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프랑크왕국
1. 프랑크족과 갈리아지방
2. 메로빙王朝(Merovingians, Merowinger)
3. 카롤링 왕조(Carolingians, Karolinger)
1) 개관
2) 메로빙 왕조말의 정치와 사회
3) Pippin III the Short 741-68
4) 카알 대제 Carolus Magnus(L.), Charlemagne(F. E.), Karl der Groe(G.) 768-814
5) 카롤링제국의 통치
Ⅱ. 중프랑크왕국(Middle Frankish Empire)
Ⅲ. 동프랑크왕국(East Frankish Empire)
1. 신성로마제국(962-1806, 독일의 제1제국)
2. 합스부르크[제국지도]
Ⅳ. 서프랑크왕국(West Frankish Empire)
1. 노르만 족
1) 덴마크계
2) 노르웨이계
3) 스웨덴계
2. 노르만 공국[프랑스지도]
3. 카페 왕조(직계987-1328)
4. 발루아 왕조(방계1328-1589)
참고문헌
1. 프랑크족과 갈리아지방
2. 메로빙王朝(Merovingians, Merowinger)
3. 카롤링 왕조(Carolingians, Karolinger)
1) 개관
2) 메로빙 왕조말의 정치와 사회
3) Pippin III the Short 741-68
4) 카알 대제 Carolus Magnus(L.), Charlemagne(F. E.), Karl der Groe(G.) 768-814
5) 카롤링제국의 통치
Ⅱ. 중프랑크왕국(Middle Frankish Empire)
Ⅲ. 동프랑크왕국(East Frankish Empire)
1. 신성로마제국(962-1806, 독일의 제1제국)
2. 합스부르크[제국지도]
Ⅳ. 서프랑크왕국(West Frankish Empire)
1. 노르만 족
1) 덴마크계
2) 노르웨이계
3) 스웨덴계
2. 노르만 공국[프랑스지도]
3. 카페 왕조(직계987-1328)
4. 발루아 왕조(방계1328-1589)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중요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금으로 만든 인새(라틴어로 bulla)로 칙서를 승인한 데서 유래되었다. 1438년까지 방계로 이어지다가 1439년 알브레히트(알버트)2세 즉위로 다시 제위가 계속되었다. 막시밀리안 1세(신성 로마 제국 황제, 1493-1519)는 1477년 상속녀인 부르고뉴의 마리와 결혼하여 플랑드르와 [부르고뉴]를 합스부르크가가 소유가 되어 합스부르크를 중흥시키고 번영의 기초를 닦았다. 막시밀리안과 마리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필리프1세는 아라곤왕 페르난드5세와 카스티야(카스틸라)여왕 이세벨(이사벨라)이 결혼하여 낳은 딸 푸아나가(후아나)와 1496년 결혼하였다.
이 결혼을 통해 막시밀리안은 스페인과 그 식민지에 대한 계승권을 확보하였다. 그래서 막시밀리안이 결혼으로 땅을 넓히어 \'다른 나라들은 전쟁을 치르게 하라. 그대, 운좋은 오스트리아는 결혼을 하라\'는 말을 낳았다. 필리프1세는 푸아나가(후아나)와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막시밀리안의 손자 카를 5세로 그의 이름은 칼 또는 카알이라고도 영어로는 찰스 5세이다. 카를 5세는 어머니로부터 받은 시칠리아, 신대륙과 식민지, 나폴리를 다스리고, 아버지로부터 받은 플랑드르(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지방과 신성로마제국(1519-1556)을 다스렸다. 먼저 어머니 덕분에 에스파나왕에도 오르니 스페인에서는 카를로스(차알스, 1516-1556)1세라고 불렀다.
이 황제 시대에 루터의 [종교개혁]이 이루어지고 보름스의회에서 개혁을 취소하라는 명령을 하였다. 그는 포르투갈 여왕 이자벨과 결혼하고 아들 필리프2세(1556-1598)를 낳았다. [필리프2세]는 무적함대로 유명한 왕이다. 합스부르크의 \'로트링겐\'가는 5장의 오스트리아 역사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Ⅳ. 서프랑크왕국(West Frankish Empire)
차남 샤를2세(카알2세: 843-877)가 지배하고있을 때에 겔트족인 노르만의 침입으로 국토를 제대로 방위 할 수 없어 각지에 귀족층이 대두하여 국내가 분열상태에 놓이고 왕권도 약화되었다. 루이 5세가 갑자기 죽고 왕가는 987년에 끝난다. 후계가 없어 제후의 지지로 위그카페가 왕위에 오르고 카페왕조를 열어 서쪽은 프랑스의 기초가 되고, 동쪽은 독일의 기초가 형성되어 지금과 비슷하였다. 노르만은 그때 점령하여 지배한 노르만디의 이름이 현재의 지명되었다.
