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그는 사랑을 육체적 욕망 중심으로만 이해하고 있다.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의 정신적 지혜와 도덕적 아름다움보다는 자신의 쾌락과 감정을 충족시키는 데 집중한다. 이는 플라톤적 에로스가 지향하는 정신적·영적 성장과 결핍 충족이라는 차원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 담에, 그의 사랑 표현은 집착과 강요의 성격을 띤다. 소크라테스를 향한 집착은 감정적 흥분에 기반하며, 상대의 의지와 자율성을 충분히 존중하지 않는다. 소크라테스는 이에 대해 냉정하게 대응하며, 사랑이 단순히 감정적 충족이나 쾌락을 위한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사랑의 본질과 인간의 자기 성찰을 간과한 채, 욕망과 충동 중심으로만 사랑을 이해하고 있다는 문제를 드러낸다.
또 이어서, 알키비아데스는 자신의 사랑을 자기 중심적 관점에서만 해석한다. 그는 사랑을 통해 자신의 만족과 감정을 충족하려 하지만, 플라톤적 관점에서 진정한 에로스는 자기 완성과 상대의 성장, 더 나아가 선과 진리의 추구를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알키비아데스의 고백은 인간적 감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철학적·영적 차원의 에로스에서는 편협하고 불완전한 형태로 평가된다.
말하건대 알키비아데스의 사례는 플라톤이 말한 에로스와 대비되어, 사랑이 단순한 욕망과 감정 충족으로만 머물 경우, 인간적 성숙과 자기 완성에 도달하기 어렵다는 교훈을 제공한다. 동시에 소크라테스의 대응을 통해, 진정한 사랑이란 상대와 자기 모두를 성장시키는 정신적·도덕적 노력과 결합되어야 함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3. 참고문헌
이정호 외, 철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이강화, 철학의 이해, 이문출판사, 2014
이남인, 서양철학의 이해(플라톤부터 비트켄슈타인까지), 서울대학교출판부, 2011
특히나 그는 에로스를 단계적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강조했다. 초기 단계에서 인간은 육체적 아름다움에 매혹되지만, 점차 정신적·정서적 아름다움으로 관심을 확장하게 된다.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선과 진리, 지혜 자체의 아름다움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본 것이다. 다시 말해, 플라톤적 에로스는 인간이 결핍을 인식하고 이를 충족시키며, 더 높은 차원의 선과 진리를 추구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에로스는 개인적 욕망을 넘어서 철학적 탐구와 자기 완성을 가능하게 하는 존재론적 힘으로 작용한다.
에로스는 또한 인간관계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단순히 육체적 매력에 기반한 사랑이 아니라, 상대의 정신적 아름다움과 선함을 인식하고 이를 존중하며 함께 성장하는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인간은 자기 내적 결핍을 채우는 동시에, 상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 존재를 확장시키게 된다. 따라서 플라톤적 관점에서 에로스는 결핍과 충족, 개인적 욕망과 정신적 성장을 연결하는 다층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향연』에서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에게 자신의 사랑을 고백한다. 그는 열정적이고 집요한 태도로 소크라테스를 향한 감정을 표현하며, 소크라테스와의 육체적·정서적 친밀함을 원한다. 그러나 플라톤적 시각에서 볼 때, 알키비아데스의 태도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그는 사랑을 육체적 욕망 중심으로만 이해하고 있다.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의 정신적 지혜와 도덕적 아름다움보다는 자신의 쾌락과 감정을 충족시키는 데 집중한다. 이는 플라톤적 에로스가 지향하는 정신적·영적 성장과 결핍 충족이라는 차원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 담에, 그의 사랑 표현은 집착과 강요의 성격을 띤다. 소크라테스를 향한 집착은 감정적 흥분에 기반하며, 상대의 의지와 자율성을 충분히 존중하지 않는다. 소크라테스는 이에 대해 냉정하게 대응하며, 사랑이 단순히 감정적 충족이나 쾌락을 위한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사랑의 본질과 인간의 자기 성찰을 간과한 채, 욕망과 충동 중심으로만 사랑을 이해하고 있다는 문제를 드러낸다.
또 이어서, 알키비아데스는 자신의 사랑을 자기 중심적 관점에서만 해석한다. 그는 사랑을 통해 자신의 만족과 감정을 충족하려 하지만, 플라톤적 관점에서 진정한 에로스는 자기 완성과 상대의 성장, 더 나아가 선과 진리의 추구를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알키비아데스의 고백은 인간적 감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철학적·영적 차원의 에로스에서는 편협하고 불완전한 형태로 평가된다.
말하건대 알키비아데스의 사례는 플라톤이 말한 에로스와 대비되어, 사랑이 단순한 욕망과 감정 충족으로만 머물 경우, 인간적 성숙과 자기 완성에 도달하기 어렵다는 교훈을 제공한다. 동시에 소크라테스의 대응을 통해, 진정한 사랑이란 상대와 자기 모두를 성장시키는 정신적·도덕적 노력과 결합되어야 함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3. 참고문헌
이정호 외, 철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이강화, 철학의 이해, 이문출판사, 2014
이남인, 서양철학의 이해(플라톤부터 비트켄슈타인까지), 서울대학교출판부, 2011
추천자료
[철학의이해] 2023년 중간과제물, 1)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
[철학의이해] 2023년 중간과제물,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
2023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과제물)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중간과제)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중간과제)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중간과제물 철학의이해,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 유가의 도덕적 삶
철학의이해(중간)_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철학의이해 2025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
(2025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철학의 이해, 공통형)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