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이것들을 백혈구내로 취입하여 소화분해 시 켜 무
독화 하는 일 증가- 급성 감염증, 급 만성 백혈병
RBC- 폐에서 받은 산소를 몸의 도처의 조직 세포로 운반하고 쓸모 없는 이산화탄소를 운반하 는 작용 감소: 각종 빈혈
Hct- 빈혈의 정도와 종류를 검사한 것으로 낮음
감소: 각종 빈혈, 특히 철 결핍성 빈혈, 백혈병, 류마티스 성 관절, 소화성 궤양
ESR- 적혈구 침강 속도: 염증의 유무
증가: 염증, 조직 손상으로 인한 a2-Globulin, 섬유소의 증가를 의미한다. 세균성 감염, 류 마티스열, 심근 경색증, SLE 등
감소: 적혈구 증다증, 진성 다혈구증, 구상 적혈구 혈증, 겸상 적혈구 빈혈, DIC, 악액질
pH - 증가 : 요도감염, 유분부 협착
Na - 감소 : Addison\'s disease, 점액수종
K - 증가 :Addison\'s disease. 핍뇨, 무뇨, 용혈, 조직파괴
AST(SGOT) , ALT(SGPT) - 간수치
증가:급성 간염, 담도협착성 황달, 근골격계질환, 간질환, 심근경색증
PT -혈액 응고 검사, 증가:혈액질환, vit K결핍, 간염, 경화증, 급성 독성 간괴사
Amylase- 증가 : 급성 췌장염, 이하선염, 십이지장궤양, 췌장두부악성종양, 췌장 위종양
Lipase- 증가: 담도협착, 간염, 소화성궤양
산소분압O2 : 혈액내의 산소분압의 부분압을 나타낸다. 산소농도가 정상이하이면 대상자는 저 산소증상태를 의미하며, 저산소증은 심박출량이 낮거나 페기능 손상으로 발생
이산화탄소분압CO2 : 혈액 내의 이산화탄소의 부분압을 나타내며 페에 의해 조절된다. 수치가 상승되면(대사성 산-염기 불균형에 대한 보상을 제외)과다한 이산화탄소 가 페에서 제거되지 못하여 페의 가스교환 능력이 손상되였음을 나타낸 다. 수치가 저하되면 과호흡을 통해 페에서 이산화탄소가 과잉 상실
중탄산염HCO3- : 혈액내의 중탄산 이온농도를 나타내는데 신장에 의해 조절된다. 대사성 알칼 리혈증이나 호흡성 산혈증의 보상작용이 있을 때에는 수치가 상승
6. 간호과정
비효율적인 환기 d/t 분비물 정체
사정
간호진단
계획 및 수행
평가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관련요인
진단명
중재활동
간호결과 지표
-기침을 할때 가래끓는 소리가 들림
-both lung 청진시 crackle sound 들림
-가래 누런 색으로 thick한 양상
분비물
정체
비효율적인 기도 청결
-효과적인 기침 방법 교육
-반좌위 체위 취해줌
-chest percussion given
-흡인으로 기도분비물 제거
-산소 농도와 호흡량 확인함
(SaO2 99%)
-호흡곤란없음
-정상적인 호흡양상 보임
불안 d/t 수술
사정
간호진단
계획 및 수행
평가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관련요인
진단명
중재활동
간호결과 지표
-수술한다는 생각에 자꾸 불안한 마음이 들어요
-마음이 안정되는 것 같아요
-불안해 보이여 잠못이룸
수술
불안
-신뢰 촉진하는분위기 조성
-운동방법과 식이요법 교육
-이완요법 시행
-좋은 기억 떠올리게 한다
-관심을 다른데로 돌린다
-가족과 대화하게 한다
-잘할 수 있다는 자기 최면을 걸도록 유도한다
-불안없이 역할 수행 유지
처음 수술한다는 말을 들었을 때 환자분은 많이 당황하고 걱정스러워 하셨지만, 적절한 간호 수행으로 점차 마음의 안정을 되찾으시고 수술을 잘 받으셨다.
호흡 상태 : 환기(간호 수행 전 6월 5일)
정의 : 공기가 들어오고 나오는 폐의 움직임
호흡 상태 : 환기
극도로 손상된
1
상당히 손상된
2
보통으로 손상된
3
약간 손상된
4
손상되지 않은
5
지표:
기대범위 내의 호흡률
기대 범위 내의 호흡 리듬
흡식의 깊이
대칭적인 흉부 팽창
호흡이 용이함
기도 밖으로 객담을 내보냄
적절하게 발음함
보조근육을 사용하지 않음
우발적인 호흡음이 없음
흉부 견축이 나타나지 않음
입을 오므리고 호흡을 하지 않음
휴식시 호흡곤란이 나타나지 않음
운동시 호흡곤란이 없음
기좌호흡이 없음
짧은 호흡(shortness of breath, SOB)이 없음
진탕음(fremitus)
1
1
1
1
1
1
①
1
1
1
1
1
1
1
1
1
②
②
②
②
②
②
2
②
②
2
2
②
②
②
②
②
3
3
3
3
3
3
3
3
3
③
③
3
3
3
3
3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결과
총 80점 만점에서 34 으로 호흡 상태가 좋은 않은 편이다.