1. 노르만 족
노르만족은 \'북방인\'이라는 뜻으로 이동하지 않은 북게르만 계통을 \'바이킹\'이라고도 한다. 장신에 금발이고 피부는 백색의 파란 눈이 특징이다. 혹독한 추위와 험한 자연에 시달리던 그들은 더 좋은 환경을 찾아 영국과 유럽 등지로 침략하였다. 8세기경에 본국(프랑크 왕국)이 통일왕권을 이루므로 독립적 지위를 잃은 작은 수장들이 토지를 소유하지 못한 주민을 이끌고 약탈의 이동을 개시하였다. 그들은 조선 기술과 향해 기술이 능하고 모험심이 강하여 빠른 배로 물이 있는 곳이며 바람같이 나타나 약탈하고 점령하였다. 그들이 섬긴 신이 수요일의 어원이 된 \'오딘(Wodin)\'이다. 그들은 3방향으로 이동하였다.
1) 덴마크계
프랑크, 잉글랜드로 향하고 수장은 \'롤로\'이다.
2) 노르웨이계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일부는 북아메리카에 진출한 흔적을 남겼다.
3) 스웨덴계
러시아에 상륙하여 수장 \'류리크\'가 노브고로트 공국을 건설하였다. 러시아를 \'로스\'라고 하여 우리가 어릴 때에 로스케라고 불렀다. 로스는 \'배 잘 젓는 사람\'라는 뜻으로 바이킹의 배 젓는 솜씨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일부는 지중해로 진출하여 시칠리아에 왕국을 세우고, 신성로마 프리드리히 2세(1215-1250)에게 상속하였으나, 황제가 죽고 스페인으로 넘어갔다.
2. 노르만 공국[프랑스지도]
노르만의 수장 롤로가 프랑크의 제국 세느강을 따라 침입하여, 샤를3세로부터 노르만 공작이라는 작위를 받아 서쪽의 땅을 지배하였고 영지를 확장하여 실질적인 독립국을 형성하였다. 윌리엄1세(기욤)가 영국을 정복하고 노르만 왕조(1066-1154)를 열었다. 후에는 영국의 지배를 받다가 1259년에 프랑스에 편입되었다. 현재의 노르만디 지명은 그 때문에 생겼다. 노르만왕조는 [영국역사]에서 다루기로 한다.
3. 카페 왕조(직계987-1328)
루이5세가 갑자기 죽고 후계가 없어 제후의 지지로 위그카페가 왕위에 오르고 카페왕조를 열었다. 위그카페는 역량이 지대하여 카페왕조가 300년간 지속되는 기초가 되었다. 특이 한 것은 후계자를 결정하고 미리 대관식을 거행하여 왕위계승을 원활하게 한 것이다. 샤를4세가 왕자 없어 삼촌 발로(루)아 백작의 아들 필립6세에게 양위하므로 발루아왕조가 시작하게 되었다.
4. 발루아 왕조(방계1328-1589)
필립 6세의 왕위는 *3부회의 결의로 왕위를 받았고 아버지의 발루아 백작이 왕조의 명칭이 되었다. 영국이 계승권을 주장하여 *백년전쟁이 1337년에 시작되었고 계속되는 전쟁과 흑사병(페스트)의 만연으로 백성과 왕권은 어려움이 많았다. 왕조는 13대인 1589년의 앙리3세가 죽음으로 왕가는 단절되고 부르봉왕조가 열리게된다. 이 왕조도 방계가 있는데, 발루아 오를레앙가(1498-1515)이고 또 하나는 발루아 앙굴렘(1515-1598)이다. 1453년 샤를7세 때에 백년전쟁을 종식시키고 전 국토를 통일하였다. 후반기에는 강력한 경제정책과 행정기구의 정비를 통하여 왕권을 강화한 것이 뒤를 이은 부르봉 왕조의 절대 왕정을 할 수 있는 기초가 되었다. 이탈리아와 전쟁에서 실패하여 합스브르크 왕가와 적대관계는 왕정이 끝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 전쟁으로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에서도 르네상스를 이룩되게 하였다. 종교개혁의 탄압은 위그노전쟁이 일어났고 종교개혁에 커다란 성과를 남겼다.
