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언
-스타벅스를 선정하게 된 동기
2.본론 - 2~10 -
1)스타벅스란??
-스타벅스의 소개 -2,3page-
①스타벅스의 본사
②스타벅스 코리아
-스타벅스 탄생 배경 -3page-
-스타벅스 경영 이념 -3page-
-스타벅스의 연혁 -4page-
-스타벅스의 경영 성과 -5page-
-스타벅스의 성공요인 -6page-
2)스타벅스 마케팅 전략분석 - 7 ~10 -
-STP전략 -7,8page-
-5P`S -8,9page-
-스타벅스 SWOT 분석 -10page-
3.결론 - 11~16 -
-스타벅스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 & 시사점 -11,12,13page-
-스타벅스의 새로운 성장 가능성 -13page-
-향후 전망 -14page-
-우리들의 소감(배운점,느낀점,임무분담) -15page-
-자료 출처 -16page-
-total 16page-
-스타벅스를 선정하게 된 동기
2.본론 - 2~10 -
1)스타벅스란??
-스타벅스의 소개 -2,3page-
①스타벅스의 본사
②스타벅스 코리아
-스타벅스 탄생 배경 -3page-
-스타벅스 경영 이념 -3page-
-스타벅스의 연혁 -4page-
-스타벅스의 경영 성과 -5page-
-스타벅스의 성공요인 -6page-
2)스타벅스 마케팅 전략분석 - 7 ~10 -
-STP전략 -7,8page-
-5P`S -8,9page-
-스타벅스 SWOT 분석 -10page-
3.결론 - 11~16 -
-스타벅스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 & 시사점 -11,12,13page-
-스타벅스의 새로운 성장 가능성 -13page-
-향후 전망 -14page-
-우리들의 소감(배운점,느낀점,임무분담) -15page-
-자료 출처 -16page-
-total 16page-
본문내용
ea Leaf: 213
5.Coffee Beanery: 200
6.Seattle’s Best: 160 (Starbucks’ subsidiary)
7.Peet’s Coffee: 112
8.Tully’s: 100
9.Dunn Bros. Coffee: 85
10.Port City Java: 55
Of the 10 biggest coffee chains in the US, Starbucks (plus Seattle’s Best) owns 8,160 stores out of a total 9,439. That’s 86%.
위차트는 2006년 미국내 커피 체인점 분포도를 조사한 자료이다.
스타벅스는 계열사인 Seattle's best coffee를 합처 무려 86%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스타벅스와 비슷하게 강력한 경쟁상대가 없이 독주하고 있는 Microsoft나 Wal-mart를 보라. 각종 독점법이나, 소비자 단체의 주 타겟이 되고 있다. 그리고 소비자들 불신도 점점 커져갈 것이다. 얼마 전 언론에서 한참 시끄러웠던 하워드 회장의 이스라엘군 지원설 등이 좋은 예 이다.
3. 스타벅스 커피가 진정 프리미엄 커피인가?
요즘 스타벅스는 커피 자판기와 비슷하게 작동하는 완전 자동 에스프레소 기계를 사용한다. 대기업으로 성장한 스타벅스 입장에서 질보다는 스피드를 선택한 것이다.
스타벅스 입장에서는 수많은 직원교육 문제가 커다란 골칫거리 이므로 이러한 결정을 내렸겠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선 뭔가 억울하고 손해 보는 기분이다.
이런 이유로 새로운 이미지의 스타벅스가 필요 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스타벅스의 새로운 성장 가능성*
스타벅스는 미국 내 음반 판매 업체중 4위를 달리고 있다.
엄청나지 않은가? 얼마 전 미국 내 최대 음반 유통 회사였던 Tower Record가 최종 부도를 냈다.
사람들의 음반 구매 패턴이 바뀐 것이다.
스타벅스에서 주로 판매하는 음반은 주로 재즈다.
재즈 음반은 음반을 구입하기 전 최소의 사전 지식이 있어야 한다.
바쁜 현대인들에게 스타벅스가 미리 엄선해준 재즈 음반은 이런 시간과 노력을 절약해준다.
