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1)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은 어떠한 인간인가?
2)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왜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는가?
3)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라는 칸트의 말은 무슨 의미인가?
4) 정언명령이란 무엇인가?
5) 홉스에 따르면 사회계약은 어떤 이유로 체결될 수 있는가?
6) 흄은 도덕이 어떻게 성립된 것이라고 보았는가?
7) '무의식의 의식화'는 무슨 의미인가?
8) 프로이트에게 도덕은 무엇인가?
2. 교재와 강의 4장을 공부하고 교재 92페이지의 2번문제 (에로스로서의 사랑-결핍과 충족)에 딸린 6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1) 에로스의 원래 뜻은 무엇인가?
2) 아리스토파네스는 에로스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3) 실존의 의미를 어원적 차원과 더불어 설명하라.
4) 사랑에 빠진 이들에게 하는 루크레티우스의 충고는 무엇이고, 왜 그러한 충고를 하고 있는지 설명하라.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3. 참고문헌
1)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은 어떠한 인간인가?
2)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왜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는가?
3)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라는 칸트의 말은 무슨 의미인가?
4) 정언명령이란 무엇인가?
5) 홉스에 따르면 사회계약은 어떤 이유로 체결될 수 있는가?
6) 흄은 도덕이 어떻게 성립된 것이라고 보았는가?
7) '무의식의 의식화'는 무슨 의미인가?
8) 프로이트에게 도덕은 무엇인가?
2. 교재와 강의 4장을 공부하고 교재 92페이지의 2번문제 (에로스로서의 사랑-결핍과 충족)에 딸린 6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1) 에로스의 원래 뜻은 무엇인가?
2) 아리스토파네스는 에로스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3) 실존의 의미를 어원적 차원과 더불어 설명하라.
4) 사랑에 빠진 이들에게 하는 루크레티우스의 충고는 무엇이고, 왜 그러한 충고를 하고 있는지 설명하라.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2014). 루크레티우스의 사물의 본성 IV에 나타난 성적 욕구와 감정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서철학회, 동서철학연구 74호.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에로스의 본질은 아름다운 것에 대한 사랑이므로 아름다운 것을 대상으로 한다. 아름답다는 것은 좋다는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좋은 것을 사랑하는 사람은 결국 자기 것이 되기를 사랑하는 것이다. 즉 에로스는 좋은 것을 소유하려는 욕구가 된다. 좋은 것을 소유하려는 에로스의 목적은 행복에 있다.
지식에 대한 사랑 이외에 명성이나 영광에 대한 사랑도 불사성에 대한 사랑으로서 영원성에 참여하려는 가사적 존재의 욕망이다. 인간은 불멸의 명예를 획득하기 위해서 자기의 자녀를 돌보는 것 보다 더 큰 모험을 마다하지 않으며, 이를 위해 재산도 탕진하고 위험도 감수하며 목숨까지 아끼지 않는다. 따라서 사람들은 그 명성에 따른 불멸성을 얻고자 가능한 한 최고로 훌륭한 일을 하고자 한다.
에로스가 아름다운 것과 선한 것, 그리고 지식, 이 세 가지를 향한 동경이요, 열망이라고 말한다. 이 진선미라는 초월적 가치의 세계를 향한 열망은 선을 향한 욕망이다.
에로스의 사다리는 인간의 사랑이 개인적인 욕망을 넘어, 궁극적으로 철학(philosophy)과 연결되는 여정이다. 이 여정은 개별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끌림에서 시작해, 점차 보편적인 아름다움을 인식하고, 마침내 아름다움 자체에 대한 사랑으로 나아가는 과정이다. 이러한 상승을 통해 인간은 영혼을 정화하고, 진정한 지혜와 행복을 얻을 수 있다. 즉, 에로스는 단순한 사랑이 아니라, 인간을 더 높은 차원의 진리, 선, 그리고 지식으로 이끄는 강력한 원동력이다. 이철주(2006). 플라톤 『향연』에 나타난 에로스와 도덕교육.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를 좋아해서 사랑을 고백했지만, 소크라테스는 이를 거절했다. 왜냐하면 소크라테스가 생각하는 에로스는 한 사람의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욕망이 아니라 완전한 영혼, 아름다움 그 자체를 향해 나아가려는 노력에서 시작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가 가진 덕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서, 자기 자신을 아름다운 사람으로 만들고 싶었던 것이다. 한마디로,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정신적으로 성장하려고 했던 것이다. 소크라테스가 보기에, 이런 태도는 진정한 사랑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겉으로는 소크라테스를 존경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 마음 속에는 사랑을 빌미로 자신의 부족함을 채우려는 이기적인 욕망이 숨어 있다고 본 것이다.
성숙한 영혼을 갖춘 연인에 대한 존경은 그에 대한 무조건적 숭배로 변질될 것이다. 사랑은 아름다운 관계여야 하는데, 한쪽이 일방적으로 주기만 하고 다른 한쪽은 받기만 하는 주종관계는 아름다운 인간관계가 될 수 없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그런 애정관계는 진정한 사랑이 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교재 85~87페이지 참고).
3. 참고문헌
이정호,유현상,박은미,한길석 공저(2016). 철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남궁달화(2003). 도덕성 요소와 도덕교육. 학지사.
씨익북스 편집부 2팀(2025). 사랑의 신화: 사랑의 신과 전설. 아쿠아북스.
이부영(2011). 분석심리학 (C. G. 융의 인간심성론). 일조각.