참고문헌
김진웅·손영호·정성화, 서양사의 이해
만프레트라이츠, 중세산책, 플래닛미디어
민석홍, 서양사개론, 삼영사, 1997
박은봉, 개정판 세계사 100장면, 실천문학사, 1996
차하순, 서양사 총론, 탐구당
크리스토퍼 도오슨(Christopher Dawson), 임명방 역, 유럽 문화사, 형설출판사, 1971
Dorsen. C 저, 임명박 역, 중세 유럽의 형성
이 결혼을 통해 막시밀리안은 스페인과 그 식민지에 대한 계승권을 확보하였다. 그래서 막시밀리안이 결혼으로 땅을 넓히어 \'다른 나라들은 전쟁을 치르게 하라. 그대, 운좋은 오스트리아는 결혼을 하라\'는 말을 낳았다. 필리프1세는 푸아나가(후아나)와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막시밀리안의 손자 카를 5세로 그의 이름은 칼 또는 카알이라고도 영어로는 찰스 5세이다. 카를 5세는 어머니로부터 받은 시칠리아, 신대륙과 식민지, 나폴리를 다스리고, 아버지로부터 받은 플랑드르(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지방과 신성로마제국(1519-1556)을 다스렸다. 먼저 어머니 덕분에 에스파나왕에도 오르니 스페인에서는 카를로스(차알스, 1516-1556)1세라고 불렀다.
이 황제 시대에 루터의 [종교개혁]이 이루어지고 보름스의회에서 개혁을 취소하라는 명령을 하였다. 그는 포르투갈 여왕 이자벨과 결혼하고 아들 필리프2세(1556-1598)를 낳았다. [필리프2세]는 무적함대로 유명한 왕이다. 합스부르크의 \'로트링겐\'가는 5장의 오스트리아 역사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Ⅳ. 서프랑크왕국(West Frankish Empire)
차남 샤를2세(카알2세: 843-877)가 지배하고있을 때에 겔트족인 노르만의 침입으로 국토를 제대로 방위 할 수 없어 각지에 귀족층이 대두하여 국내가 분열상태에 놓이고 왕권도 약화되었다. 루이 5세가 갑자기 죽고 왕가는 987년에 끝난다. 후계가 없어 제후의 지지로 위그카페가 왕위에 오르고 카페왕조를 열어 서쪽은 프랑스의 기초가 되고, 동쪽은 독일의 기초가 형성되어 지금과 비슷하였다. 노르만은 그때 점령하여 지배한 노르만디의 이름이 현재의 지명되었다.
1. 노르만 족
노르만족은 \'북방인\'이라는 뜻으로 이동하지 않은 북게르만 계통을 \'바이킹\'이라고도 한다. 장신에 금발이고 피부는 백색의 파란 눈이 특징이다. 혹독한 추위와 험한 자연에 시달리던 그들은 더 좋은 환경을 찾아 영국과 유럽 등지로 침략하였다. 8세기경에 본국(프랑크 왕국)이 통일왕권을 이루므로 독립적 지위를 잃은 작은 수장들이 토지를 소유하지 못한 주민을 이끌고 약탈의 이동을 개시하였다. 그들은 조선 기술과 향해 기술이 능하고 모험심이 강하여 빠른 배로 물이 있는 곳이며 바람같이 나타나 약탈하고 점령하였다. 그들이 섬긴 신이 수요일의 어원이 된 \'오딘(Wodin)\'이다. 그들은 3방향으로 이동하였다.
1) 덴마크계
프랑크, 잉글랜드로 향하고 수장은 \'롤로\'이다.
2) 노르웨이계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일부는 북아메리카에 진출한 흔적을 남겼다.
