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질병명
Ⅲ. 간호과정
Ⅳ. 결론 및 평가
Ⅴ. 참고문헌
Ⅱ. 문헌고찰 질병명
Ⅲ. 간호과정
Ⅳ. 결론 및 평가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tazicef 1g tib 투여 > 30일 12:00 36.8℃ 유지
평가
대상자는 2일 이내(5/30 12:30) BT 36.6℃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6/2) WBC 9.6mm³, CRP 2.5mg/dl로 감소하였다.
→ [미달성 CRP 수치]
3.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 체온을 유지하였다.
일 시
5월 31일
입원 후 ( 9 )일
사정
주관적 자료
“변을 못 보겠어요”
“속 안 좋다고 밥도 잘 안 먹어요” - 보호자
객관적 자료
입원 후 4일 동안 변을 보지 못함.
하복부 촉진 시 단단하게 만져짐.
간호진단 #1
부적절한 식이섭취와 관련된 변비
간호계획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적인 배변 양상이 유지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 복부 마사지 방법을 시범을 보일 수 있을 것이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 대변을 보았다고 말할 것이다.
중재계획
계획
근거
하루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1. 충분한 수분섭취는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서 원활한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장운동에 좋은 식이요법(채소와 과일)을 교육한다.
2. 섬유질이 많은 식품은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원활한 배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3. 복부 마사지 방법을 설명하고 시행하도록 격려한다.
3. 복부 마사지는 장을 자극함으로써 장운동을 촉진 시켜 배변 활동을 촉진하여 변비를 완화시킨다.
4. 대상자에게 유제품 섭취와 신체적활동과
운동을 권장한다.
4. 적당한 운동은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준다.
5.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배변 완화제를 투여한다.
5. 배변 완화제는 표면을 습하게 하므로 빠른시간 내 즉각적인 배변 효과를 나타낸다.
간호중재
1. 하루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하였다.
→ 대상자에게 수분 섭취의 중요성을 알려주며 하루 수분 섭취량을 권장하였다.
→ 수분 섭취의 중요성
하루 충분한 수분 섭취 권장량은 1~2L 이상이다.
충분한 수분 섭취는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서 원활한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2. 장운동에 좋은 식이요법(채소와 과일)을 교육하였다.
→ 섬유질이 많은 식품 > 배, 옥수수, 당근, 사과, 현미밥 등
→ 규칙적인 식사를 통해 신체리듬을 되찾고 정상적인 배변 활동이 가능하다.
3. 배변 자극을 위한 복부 마사지 방법을 설명하고 시행하도록 격려하였다.
→ 복부 마사지 방법
침실처럼 편안하고 조용한 공간에서 마사지를 시행한다.
배꼽 주변으로 두 번째 손가락의 끝을 사용해서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린다.
3~5번 정도 반복한다.
4. 대상자에게 신체적활동과 운동을 권장하고 유제품 등을 권장하였다.
→ 요구르트 등의 유제품 섭취 권장과 적절한 장운동을 위하여 ambulation을 교육하였다.
→ 적어도 2주 동안 1일 2회 이상의 요구르트 섭취를 했을 때, 일반 우유를 섭취한
군보다 변의 장내 통과시간이 감소되고, 배변 횟수가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5.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배변 완화제(dulcorax supp)를 투여하였다.
→ 14:12 dulcorax supp 투여 > 16:00 대변 100g 정도 봄
평가
1. 대상자는 1일 이내 복부 마사지 방법을 적절하게 수행하였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31일 16:00) 대변을 보았다고 말로 표현하였다.
3.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하루 1번 배변하는 등 정상적인 배변 양상이 유지되었다.
