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사물놀이의 개념
Ⅲ. 사물놀이의 음악적 특징
1. 가죽악기와 금속악기의 대립과 조화
2. 사물놀이의 원리(1) - 점층적 가속
3. 사물놀이의 원리(2) - 긴장과 이완의 원리
4. 사물놀이의 원리(3) - 음양의 조화
Ⅳ. 사물놀이의 원리
1. 점층적 가속
2. 긴장과 이완의 원리
3. 음양의 조화
Ⅴ. 사물놀이의 악기
1. 장구
2. 북
3. 징
4. 꽹과리
Ⅵ. 사물놀이의 다양한 모습
참고문헌
Ⅱ. 사물놀이의 개념
Ⅲ. 사물놀이의 음악적 특징
1. 가죽악기와 금속악기의 대립과 조화
2. 사물놀이의 원리(1) - 점층적 가속
3. 사물놀이의 원리(2) - 긴장과 이완의 원리
4. 사물놀이의 원리(3) - 음양의 조화
Ⅳ. 사물놀이의 원리
1. 점층적 가속
2. 긴장과 이완의 원리
3. 음양의 조화
Ⅴ. 사물놀이의 악기
1. 장구
2. 북
3. 징
4. 꽹과리
Ⅵ. 사물놀이의 다양한 모습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사실 설장고놀이는 장고에 능한 상장고(上長鼓) 같은 이가 혼자 나와서 서서 장고를 치면서 여러 가지 춤사위나 자기만의 독특한 버슴새 등을 보여주는 식인데, 사물놀이는 네 명의 연주자 모두가 앉아서 연주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설장고의 놀이성보다는 음악적인 면이 강조가 된다.
\'삼도농악(풍물굿)가락\' 역시 삼도의 대표적인 풍물굿 가락을 모아 앉은반의 형태로 연주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물놀이\'하면 떠올리는 사물놀이의 대표적인 모습이기도 하다. 이 삼도농악가락은 사물놀이의 초창기에는 말 그대로 \'영남농악(풍물)\'이니 \'웃다리풍물\'이니 \'호남우도굿\'이니 하는 이름으로 따로따로 나뉘어져서 연주되었었지만 그 뒤에 이 셋을 한데 엮어지게 되는데, 한 발 늦게 삼도설장고가락이 레퍼토리로 되면서 부터라고 생각된다. 삼도설장고가락이 장고를 통해서 연주자의 기량과 음악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삼도농악가락은 꽹과리, 징, 장고, 북의 사물을 가지고 우리의 가락 속에 잠재되어 있는 음양의 원리와 자연의 이치를 수많은 세월을 통해 학습하고 다져온 깊고 넓은 호흡으로 동그랗게 떠 올려 감고 감아가며 쌓아서 혹은 오므리고 혹은 부풀리며 한데 어우러진다. 이러한 삼도농악가락의 장단 짜임새는 [점고-경술-호남우도굿(오채질굿-우질굿-좌질굿-풍류-덩덕궁)-영남농악(별달거리)-웃다리풍물(짝쇠)]의 순으로 되어있다.
위에서 얘기한 비나리는 제의성이 강하고 삼도설장고가락과 삼도농악가락은 음악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다면 판굿은 한마디로 놀이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판굿에서 사물잽이들은 머리에는 상모를 쓰고 사물을 손에 들거나 몸에 메거나 하여 발로는 땅을 딛어 박차고 머리로는 하늘을 휘젓고 손으로는 사물을 울리어 듣는 이의 몸과 마음을 뒤흔들어 이 모두를 하나로 아우른다. 그것을 위해 사물잽이들은 마치 무당이 작두를 타듯 끝없는 신명과 터질 듯한 몸짓으로 온 몸과 마음을 내 던진다. 자기가 치고 있는 가락에 얹힌 발딛음과 상모의 사위가 하나가 되어서 다른 잽이의 그것과 다시 하나가 되어야 하고 그래야만 보고 듣는 이와 더욱 크게 하나가 되어 천지인(天地人) 모두를 아우를 수 있으니 어찌 보면 사물놀이의 백미가 아닌가 생각된다.
이상의 네 가지가 이른바 사물놀이의 대표적인 고정 \'레퍼토리\'이다. 그러나 사물놀이는 여기에 머무르지 않고 앞서 말한 대로 다른 공연예술의 갈래와의 실험적, 창조적 만남이나 무속(巫俗)의 사물놀이화 등의 시도를 잠시도 멈추지 않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만 나열을 해 보면 [사물놀이를 위한 국악관현악-\'신모듬\'] [사물놀이와 피아노의 만남-\'열두거리\'] [사물놀이와 오케스트라의 만남-\'푸리\'나 \'마당\'] 등과 사물놀이 초창기부터 시도되어 온 강태환 Jazz 그룹, 흑인 둘과 백인 둘로 구성된 Jazz 그룹인 Red Sun을 비롯한 국내외의 여러 Jazz 그룹이나 Rock 그룹과의 만남, 그리고 이애주 교수의 창작춤인 \'바람맞이\' 부터 승무, 살풀이, 태평무, 진쇠춤 등에 이르는 전통무용과 심지어는 Jazz Ballet의 음악 등 사물놀이가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찾기 위해 시도한 실험적이면서도 창조적인 만남과 모색은 실로 다양하다는 표현을 넘어설 정도이다.