그만큼 재즈를 접하는 인구가 늘어간다는 것은 참 즐거운 일이다.
하워드 회장이 강조 했던 것처럼, 문화를 파는 스타벅스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앞으로 스타벅스에서 영화 판매까지 시작 할 거라 한다.
결과는 뚜껑을 열어봐야 알겠지만, 실험적인 시장을 개척하는 스타벅스의 행보는 높이 평가 할만하다. 10년후의 스타벅스의 모습을 기대해본다.
*향후 사업 전망*
스타벅스코리아는 당기순이익이 2000년 323,920,274원에 비해 2007년 12,585,337,424원으로 꾸준하게 증가해왔다. 하지만 사업 순익이 증가 해온 것과 동시에 본사로의 로열티 지급도 크게 늘어났으며, 사회로의 기부금도 매출액의 0.07%에 불과했다. 국내 상장사들의 매출액비중 기부금 비율(0.21%)과 비교하면 3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 이렇게 사회적으로 비판을 받는 문제도 존재하지만, 이 문제를 개선한다면 스타벅스가 세계화 반대 시위 때마다 노동착취 기업으로 공격받았고 그로 인해 공정무역 커피를 취급하여 기업 이미지를 쇄신한 것처럼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그리고 인지도, 호감도, 신뢰, 만족, 구매의도가 포함된 브랜드 가치(브랜드스톡 조사 (www.brandstock.co.kr))가 2위 커피빈에 비해 높이 평가되고 있고, 전국적으로 많은 매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스타벅스 241개 할리스는 132개, 커피빈은 122개) 단기적으로는 스타벅스의 선두 독주가 예상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좀 더 커피문화가 정착되는 시기에 들어서면, 지금 미국내의 스타벅스가 안고 있는 문제(획일적인 매장분위기, 커피머신으로 커피제조, 매장증가로 인한 바리스타의 고객관리 부족등)가 대두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나친 매장의 확충보다는 지역별 구매자수의 한계를 정확히 파악, 적당한 수의 매장증가와 매장 수에 비례하는 바리스타의 육성, 그리고 세련됐지만, 질리지 않고 편안한 분위기의 매장을 만드는 노력이 더해진다면 선두자리를 지켜낼 수 있을 거라 예상된다.
*브랜별 소비자조사*
< < 소감문 >>
스타벅스 커피 코리아는 지난 99년 이대앞 1호점을 시작으로 2004년 7월말 약 6년 만에 100호점 인 이태원점을 오픈하며 눈부신 고도 성장을 거듭 이루었으면 현재(2008년)에는 스타벅스의 이름은 남녀노소 모두가 아는 브랜드가 되었다.
시애틀의 작은 커피점에서 시작해 현재의 이르기까지의 성장을 보았을때 하워드 슐츠(Howard Schultz)의 경영전략은 매우 훌륭하다고 느꼈다.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창조해내어 현재 최대의 규모로 경쟁 기업이 없을만큼의 큰 기업으로 발전한 스타벅스의 저력과 스타벅스 만의 고유한 문화를 다른 지역의 문화와 동화시켜 새로운 문화를 창조 했다는것에 객관적인 스타벅스의 통계적인 매출, 규모 를 보았을 때보다 더 대단하게 느껴졌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세계경제는 급속히 단일시장 경제체제 가 형성되고 있다
세계시장의 장벽이 점점 축소되고 또한 국내시장의 포화로 인해 각국의 국내기업들 은 포화된 국내시장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세계 경쟁시대의 발맞춰 적극적인 세계시장의 진출의 필요성이 증대대고 있다. 작은 모방에서부터 계속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 남과 다른 마케팅전략과 자신만의 신념을 고집하며 발전해온 스타벅스의 사례를 연구 하면서 현재 이러한 시점에서 배울만한 예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흔히 아는 단순한 비싼(고급)커피 라고 단순히 알고있던 커피가 스타벅스 라는 이름으로 전세계인 통한다는 것은 매우 매력적이다고 생각한다 우리도 이와같은 기업이 탄생하는것이 오래지 않아 생길것을 기대해본다.