호흡 상태 : 환기(간호 수행 후 9월 1일)
정의 : 공기가 들어오고 나오는 폐의 움직임
호흡 상태 : 환기
극도로 손상된
1
상당히 손상된
2
보통으로 손상된
3
약간 손상된
4
손상되지 않은
5
지표:
기대범위 내의 호흡률
기대 범위 내의 호흡 리듬
흡식의 깊이
대칭적인 흉부 팽창
호흡이 용이함
기도 밖으로 객담을 내보냄
적절하게 발음함
보조근육을 사용하지 않음
우발적인 호흡음이 없음
흉부 견축이 나타나지 않음
입을 오므리고 호흡을 하지 않음
휴식시 호흡곤란이 나타나지 않음
운동시 호흡곤란이 없음
기좌호흡이 없음
짧은 호흡(shortness of breath, SOB)이 없음
진탕음(fremitus)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2
2
2
2
②
②
2
②
③
③
③
③
③
3
③
③
③
③
3
③
3
3
③
3
4
4
4
4
4
④
4
4
4
4
④
4
4
4
4
4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간호 수행 전 34점에서 간호 수행 후 47점으로 13점 상승해서 호흡 상태가 양호해 지긴 하였지만, 여전히 완전하지는 못하다.
Ⅲ. 결론
식도암으로 입원한 이 환자분은 처음 하는 병원 생활로 많이 답답해 하셨고, 그래서 적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도 했었다.
처음 환자의 비협조로 인해 기도에 분비물 정체와 불안 등이 있었지만, 간호사 선생님들과, 의사 선생님, 그리고 간호 학생들의 노력으로 환자분은 차츰 협조를 하시며 많이 발전된 양상을 보이시며, 나중에는 스스로 기침을 해서 가래도 뱉으시며 자발적으로 치료에 참여하셔서 몸이 많이 회복되어 병동으로 전실가셨다.
독화 하는 일 증가- 급성 감염증, 급 만성 백혈병
RBC- 폐에서 받은 산소를 몸의 도처의 조직 세포로 운반하고 쓸모 없는 이산화탄소를 운반하 는 작용 감소: 각종 빈혈
Hct- 빈혈의 정도와 종류를 검사한 것으로 낮음
감소: 각종 빈혈, 특히 철 결핍성 빈혈, 백혈병, 류마티스 성 관절, 소화성 궤양
ESR- 적혈구 침강 속도: 염증의 유무
증가: 염증, 조직 손상으로 인한 a2-Globulin, 섬유소의 증가를 의미한다. 세균성 감염, 류 마티스열, 심근 경색증, SLE 등
감소: 적혈구 증다증, 진성 다혈구증, 구상 적혈구 혈증, 겸상 적혈구 빈혈, DIC, 악액질
pH - 증가 : 요도감염, 유분부 협착
Na - 감소 : Addison\'s disease, 점액수종
K - 증가 :Addison\'s disease. 핍뇨, 무뇨, 용혈, 조직파괴
AST(SGOT) , ALT(SGPT) - 간수치
증가:급성 간염, 담도협착성 황달, 근골격계질환, 간질환, 심근경색증
PT -혈액 응고 검사, 증가:혈액질환, vit K결핍, 간염, 경화증, 급성 독성 간괴사
Amylase- 증가 : 급성 췌장염, 이하선염, 십이지장궤양, 췌장두부악성종양, 췌장 위종양
Lipase- 증가: 담도협착, 간염, 소화성궤양
산소분압O2 : 혈액내의 산소분압의 부분압을 나타낸다. 산소농도가 정상이하이면 대상자는 저 산소증상태를 의미하며, 저산소증은 심박출량이 낮거나 페기능 손상으로 발생
이산화탄소분압CO2 : 혈액 내의 이산화탄소의 부분압을 나타내며 페에 의해 조절된다. 수치가 상승되면(대사성 산-염기 불균형에 대한 보상을 제외)과다한 이산화탄소 가 페에서 제거되지 못하여 페의 가스교환 능력이 손상되였음을 나타낸 다. 수치가 저하되면 과호흡을 통해 페에서 이산화탄소가 과잉 상실
중탄산염HCO3- : 혈액내의 중탄산 이온농도를 나타내는데 신장에 의해 조절된다. 대사성 알칼 리혈증이나 호흡성 산혈증의 보상작용이 있을 때에는 수치가 상승
6. 간호과정
비효율적인 환기 d/t 분비물 정체
사정
간호진단
계획 및 수행
평가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관련요인
진단명
중재활동
간호결과 지표
-기침을 할때 가래끓는 소리가 들림
-both lung 청진시 crackle sound 들림
-가래 누런 색으로 thick한 양상
분비물
정체
비효율적인 기도 청결
-효과적인 기침 방법 교육
-반좌위 체위 취해줌
-chest percussion given
-흡인으로 기도분비물 제거
-산소 농도와 호흡량 확인함
(SaO2 99%)
-호흡곤란없음
-정상적인 호흡양상 보임
불안 d/t 수술
사정
간호진단
계획 및 수행
평가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관련요인
진단명
중재활동
간호결과 지표
-수술한다는 생각에 자꾸 불안한 마음이 들어요
-마음이 안정되는 것 같아요
-불안해 보이여 잠못이룸
수술
불안
-신뢰 촉진하는분위기 조성
-운동방법과 식이요법 교육
-이완요법 시행
-좋은 기억 떠올리게 한다
-관심을 다른데로 돌린다
-가족과 대화하게 한다
-잘할 수 있다는 자기 최면을 걸도록 유도한다
-불안없이 역할 수행 유지
처음 수술한다는 말을 들었을 때 환자분은 많이 당황하고 걱정스러워 하셨지만, 적절한 간호 수행으로 점차 마음의 안정을 되찾으시고 수술을 잘 받으셨다.
