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인물화’연구의 개관
2장 ‘인물화’검사의 실제
3장 ‘인물화’검사의 분석규준 (마코버, 구디너프)
2장 ‘인물화’검사의 실제
3장 ‘인물화’검사의 분석규준 (마코버, 구디너프)
본문내용
01)은 교육현장에 종사하는 교사들에게 보다 손쉽게 사용되고 있다.
구디나프(Goodenough, 1926)는 인물화지능검사(Draw-a-Man-Test)는 아동들이 그린 인물화 속에는 그 그림을 그린 아동의 눈에 비치는 대상들을 분석하고 여러 가지 요소들 간의 관계를 탐지하는 지적 능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능력은 아동의 나이, 경험 그리고 시각적 분석력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전제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검사에서 측정하는 ‘지능’의 개념은 인간의 모습(human figure)에 대해서 갖고 있는 개념의 성숙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적 능력이란 사물을 지각하고 그 지각한 사물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가려내고, 일반화하는 인지과정(cognitive process)인 것이다. 특히, ‘사람’이란 주제는 다른 주제에 비해 가장 쉽게 볼 수 있으며 정서적으로나 인지적으로 아동들의 주요 관심 대상이므로 이러한 목적에 매우 적당하다고 하겠다. 그런데 아동들이 어떤 주어진 대상을 그림으로 그리기 위해서는 지각이나 운동 등 여러 가지 경험도 있어야 하므로 인물화 지능은 타고난 생득적인 기질과 함께 환경으로 부터 학습된 지식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구디나프(Goodenough, 1926)는 인물화지능검사(Draw-a-Man-Test)는 아동들이 그린 인물화 속에는 그 그림을 그린 아동의 눈에 비치는 대상들을 분석하고 여러 가지 요소들 간의 관계를 탐지하는 지적 능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능력은 아동의 나이, 경험 그리고 시각적 분석력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전제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검사에서 측정하는 ‘지능’의 개념은 인간의 모습(human figure)에 대해서 갖고 있는 개념의 성숙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적 능력이란 사물을 지각하고 그 지각한 사물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가려내고, 일반화하는 인지과정(cognitive process)인 것이다. 특히, ‘사람’이란 주제는 다른 주제에 비해 가장 쉽게 볼 수 있으며 정서적으로나 인지적으로 아동들의 주요 관심 대상이므로 이러한 목적에 매우 적당하다고 하겠다. 그런데 아동들이 어떤 주어진 대상을 그림으로 그리기 위해서는 지각이나 운동 등 여러 가지 경험도 있어야 하므로 인물화 지능은 타고난 생득적인 기질과 함께 환경으로 부터 학습된 지식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