[자료 출처]
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
스타벅스 공식 홈페이지, http://www.starbucks.com
스타벅스 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http://www.istarbucks.co.kr
『스타벅스, 커피 한 잔에 담긴 성공신화』하워드 슐츠, 도리 존스 양 지음, 홍순명 옮김, 김영사, 1999
『스타벅스 감성 마케팅』김영한, 임희정. 넥서스북스, 2003
5.Coffee Beanery: 200
6.Seattle’s Best: 160 (Starbucks’ subsidiary)
7.Peet’s Coffee: 112
8.Tully’s: 100
9.Dunn Bros. Coffee: 85
10.Port City Java: 55
Of the 10 biggest coffee chains in the US, Starbucks (plus Seattle’s Best) owns 8,160 stores out of a total 9,439. That’s 86%.
위차트는 2006년 미국내 커피 체인점 분포도를 조사한 자료이다.
스타벅스는 계열사인 Seattle's best coffee를 합처 무려 86%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스타벅스와 비슷하게 강력한 경쟁상대가 없이 독주하고 있는 Microsoft나 Wal-mart를 보라. 각종 독점법이나, 소비자 단체의 주 타겟이 되고 있다. 그리고 소비자들 불신도 점점 커져갈 것이다. 얼마 전 언론에서 한참 시끄러웠던 하워드 회장의 이스라엘군 지원설 등이 좋은 예 이다.
3. 스타벅스 커피가 진정 프리미엄 커피인가?
요즘 스타벅스는 커피 자판기와 비슷하게 작동하는 완전 자동 에스프레소 기계를 사용한다. 대기업으로 성장한 스타벅스 입장에서 질보다는 스피드를 선택한 것이다.
스타벅스 입장에서는 수많은 직원교육 문제가 커다란 골칫거리 이므로 이러한 결정을 내렸겠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선 뭔가 억울하고 손해 보는 기분이다.
이런 이유로 새로운 이미지의 스타벅스가 필요 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스타벅스의 새로운 성장 가능성*
스타벅스는 미국 내 음반 판매 업체중 4위를 달리고 있다.
엄청나지 않은가? 얼마 전 미국 내 최대 음반 유통 회사였던 Tower Record가 최종 부도를 냈다.
사람들의 음반 구매 패턴이 바뀐 것이다.
스타벅스에서 주로 판매하는 음반은 주로 재즈다.
재즈 음반은 음반을 구입하기 전 최소의 사전 지식이 있어야 한다.
바쁜 현대인들에게 스타벅스가 미리 엄선해준 재즈 음반은 이런 시간과 노력을 절약해준다.
그만큼 재즈를 접하는 인구가 늘어간다는 것은 참 즐거운 일이다.
하워드 회장이 강조 했던 것처럼, 문화를 파는 스타벅스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앞으로 스타벅스에서 영화 판매까지 시작 할 거라 한다.
결과는 뚜껑을 열어봐야 알겠지만, 실험적인 시장을 개척하는 스타벅스의 행보는 높이 평가 할만하다. 10년후의 스타벅스의 모습을 기대해본다.
*향후 사업 전망*
스타벅스코리아는 당기순이익이 2000년 323,920,274원에 비해 2007년 12,585,337,424원으로 꾸준하게 증가해왔다. 하지만 사업 순익이 증가 해온 것과 동시에 본사로의 로열티 지급도 크게 늘어났으며, 사회로의 기부금도 매출액의 0.07%에 불과했다. 국내 상장사들의 매출액비중 기부금 비율(0.21%)과 비교하면 3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 이렇게 사회적으로 비판을 받는 문제도 존재하지만, 이 문제를 개선한다면 스타벅스가 세계화 반대 시위 때마다 노동착취 기업으로 공격받았고 그로 인해 공정무역 커피를 취급하여 기업 이미지를 쇄신한 것처럼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그리고 인지도, 호감도, 신뢰, 만족, 구매의도가 포함된 브랜드 가치(브랜드스톡 조사 (www.brandstock.co.kr))가 2위 커피빈에 비해 높이 평가되고 있고, 전국적으로 많은 매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스타벅스 241개 할리스는 132개, 커피빈은 122개) 단기적으로는 스타벅스의 선두 독주가 예상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좀 더 커피문화가 정착되는 시기에 들어서면, 지금 미국내의 스타벅스가 안고 있는 문제(획일적인 매장분위기, 커피머신으로 커피제조, 매장증가로 인한 바리스타의 고객관리 부족등)가 대두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나친 매장의 확충보다는 지역별 구매자수의 한계를 정확히 파악, 적당한 수의 매장증가와 매장 수에 비례하는 바리스타의 육성, 그리고 세련됐지만, 질리지 않고 편안한 분위기의 매장을 만드는 노력이 더해진다면 선두자리를 지켜낼 수 있을 거라 예상된다.
