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승 신앙과 고독은 그의 삶의 흐름이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현승 신앙과 고독은 그의 삶의 흐름이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신앙과 고독은 그의 삶의 흐름이다 *
- 서 론 -

- 김현승 시의 일반적 특징 -

- 시기별 특징 -

- 결 론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그는 "우리에게 주신 사랑과 희망", "당신의 은총"을 깊이깊이 간직할 수 있도록 염원하고 있다는 것-그는 신과의 단절된 관계를 "참된 본질을 알게 하는"고독을 통해 화해함으로써 다시 신을 인정한다.
『부활절에』 1975년 4월에 발표된 이 시는 그의 생존시 마지막 작품으로 기독교 정신인 사랑의 충만함을 노래한 것이다. '당신'의 희생으로 이 세상에는 사랑이 결실되고, 따라서 '당신'에게 "더욱 얽매이게"할 수밖에 없는 믿음과 부활의 기쁨, 그리고 생명의 환희를 노래하고 있다.
- 결 론 -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신앙정신에 충실하였으나 신에 회의하고 신과의 관계를 단절, 고독의 세계로 빠져들었다. 그러나 참다운 자아 발견으로 이를 극복하고 '절대 신앙'앞에 무릎 끓고 '당신의 은총'에 감사하였다.
그는 ‘회개’로 다시 신의 세계로 돌아와 구원의 신념을 갖는다. 그리고 작고하기까지 신에 몰두한다. 김현승은 초기부터 신앙의식을 기본으로 하여 관념어와 종교적 언어로 시를 썼다.그러나 그는 일생동안 인간 중심적인 의식을 가지고 시를 썼기 때문에 그것이 꼭 종교시일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 Comment
김현승에 있어 신앙과 고독은 매우 중요한 관계이다.
그가 신앙이 있었고 견고한 고독, 절대고독, 등과 같은 고독이 있었기에 그가 후에 진정한 신앙의 힘을 알 수 있었던 것이라고 난 생각된다.
우리 기독교인들도 마찬가지 우리도 자신의 신앙에 대한 회의를 하며 진정한 예수그리스도를 의심하고 한번 씩 슬럼프에 빠지고 그 속에서 허우적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는 시를 통해 그의 신앙과 고독의 상관성을 표현하였다.
우리들의 삶이 꼭 시인으로 아니어도 좋다. 김현승이 그의 신앙에 대해서 시를 통해 세상 사람들에게 알렸듯이 개인의 달란트에 맞게 세상에 그리스도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참된 진리는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신 주 예수 그리스도라는 것을 알리는 삶을 살고 싶다.
김현승에 대해 수업시간에 배우며 이 과제를 준비하면서 나에게 또 다른 과제가 생겼다. 바로 김현승은 시를 통해서 주님께 영광 돌렸듯이 나도 무언가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잘 할 수 있는 일을 통해서 세상 사람들에게 그의 참된 진리를 알려야 함을 느꼈다.
참고문헌
*김흥규, [한국 현대시를 찾아서] , 푸른나무
*곽광수, [김현승의 고독], 숭실어문학회편
*김희보, [김현승 시와 기독교적인 실존], 현대사상사 1979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5.2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1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