칸트 저, 백종현 역(2014). 윤리형이상학 정초. 아카넷.
고봉진(2014). 사회계약론의 역사적 의의 - 홉스, 로크, 루소의 사회계약론 비교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법과정책 제20권 제1호.
김광연(2021). 아리스토텔레스의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논총 제56집.
김요한(2014). 루크레티우스의 사물의 본성 IV에 나타난 성적 욕구와 감정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서철학회, 동서철학연구 74호.
남성현(2016). 플라톤의 영혼의 삼분법과 에바그리오스의 영성신학.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장신논단 Vol. 48 No. 2.
박종식(2016). 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와 후설의 현상학적 환원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5집.
유현주(2015). 실존주의 집단상담에서의 실존적 자기인식 경험.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철주(2006). 플라톤 『향연』에 나타난 에로스와 도덕교육.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에로스의 본질은 아름다운 것에 대한 사랑이므로 아름다운 것을 대상으로 한다. 아름답다는 것은 좋다는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좋은 것을 사랑하는 사람은 결국 자기 것이 되기를 사랑하는 것이다. 즉 에로스는 좋은 것을 소유하려는 욕구가 된다. 좋은 것을 소유하려는 에로스의 목적은 행복에 있다.
지식에 대한 사랑 이외에 명성이나 영광에 대한 사랑도 불사성에 대한 사랑으로서 영원성에 참여하려는 가사적 존재의 욕망이다. 인간은 불멸의 명예를 획득하기 위해서 자기의 자녀를 돌보는 것 보다 더 큰 모험을 마다하지 않으며, 이를 위해 재산도 탕진하고 위험도 감수하며 목숨까지 아끼지 않는다. 따라서 사람들은 그 명성에 따른 불멸성을 얻고자 가능한 한 최고로 훌륭한 일을 하고자 한다.
에로스가 아름다운 것과 선한 것, 그리고 지식, 이 세 가지를 향한 동경이요, 열망이라고 말한다. 이 진선미라는 초월적 가치의 세계를 향한 열망은 선을 향한 욕망이다.
에로스의 사다리는 인간의 사랑이 개인적인 욕망을 넘어, 궁극적으로 철학(philosophy)과 연결되는 여정이다. 이 여정은 개별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끌림에서 시작해, 점차 보편적인 아름다움을 인식하고, 마침내 아름다움 자체에 대한 사랑으로 나아가는 과정이다. 이러한 상승을 통해 인간은 영혼을 정화하고, 진정한 지혜와 행복을 얻을 수 있다. 즉, 에로스는 단순한 사랑이 아니라, 인간을 더 높은 차원의 진리, 선, 그리고 지식으로 이끄는 강력한 원동력이다. 이철주(2006). 플라톤 『향연』에 나타난 에로스와 도덕교육.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를 좋아해서 사랑을 고백했지만, 소크라테스는 이를 거절했다. 왜냐하면 소크라테스가 생각하는 에로스는 한 사람의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욕망이 아니라 완전한 영혼, 아름다움 그 자체를 향해 나아가려는 노력에서 시작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가 가진 덕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서, 자기 자신을 아름다운 사람으로 만들고 싶었던 것이다. 한마디로,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정신적으로 성장하려고 했던 것이다. 소크라테스가 보기에, 이런 태도는 진정한 사랑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겉으로는 소크라테스를 존경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 마음 속에는 사랑을 빌미로 자신의 부족함을 채우려는 이기적인 욕망이 숨어 있다고 본 것이다.
성숙한 영혼을 갖춘 연인에 대한 존경은 그에 대한 무조건적 숭배로 변질될 것이다. 사랑은 아름다운 관계여야 하는데, 한쪽이 일방적으로 주기만 하고 다른 한쪽은 받기만 하는 주종관계는 아름다운 인간관계가 될 수 없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그런 애정관계는 진정한 사랑이 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교재 85~87페이지 참고).
3. 참고문헌
이정호,유현상,박은미,한길석 공저(2016). 철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남궁달화(2003). 도덕성 요소와 도덕교육. 학지사.
씨익북스 편집부 2팀(2025). 사랑의 신화: 사랑의 신과 전설. 아쿠아북스.
이부영(2011). 분석심리학 (C. G. 융의 인간심성론). 일조각.
칸트 저, 백종현 역(2014). 윤리형이상학 정초. 아카넷.
고봉진(2014). 사회계약론의 역사적 의의 - 홉스, 로크, 루소의 사회계약론 비교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법과정책 제20권 제1호.
김광연(2021). 아리스토텔레스의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논총 제56집.
김요한(2014). 루크레티우스의 사물의 본성 IV에 나타난 성적 욕구와 감정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서철학회, 동서철학연구 74호.
남성현(2016). 플라톤의 영혼의 삼분법과 에바그리오스의 영성신학.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장신논단 Vol. 48 No. 2.
박종식(2016). 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와 후설의 현상학적 환원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5집.
유현주(2015). 실존주의 집단상담에서의 실존적 자기인식 경험.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철주(2006). 플라톤 『향연』에 나타난 에로스와 도덕교육.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키워드
추천자료
철학의이해 2025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
2025 철학의이해 중간과제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
(2025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철학의 이해, 공통형)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
[철학의이해] 2025년 2학기 중간과제물,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
[철학의이해] 2025년 2학기 중간과제물,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
철학의이해 2025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
[철학의이해 2025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
2025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과제물)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
[철학의이해 2025년]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