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풍수신앙
(1) 풍수의 개념.
(2) 풍수사상의 전래
(3) 풍수사상의 적용
※ 풍수의 명당을 보는 4대 조건
<< 풍수설에 관련된 역사들 >>
1. 신라 제 4대 왕인 석탈해
2. 풍수사상의 시조를 신라 말...
3. 왕건의 훈요십조
4. 묘청의 난
2. 점복신앙
⑴ 점복의 개념
⑵ 점복의 역사
⑶ 점복의 종류
⑷ 점복의 기능
(1) 풍수의 개념.
(2) 풍수사상의 전래
(3) 풍수사상의 적용
※ 풍수의 명당을 보는 4대 조건
<< 풍수설에 관련된 역사들 >>
1. 신라 제 4대 왕인 석탈해
2. 풍수사상의 시조를 신라 말...
3. 왕건의 훈요십조
4. 묘청의 난
2. 점복신앙
⑴ 점복의 개념
⑵ 점복의 역사
⑶ 점복의 종류
⑷ 점복의 기능
본문내용
없었음을 볼 때 풍수사상이 깊이 뿌리 내렸음을 알 수 있다.
2. 점복신앙
⑴ 점복의 개념
보통 우리말처럼 쓰는 한자어 점 대신에 원래는 점복 이라는 말을 썼다. 점복은 점(占)과 복(卜)의 합성어로써 글자의 원리를 풀이한 중국의 <설문>에서는 이를 점과 복으로 분명히 구분해 놓았다. 점은 거북이 껍질에 나타난 조짐을 보고 앞날의 좋고 나쁨을 미루어 아는 것이고, 복은 거북을 불태워 갈라지게 하는 것이라 했다. 이른바 거북점의 선후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다.
⑵ 점복의 역사
부여족: 부여족 들은 군대를 움직일 때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죽은 소의 발목을 보고 점쳤다.
고구려: 고구려의 7대 왕인 차대왕도 병이 났을 때 무사를 불러 병의 원인을 점쳐서 찾아내어 치료할 수 있다고 한다.
신라: 선덕 여왕이 점을 잘 쳐서 여러 가지 궁금한 것들을 알아 맞추었다고 한다.
백제: 거북이 등을 보고 점치는 거북점과 관상점이 발달하게 되었다.
고려시대 : 점을 담당하는 점복박사의 제도가 있었다.
조선시대 : 태조 이성계는 서운관의 제도를 그대로 존속시키고 천문지리역수점산측흔각루 등을 맞도록 했다.
⑶ 점복의 종류
① 자연 관상점 : 자연현상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것보다 이상한 때에는 그것이 무엇인가 인생의 어떤 계시를 주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
② 동물점과 식물점 : 동식물을 통해서 길흉화복이나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것.
③ 인산점 : 사람의 왕래 또는 손님이 온다던가 누구와 만난다던가 하는 것을 통해서 점치는 것.
④ 몽점 : 꿈에 있었던 현상을 풀어서 사람의 운을 판단하는 것.
⑤ 관상점과 작괘점 : 관상점은 얼굴, 발, 머리, 손, 빛깔 등을 통해서 사람의 운명을 점치는 것. 작괘점은 음양 점이 라고도 하는데 음양의 원리오행의 상생상극을 점법에 도입해서 괘를 만들고 그 괘를 풀어 점치는 것과 신첨을 만들어서 그 신첨을 뽑아 신첨에 써 있는 복문에 따라 점치 는 것.
⑷ 점복의 기능
① 지적 호기심의 충족이다.
② 정서적 불안의 해소를 들을 수 있다.
③ 복을 기원함에 있다.
④ 농사 등에 관한 과학적 기능이 있다.
⑤ 수신과 노력을 촉구하는 교육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⑥ 사회 분위기를 이끄는 정치적 기능도 있다.
이러한 점복은 우리 생활 속에 깊숙히 파고 들어와 있으며 과학이 아무리 발달하더라도 인간의 의식이 기계화되지 않는 이상 점복 사상은 언제 까지나 우리의 생활 속에서 함께 할 것이라 생각된다.
2. 점복신앙
⑴ 점복의 개념
보통 우리말처럼 쓰는 한자어 점 대신에 원래는 점복 이라는 말을 썼다. 점복은 점(占)과 복(卜)의 합성어로써 글자의 원리를 풀이한 중국의 <설문>에서는 이를 점과 복으로 분명히 구분해 놓았다. 점은 거북이 껍질에 나타난 조짐을 보고 앞날의 좋고 나쁨을 미루어 아는 것이고, 복은 거북을 불태워 갈라지게 하는 것이라 했다. 이른바 거북점의 선후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다.
⑵ 점복의 역사
부여족: 부여족 들은 군대를 움직일 때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죽은 소의 발목을 보고 점쳤다.
고구려: 고구려의 7대 왕인 차대왕도 병이 났을 때 무사를 불러 병의 원인을 점쳐서 찾아내어 치료할 수 있다고 한다.
신라: 선덕 여왕이 점을 잘 쳐서 여러 가지 궁금한 것들을 알아 맞추었다고 한다.
백제: 거북이 등을 보고 점치는 거북점과 관상점이 발달하게 되었다.
고려시대 : 점을 담당하는 점복박사의 제도가 있었다.
조선시대 : 태조 이성계는 서운관의 제도를 그대로 존속시키고 천문지리역수점산측흔각루 등을 맞도록 했다.
⑶ 점복의 종류
① 자연 관상점 : 자연현상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것보다 이상한 때에는 그것이 무엇인가 인생의 어떤 계시를 주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
② 동물점과 식물점 : 동식물을 통해서 길흉화복이나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것.
③ 인산점 : 사람의 왕래 또는 손님이 온다던가 누구와 만난다던가 하는 것을 통해서 점치는 것.
④ 몽점 : 꿈에 있었던 현상을 풀어서 사람의 운을 판단하는 것.
⑤ 관상점과 작괘점 : 관상점은 얼굴, 발, 머리, 손, 빛깔 등을 통해서 사람의 운명을 점치는 것. 작괘점은 음양 점이 라고도 하는데 음양의 원리오행의 상생상극을 점법에 도입해서 괘를 만들고 그 괘를 풀어 점치는 것과 신첨을 만들어서 그 신첨을 뽑아 신첨에 써 있는 복문에 따라 점치 는 것.
⑷ 점복의 기능
① 지적 호기심의 충족이다.
② 정서적 불안의 해소를 들을 수 있다.
③ 복을 기원함에 있다.
④ 농사 등에 관한 과학적 기능이 있다.
⑤ 수신과 노력을 촉구하는 교육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⑥ 사회 분위기를 이끄는 정치적 기능도 있다.
이러한 점복은 우리 생활 속에 깊숙히 파고 들어와 있으며 과학이 아무리 발달하더라도 인간의 의식이 기계화되지 않는 이상 점복 사상은 언제 까지나 우리의 생활 속에서 함께 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