Ⅳ. 결론 및 평가
신경외과에서 실습을 하면서 어떤 환자들이 가장 많은지 살펴보았을 때 뇌출혈 환자가 가장 많았던 거 같다. 뇌출혈을 딱 들었을 때는 생소하기보다는 의학 드라마 같은 데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이리저리 많이 들었던 거 같아서 뇌출혈에 관한 보고서가 많을 거라고 생각을 하였다. 그래서 더욱 많은 정보와 지식을 쌓고 그로 인한 중재를 잘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을 했는데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뇌출혈에 관한 정보가 없었다. 그래서 열심히 찾아보고 생각하며 중재를 내렸는데 너무나 기본적인 것들이라 조금 더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본 사례 대상자는 오심구토 증상이 매우 지속적이어서 힘들어 하시는 모습을 많이 봤던 거 같다. 두통과 혈압은 많이 완화 되었지만, 속이 울렁거려서 밥을 잘 못 드시는 모습, 심지어 약까지 잘 못 드시는 모습을 보고 많이 안타까웠던 거 같다. 얼른 회복하시고 모든 통증이 사그라들어 좋은 모습으로 일상샐활을 하셨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들었다.
*참고문헌
박은영 외(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 하권. 서울 : 현문사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Ⅱ. 서울 : 수문사
원종준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 2판. 서울: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39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611
닥터나우
https://doctornow.co.kr/content/magazine/b9d6d2c7268e45e792b1f74edb492dd2
약학정보원
http://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760A0010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삼성서울병원 임상영양팀(2016). “요구르트가 변비에 도움이 되나요?”.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HOMEPAGE&CONT_SRC_ID=33805&CONT_CLS_CD=001021007004&CONT_ID=6418
보건복지부. “출혈성 뇌졸중(뇌출혈)”. 보건복지부
https://www.gnuh.co.kr/ccvc/trebook/download.do?rbsIdx=80&f=unvY6D+OgA36tAq5fx5lRzaE+xv0xSZymQdCit1mqzg=
평가
대상자는 2일 이내(5/30 12:30) BT 36.6℃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6/2) WBC 9.6mm³, CRP 2.5mg/dl로 감소하였다.
→ [미달성 CRP 수치]
3.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 체온을 유지하였다.
일 시
5월 31일
입원 후 ( 9 )일
사정
주관적 자료
“변을 못 보겠어요”
“속 안 좋다고 밥도 잘 안 먹어요” - 보호자
객관적 자료
입원 후 4일 동안 변을 보지 못함.
하복부 촉진 시 단단하게 만져짐.
간호진단 #1
부적절한 식이섭취와 관련된 변비
간호계획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적인 배변 양상이 유지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 복부 마사지 방법을 시범을 보일 수 있을 것이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 대변을 보았다고 말할 것이다.
중재계획
계획
근거
하루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1. 충분한 수분섭취는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서 원활한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장운동에 좋은 식이요법(채소와 과일)을 교육한다.
2. 섬유질이 많은 식품은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원활한 배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3. 복부 마사지 방법을 설명하고 시행하도록 격려한다.
3. 복부 마사지는 장을 자극함으로써 장운동을 촉진 시켜 배변 활동을 촉진하여 변비를 완화시킨다.
4. 대상자에게 유제품 섭취와 신체적활동과
운동을 권장한다.
4. 적당한 운동은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준다.
5.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배변 완화제를 투여한다.
5. 배변 완화제는 표면을 습하게 하므로 빠른시간 내 즉각적인 배변 효과를 나타낸다.
간호중재
1. 하루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하였다.
→ 대상자에게 수분 섭취의 중요성을 알려주며 하루 수분 섭취량을 권장하였다.
→ 수분 섭취의 중요성
하루 충분한 수분 섭취 권장량은 1~2L 이상이다.
충분한 수분 섭취는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서 원활한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2. 장운동에 좋은 식이요법(채소와 과일)을 교육하였다.
→ 섬유질이 많은 식품 > 배, 옥수수, 당근, 사과, 현미밥 등
→ 규칙적인 식사를 통해 신체리듬을 되찾고 정상적인 배변 활동이 가능하다.
3. 배변 자극을 위한 복부 마사지 방법을 설명하고 시행하도록 격려하였다.