3) 스웨덴계
러시아에 상륙하여 수장 \'류리크\'가 노브고로트 공국을 건설하였다. 러시아를 \'로스\'라고 하여 우리가 어릴 때에 로스케라고 불렀다. 로스는 \'배 잘 젓는 사람\'라는 뜻으로 바이킹의 배 젓는 솜씨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일부는 지중해로 진출하여 시칠리아에 왕국을 세우고, 신성로마 프리드리히 2세(1215-1250)에게 상속하였으나, 황제가 죽고 스페인으로 넘어갔다.
2. 노르만 공국[프랑스지도]
노르만의 수장 롤로가 프랑크의 제국 세느강을 따라 침입하여, 샤를3세로부터 노르만 공작이라는 작위를 받아 서쪽의 땅을 지배하였고 영지를 확장하여 실질적인 독립국을 형성하였다. 윌리엄1세(기욤)가 영국을 정복하고 노르만 왕조(1066-1154)를 열었다. 후에는 영국의 지배를 받다가 1259년에 프랑스에 편입되었다. 현재의 노르만디 지명은 그 때문에 생겼다. 노르만왕조는 [영국역사]에서 다루기로 한다.
3. 카페 왕조(직계987-1328)
루이5세가 갑자기 죽고 후계가 없어 제후의 지지로 위그카페가 왕위에 오르고 카페왕조를 열었다. 위그카페는 역량이 지대하여 카페왕조가 300년간 지속되는 기초가 되었다. 특이 한 것은 후계자를 결정하고 미리 대관식을 거행하여 왕위계승을 원활하게 한 것이다. 샤를4세가 왕자 없어 삼촌 발로(루)아 백작의 아들 필립6세에게 양위하므로 발루아왕조가 시작하게 되었다.
4. 발루아 왕조(방계1328-1589)
필립 6세의 왕위는 *3부회의 결의로 왕위를 받았고 아버지의 발루아 백작이 왕조의 명칭이 되었다. 영국이 계승권을 주장하여 *백년전쟁이 1337년에 시작되었고 계속되는 전쟁과 흑사병(페스트)의 만연으로 백성과 왕권은 어려움이 많았다. 왕조는 13대인 1589년의 앙리3세가 죽음으로 왕가는 단절되고 부르봉왕조가 열리게된다. 이 왕조도 방계가 있는데, 발루아 오를레앙가(1498-1515)이고 또 하나는 발루아 앙굴렘(1515-1598)이다. 1453년 샤를7세 때에 백년전쟁을 종식시키고 전 국토를 통일하였다. 후반기에는 강력한 경제정책과 행정기구의 정비를 통하여 왕권을 강화한 것이 뒤를 이은 부르봉 왕조의 절대 왕정을 할 수 있는 기초가 되었다. 이탈리아와 전쟁에서 실패하여 합스브르크 왕가와 적대관계는 왕정이 끝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 전쟁으로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에서도 르네상스를 이룩되게 하였다. 종교개혁의 탄압은 위그노전쟁이 일어났고 종교개혁에 커다란 성과를 남겼다.
참고문헌
김진웅·손영호·정성화, 서양사의 이해
만프레트라이츠, 중세산책, 플래닛미디어
민석홍, 서양사개론, 삼영사, 1997
박은봉, 개정판 세계사 100장면, 실천문학사, 1996
차하순, 서양사 총론, 탐구당
크리스토퍼 도오슨(Christopher Dawson), 임명방 역, 유럽 문화사, 형설출판사, 1971
Dorsen. C 저, 임명박 역, 중세 유럽의 형성
추천자료
서양 중세의 문화
프랑스경찰제도의 모든 것
토마스 아퀴나스의 기독교 윤리설- 원시 기독교 윤리사상 과 아퀴나스의 윤리사상 (인간관, ...
서양의 중세사(교육철학 및 교육사)
로마네스크(Romanesque) & 고딕(gothic)
[관료제도론] 제5장 관료제의 역사적 전개
[요약] 관료제의 역사적 전개
[요약] 관료제의 역사적 전개
관료제의 역사적 전개
[요약] 제5장 관료제의 역사적 전개
제5장. 관료제의 역사적 전개
관료제의 역사적전개 (요약)
제5장. 관료제의 역사적 전개
[비교발전행정론] 스위스 행정의 기원과 전개 행정체계의 제도적 윽성 의회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