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운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TART 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미국의 Head Start
2. 영국의 Sure Start
3. 캐나다 Fair Start
4. 한국의 We Start

Ⅲ. 결론

본문내용

등을 리모델링해 활용한다. 또한 공부방을 늘리고 기존 아동복지시설의 주변 환경을 개선하는 활동도 펼친다.
Ⅲ. 결론
미국의 Head Start와 영국의 Sure Start는 정부가 개입하지만 캐나다의 Fair Start와 우리나라의 We Start는 시민 운동적 성격을 갖는다. Head Start와 Sure Start가 정부의 정책의 성격을 가진다면 Fair Start와 We Start는 시민운동의 성격을 가지게 되고 프로그램에서 또한 그러한 차이가 나타나 시민들에게 더 도움을 요청하는 편이다. 또한 Head Start, Sure Start, Fair Start는 빈곤아동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시작되었지만 유아교육부문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 이유는 프로그램의 전문성이라고 생각한다. 단순히 빈곤아동을 위한 건강, 영양의 복지적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교육, 부모참여, 사회서비스, 부모들을 위한 진로지도 포괄적인 돌봄을 책임지는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We Start 운동이 빈곤아동의 교육부문에서의 문제를 단순히 학습의 부진으로만 보고 학원 및 아동학습지 업체등과 협력해 저소득층 가정 자녀의 학습지도에만 중점을 두는 반면, 다른 스타트 운동들은 빈곤아동의 교육문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기 때문에 프로그램 또한 다양하며 세부적이다. 아동의 문제는 하나로 정의될 수 없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적용방식 또한 명료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건강교육과 영양교육을 매일의 일과에 포함하고, 프로그램 계획, 센터, 교실, 가정 프로그램 활동에 부모를 참여시킨다. 학습에 도움을 주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선행되어야한다.
많은 나라들이 국가적으로 시민운동으로 전개하고 있는 Start운동이 활성화 되고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발적인 참여와 적극적인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뚜렷한 목적과 계획이 없이는 빈곤이라는 굴레에서 아이들을 빼오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공에만 중점을 두어 아동의 재능과 환경 등 이미 있는 자원을 활용하지 않는다면 이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의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다.
미래에 선생님이 될 사람으로서 우리나라 뿐 만아니라 많은 나라들이 스타트 운동을 계기로 더 많이 분석하고 연구하고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불우한 환경에 있는 아동들이 여느 평범한 아동들과 같은 교육과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아이들이 맞는 세상의 교육 공간이 아이들로 하여금 공부하고 싶고 배척되지 않도록 환경이 조성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참고문헌
미국 교육 사상사 - Clarence J. ka rier 저/ 교학연구사 출판/ 1990
유아교육과정 - 이기현 저/ 정민사 출판/ 2003
유아교육개론 - 이은아 외/ 이화여대 출판/ 2003
we start - http://westart.joins.com/
fair start - http://www.fairstart.ca/
중앙일보 2004년 3월 21일 기사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12745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4.06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