참고문헌
국립국악원(1992), 한국음악 제27집, 사물놀이
김헌선, 풍물 굿에서 사물놀이까지
김영옥(1996), 한국음악의 이해, 서울 : 도서출판민속원
스타프리즘(1997), 사물놀이 유래와 역사
윤기홍(1986), 한국민요론, 잡가의 성격과 민요, 판소리와의 관계 참고, 집문당
정병호(1986), 농악, 열화당
최종민(1984), 전통문화(농악의 지역별 특성)
\'삼도농악(풍물굿)가락\' 역시 삼도의 대표적인 풍물굿 가락을 모아 앉은반의 형태로 연주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물놀이\'하면 떠올리는 사물놀이의 대표적인 모습이기도 하다. 이 삼도농악가락은 사물놀이의 초창기에는 말 그대로 \'영남농악(풍물)\'이니 \'웃다리풍물\'이니 \'호남우도굿\'이니 하는 이름으로 따로따로 나뉘어져서 연주되었었지만 그 뒤에 이 셋을 한데 엮어지게 되는데, 한 발 늦게 삼도설장고가락이 레퍼토리로 되면서 부터라고 생각된다. 삼도설장고가락이 장고를 통해서 연주자의 기량과 음악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삼도농악가락은 꽹과리, 징, 장고, 북의 사물을 가지고 우리의 가락 속에 잠재되어 있는 음양의 원리와 자연의 이치를 수많은 세월을 통해 학습하고 다져온 깊고 넓은 호흡으로 동그랗게 떠 올려 감고 감아가며 쌓아서 혹은 오므리고 혹은 부풀리며 한데 어우러진다. 이러한 삼도농악가락의 장단 짜임새는 [점고-경술-호남우도굿(오채질굿-우질굿-좌질굿-풍류-덩덕궁)-영남농악(별달거리)-웃다리풍물(짝쇠)]의 순으로 되어있다.
위에서 얘기한 비나리는 제의성이 강하고 삼도설장고가락과 삼도농악가락은 음악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다면 판굿은 한마디로 놀이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판굿에서 사물잽이들은 머리에는 상모를 쓰고 사물을 손에 들거나 몸에 메거나 하여 발로는 땅을 딛어 박차고 머리로는 하늘을 휘젓고 손으로는 사물을 울리어 듣는 이의 몸과 마음을 뒤흔들어 이 모두를 하나로 아우른다. 그것을 위해 사물잽이들은 마치 무당이 작두를 타듯 끝없는 신명과 터질 듯한 몸짓으로 온 몸과 마음을 내 던진다. 자기가 치고 있는 가락에 얹힌 발딛음과 상모의 사위가 하나가 되어서 다른 잽이의 그것과 다시 하나가 되어야 하고 그래야만 보고 듣는 이와 더욱 크게 하나가 되어 천지인(天地人) 모두를 아우를 수 있으니 어찌 보면 사물놀이의 백미가 아닌가 생각된다.
이상의 네 가지가 이른바 사물놀이의 대표적인 고정 \'레퍼토리\'이다. 그러나 사물놀이는 여기에 머무르지 않고 앞서 말한 대로 다른 공연예술의 갈래와의 실험적, 창조적 만남이나 무속(巫俗)의 사물놀이화 등의 시도를 잠시도 멈추지 않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만 나열을 해 보면 [사물놀이를 위한 국악관현악-\'신모듬\'] [사물놀이와 피아노의 만남-\'열두거리\'] [사물놀이와 오케스트라의 만남-\'푸리\'나 \'마당\'] 등과 사물놀이 초창기부터 시도되어 온 강태환 Jazz 그룹, 흑인 둘과 백인 둘로 구성된 Jazz 그룹인 Red Sun을 비롯한 국내외의 여러 Jazz 그룹이나 Rock 그룹과의 만남, 그리고 이애주 교수의 창작춤인 \'바람맞이\' 부터 승무, 살풀이, 태평무, 진쇠춤 등에 이르는 전통무용과 심지어는 Jazz Ballet의 음악 등 사물놀이가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찾기 위해 시도한 실험적이면서도 창조적인 만남과 모색은 실로 다양하다는 표현을 넘어설 정도이다.
참고문헌
국립국악원(1992), 한국음악 제27집, 사물놀이
김헌선, 풍물 굿에서 사물놀이까지
김영옥(1996), 한국음악의 이해, 서울 : 도서출판민속원
스타프리즘(1997), 사물놀이 유래와 역사
윤기홍(1986), 한국민요론, 잡가의 성격과 민요, 판소리와의 관계 참고, 집문당
정병호(1986), 농악, 열화당
최종민(1984), 전통문화(농악의 지역별 특성)
추천자료
정신지체아와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적용 (놀이치료)
장애아동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의 의의와 유형, 정신지체아동, 지체장애아동(지체부자...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의의,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편성과 ...
영아의 인지발달 특징과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연령별 놀이를 쓰시오
검사도구와 PLS검사(취학전 아동의수용-표현 언어검사), 검사도구와 TOLD-P검사(초기언어발달...
[놀이치료][놀이][치료][레크리에이션]놀이치료의 정의, 놀이치료의 종류, 놀이치료의 중요성...
전통놀이(민속놀이)의 개념, 전통놀이(민속놀이)의 종류, 전통놀이(민속놀이)와 세시풍속, 전...
[자폐][전반적 발달장애][자폐아동]자폐(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의 특성, 반향어, 자폐(...
영아(만2세 이하)의 애착발달에 놀이가 필요한 이유.
영유아(만0~5세)의 일상생활 속 놀이에서 볼 수 있는 영유아기 수학적 지식의 사례를 3가지를...
[신지체아 언어치료][정신지체 치료][정신지체아 언어치료] 정신지체 - 정신지체 특징, 정신...
[언어발달] 영유아의 언어발달에 적합한 놀이를 적용 시 고려해야 할 교사의 역할에 대해 설...
유아기 사회발달 특성을 고려한 놀이지도 방법의 예시를 적으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