*브랜별 소비자조사*
< < 소감문 >>
스타벅스 커피 코리아는 지난 99년 이대앞 1호점을 시작으로 2004년 7월말 약 6년 만에 100호점 인 이태원점을 오픈하며 눈부신 고도 성장을 거듭 이루었으면 현재(2008년)에는 스타벅스의 이름은 남녀노소 모두가 아는 브랜드가 되었다.
시애틀의 작은 커피점에서 시작해 현재의 이르기까지의 성장을 보았을때 하워드 슐츠(Howard Schultz)의 경영전략은 매우 훌륭하다고 느꼈다.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창조해내어 현재 최대의 규모로 경쟁 기업이 없을만큼의 큰 기업으로 발전한 스타벅스의 저력과 스타벅스 만의 고유한 문화를 다른 지역의 문화와 동화시켜 새로운 문화를 창조 했다는것에 객관적인 스타벅스의 통계적인 매출, 규모 를 보았을 때보다 더 대단하게 느껴졌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세계경제는 급속히 단일시장 경제체제 가 형성되고 있다
세계시장의 장벽이 점점 축소되고 또한 국내시장의 포화로 인해 각국의 국내기업들 은 포화된 국내시장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세계 경쟁시대의 발맞춰 적극적인 세계시장의 진출의 필요성이 증대대고 있다. 작은 모방에서부터 계속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 남과 다른 마케팅전략과 자신만의 신념을 고집하며 발전해온 스타벅스의 사례를 연구 하면서 현재 이러한 시점에서 배울만한 예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흔히 아는 단순한 비싼(고급)커피 라고 단순히 알고있던 커피가 스타벅스 라는 이름으로 전세계인 통한다는 것은 매우 매력적이다고 생각한다 우리도 이와같은 기업이 탄생하는것이 오래지 않아 생길것을 기대해본다.
[자료 출처]
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
스타벅스 공식 홈페이지, http://www.starbucks.com
스타벅스 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http://www.istarbucks.co.kr
『스타벅스, 커피 한 잔에 담긴 성공신화』하워드 슐츠, 도리 존스 양 지음, 홍순명 옮김, 김영사, 1999
『스타벅스 감성 마케팅』김영한, 임희정. 넥서스북스, 2003
추천자료
경영전략 및 블루오션전략에 대해
[대기업][재벌][재벌정책][대기업의 문제점][대기업의 신경영전략][대기업 시사점]대기업의 ...
기업경영전략 (삼성의 다각화 전략)
경영전략 포스코의 다각화 세계화 전략
경영전략의 경영요소와 사례 우위
[국제경영전략론]맥도날드 전략분석
경영전략 두산그룹의 경영혁신
호텔경영전략 단계 및 유형,전략개념 및 사례
[기업경쟁력, 전자상거래]기업경쟁력과 전자상거래, 고용형태, 기업경쟁력과 고객만족경영, ...
<이랜드 차이나(이롄)의 성공전략과 사례> 이랜드(E-Land), 의류브랜드, 이랜드 경영전략, SW...
리조트 사업 분석 : 인도양의 푸른 꽃 몰디브 ‘몰디브 리조트’ [레크리에이션 경영전략 제시 ...
[태권도논문] 태권도 수련자 감소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태권도장 경영전략 (태권도장경영전략)
경영전략(strategic management)_전정시 중간, 전략정보시스템 정리 요약_족보
경영전략(strategic management)_전정시 기말, 전략정보시스템 족보,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