호흡 상태 : 환기(간호 수행 전 6월 5일)
정의 : 공기가 들어오고 나오는 폐의 움직임
호흡 상태 : 환기
극도로 손상된
1
상당히 손상된
2
보통으로 손상된
3
약간 손상된
4
손상되지 않은
5
지표:
기대범위 내의 호흡률
기대 범위 내의 호흡 리듬
흡식의 깊이
대칭적인 흉부 팽창
호흡이 용이함
기도 밖으로 객담을 내보냄
적절하게 발음함
보조근육을 사용하지 않음
우발적인 호흡음이 없음
흉부 견축이 나타나지 않음
입을 오므리고 호흡을 하지 않음
휴식시 호흡곤란이 나타나지 않음
운동시 호흡곤란이 없음
기좌호흡이 없음
짧은 호흡(shortness of breath, SOB)이 없음
진탕음(fremitus)
1
1
1
1
1
1
①
1
1
1
1
1
1
1
1
1
②
②
②
②
②
②
2
②
②
2
2
②
②
②
②
②
3
3
3
3
3
3
3
3
3
③
③
3
3
3
3
3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결과
총 80점 만점에서 34 으로 호흡 상태가 좋은 않은 편이다.
호흡 상태 : 환기(간호 수행 후 9월 1일)
정의 : 공기가 들어오고 나오는 폐의 움직임
호흡 상태 : 환기
극도로 손상된
1
상당히 손상된
2
보통으로 손상된
3
약간 손상된
4
손상되지 않은
5
지표:
기대범위 내의 호흡률
기대 범위 내의 호흡 리듬
흡식의 깊이
대칭적인 흉부 팽창
호흡이 용이함
기도 밖으로 객담을 내보냄
적절하게 발음함
보조근육을 사용하지 않음
우발적인 호흡음이 없음
흉부 견축이 나타나지 않음
입을 오므리고 호흡을 하지 않음
휴식시 호흡곤란이 나타나지 않음
운동시 호흡곤란이 없음
기좌호흡이 없음
짧은 호흡(shortness of breath, SOB)이 없음
진탕음(fremitus)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2
2
2
2
②
②
2
②
③
③
③
③
③
3
③
③
③
③
3
③
3
3
③
3
4
4
4
4
4
④
4
4
4
4
④
4
4
4
4
4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간호 수행 전 34점에서 간호 수행 후 47점으로 13점 상승해서 호흡 상태가 양호해 지긴 하였지만, 여전히 완전하지는 못하다.
Ⅲ. 결론
식도암으로 입원한 이 환자분은 처음 하는 병원 생활로 많이 답답해 하셨고, 그래서 적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도 했었다.
처음 환자의 비협조로 인해 기도에 분비물 정체와 불안 등이 있었지만, 간호사 선생님들과, 의사 선생님, 그리고 간호 학생들의 노력으로 환자분은 차츰 협조를 하시며 많이 발전된 양상을 보이시며, 나중에는 스스로 기침을 해서 가래도 뱉으시며 자발적으로 치료에 참여하셔서 몸이 많이 회복되어 병동으로 전실가셨다.
추천자료
식도암케이스스터디
식도암케이스
Case Study-식도암
[케이스스터디][폐질환][간세포암][갑상선암][뇌출혈]폐질환 케이스스터디(CaseStudy), 간세...
[성인간호학][Esophageal cancer][식도암]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Esophageal Cancer 케이스스터디
식도암 ( esophageal cancer ) case study [ 성인간호 실습 식도암 컨퍼런스 ]
성인간호학 실습 식도암 case (A+ 보장 간호진단 4개!!)
성인간호학 식도암 대상자 사례연구보고서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소화기내과 식도암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진단적 계획 치료적 계획 교육적 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