→ 복부 마사지 방법
침실처럼 편안하고 조용한 공간에서 마사지를 시행한다.
배꼽 주변으로 두 번째 손가락의 끝을 사용해서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린다.
3~5번 정도 반복한다.
4. 대상자에게 신체적활동과 운동을 권장하고 유제품 등을 권장하였다.
→ 요구르트 등의 유제품 섭취 권장과 적절한 장운동을 위하여 ambulation을 교육하였다.
→ 적어도 2주 동안 1일 2회 이상의 요구르트 섭취를 했을 때, 일반 우유를 섭취한
군보다 변의 장내 통과시간이 감소되고, 배변 횟수가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5.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배변 완화제(dulcorax supp)를 투여하였다.
→ 14:12 dulcorax supp 투여 > 16:00 대변 100g 정도 봄
평가
1. 대상자는 1일 이내 복부 마사지 방법을 적절하게 수행하였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31일 16:00) 대변을 보았다고 말로 표현하였다.
3.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하루 1번 배변하는 등 정상적인 배변 양상이 유지되었다.
Ⅳ. 결론 및 평가
신경외과에서 실습을 하면서 어떤 환자들이 가장 많은지 살펴보았을 때 뇌출혈 환자가 가장 많았던 거 같다. 뇌출혈을 딱 들었을 때는 생소하기보다는 의학 드라마 같은 데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이리저리 많이 들었던 거 같아서 뇌출혈에 관한 보고서가 많을 거라고 생각을 하였다. 그래서 더욱 많은 정보와 지식을 쌓고 그로 인한 중재를 잘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을 했는데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뇌출혈에 관한 정보가 없었다. 그래서 열심히 찾아보고 생각하며 중재를 내렸는데 너무나 기본적인 것들이라 조금 더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본 사례 대상자는 오심구토 증상이 매우 지속적이어서 힘들어 하시는 모습을 많이 봤던 거 같다. 두통과 혈압은 많이 완화 되었지만, 속이 울렁거려서 밥을 잘 못 드시는 모습, 심지어 약까지 잘 못 드시는 모습을 보고 많이 안타까웠던 거 같다. 얼른 회복하시고 모든 통증이 사그라들어 좋은 모습으로 일상샐활을 하셨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들었다.
*참고문헌
박은영 외(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 하권. 서울 : 현문사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Ⅱ. 서울 : 수문사
원종준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 2판. 서울: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39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611
닥터나우
https://doctornow.co.kr/content/magazine/b9d6d2c7268e45e792b1f74edb492dd2
약학정보원
http://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760A0010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삼성서울병원 임상영양팀(2016). “요구르트가 변비에 도움이 되나요?”.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HOMEPAGE&CONT_SRC_ID=33805&CONT_CLS_CD=001021007004&CONT_ID=6418
보건복지부. “출혈성 뇌졸중(뇌출혈)”. 보건복지부
https://www.gnuh.co.kr/ccvc/trebook/download.do?rbsIdx=80&f=unvY6D+OgA36tAq5fx5lRzaE+xv0xSZymQdCit1mqzg=
추천자료
ICH 환자의 간호과정 사례연구 보고서
[두개내 출혈] ICH (Intracranial hemorrhage)
[간호학]ICH케이스(NSICU)
신경외과(뇌출혈)
[간호진단 5개 / 간호과정 20개] ich(뇌출혈) 레포트 / ich 간호 / 뇌출혈 간호 / 간호진단 5...
A+성인간호학실습_사례보고서(경막하출혈) 문헌고찰 포함 꼼꼼하게 작성함!!!!
성인간호실습 신경외과 뇌내출혈 케이스[Intracerebral hemorrhage]
성인간호실습 신경외과 뇌실내출혈IVH 케이스[intraventricular hemorrhage]
성인간호 신경외과 폐쇄성경추골절 케이스
성인간호학 신경외과 뇌내출혈ICH 케이스 [intracerebral hemorrhag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