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울증은 의학적 질환
2. 우울증의 원인
3. 우울증의 증상
4. 우울증의 종류
1) 주요 우울증
2) 신경증적 우울(기분부전 장애)
3) 조울증
4) 멜랑콜리아(melancholia)
5) 가면성 우울
6) 산후우울증
7) 갱년기우울증
5. 우울증의 치료
1) 말없이 참지 않아야 한다.
2) 스트레스를 줄인다.
3) 가벼운 소설이나 잡지를 읽는다.
4) 잠이 안오면 억지로 잠을 청하지 말고 산책을 한다.
5) 오랜 기간 집에 혼자 있는 것을 피한다.
6) 즐거운 생각을 한다.
6. 우울증에 대한 부모의 역할
2. 우울증의 원인
3. 우울증의 증상
4. 우울증의 종류
1) 주요 우울증
2) 신경증적 우울(기분부전 장애)
3) 조울증
4) 멜랑콜리아(melancholia)
5) 가면성 우울
6) 산후우울증
7) 갱년기우울증
5. 우울증의 치료
1) 말없이 참지 않아야 한다.
2) 스트레스를 줄인다.
3) 가벼운 소설이나 잡지를 읽는다.
4) 잠이 안오면 억지로 잠을 청하지 말고 산책을 한다.
5) 오랜 기간 집에 혼자 있는 것을 피한다.
6) 즐거운 생각을 한다.
6. 우울증에 대한 부모의 역할
본문내용
대하지 말아야 한다. 우울한 사람에게는 친구가 필요 하지만 너무 많은 요구는 좌절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국 적절한 치료를 함으로써 대부분의 우울증환자가 좋아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시간을 갖고 격려하고 도와주면 분명히 좋아질 수 있다.
6. 우울증에 대한 부모의 역할
우울증에 걸리기 쉬운 자녀들을 위해 부모들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일까요?
우선적으로 자녀를 격려하고 인정하기 전에 부모가 우울증에 대해 기본적인 상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녀들의 우울증이 갈수록 심해지는 것은 부모가 자녀의 우울증을 초기에 발견하지 못하고 잘못 대응한다는 것입니다.
자녀가 우울증 증세를 보이는 데 부모는 아이가 게으르거나 말을 안 듣는다고 생각할 뿐 우울증이라고 판단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자녀의 우울증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기보다는 오히려 자녀의 우울증을 악화시키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부모는 이런 잘못을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우울증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먼저 가져야 할 것입니다.
두 번째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때론 부모 혼자의 힘으로는 아이들의 문제를 파악하기 힘들거나 어려울 때가 많이 있습니다.
이럴 때 심리 전문 상담가나 정신과 전문의들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우울증은 조기에 발견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 초기에 쉽게 해결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모님들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거나 아이들이 받을 충격을 생각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기에 부모는 전문가의 도움을 입어 우울증에 걸린 자녀들을 보다 잘 돕고 격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세 번째로 자녀와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깨어진 관계 속에서 부모는 어떤 역할도 할 수 없습니다.
자녀를 전문가에 데리고 가는 것조차도 쉽지 않은 일이 될 것입니다. 그런데 부모가 인생을 오래 살은 자신들이 자녀의 성공적인 미래를 위해 좋은 충고와 교훈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자녀들에게 접근한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아이들은 이해 받고 있다고 생각하기보다는 거절당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거절감은 자신을 아무 것도 아닌 존재로 생각하게 하고 죄책감과 실망감 속으로 인해 우울증에 빠지도록 할 것입니다.
그러기에 자녀의 고민을 들어주고 대화의 장을 통해 아이들에게 인정받고 격려 받고 있다는 마음이 들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부모들이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보다는 오히려 부정적인 역할로 인해 자녀들을 어렵게 한다는데 있습니다.
머리 속으로는 아이들에게 좋은 역할을 해야겠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행동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주님 안에서 영적으로 성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무엇보다도 자녀의 우울증이나 정신건강을 위해 부모가 해야할 가장 중요한 역할은 주님 안에서 성숙해 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성숙해 갈 때 아이들은 주 안에서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발견하고 우울증은커녕 기쁨을 누리며 살아가게 될 것입니다.
6. 우울증에 대한 부모의 역할
우울증에 걸리기 쉬운 자녀들을 위해 부모들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일까요?
우선적으로 자녀를 격려하고 인정하기 전에 부모가 우울증에 대해 기본적인 상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녀들의 우울증이 갈수록 심해지는 것은 부모가 자녀의 우울증을 초기에 발견하지 못하고 잘못 대응한다는 것입니다.
자녀가 우울증 증세를 보이는 데 부모는 아이가 게으르거나 말을 안 듣는다고 생각할 뿐 우울증이라고 판단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자녀의 우울증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기보다는 오히려 자녀의 우울증을 악화시키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부모는 이런 잘못을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우울증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먼저 가져야 할 것입니다.
두 번째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때론 부모 혼자의 힘으로는 아이들의 문제를 파악하기 힘들거나 어려울 때가 많이 있습니다.
이럴 때 심리 전문 상담가나 정신과 전문의들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우울증은 조기에 발견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 초기에 쉽게 해결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모님들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거나 아이들이 받을 충격을 생각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기에 부모는 전문가의 도움을 입어 우울증에 걸린 자녀들을 보다 잘 돕고 격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세 번째로 자녀와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깨어진 관계 속에서 부모는 어떤 역할도 할 수 없습니다.
자녀를 전문가에 데리고 가는 것조차도 쉽지 않은 일이 될 것입니다. 그런데 부모가 인생을 오래 살은 자신들이 자녀의 성공적인 미래를 위해 좋은 충고와 교훈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자녀들에게 접근한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아이들은 이해 받고 있다고 생각하기보다는 거절당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거절감은 자신을 아무 것도 아닌 존재로 생각하게 하고 죄책감과 실망감 속으로 인해 우울증에 빠지도록 할 것입니다.
그러기에 자녀의 고민을 들어주고 대화의 장을 통해 아이들에게 인정받고 격려 받고 있다는 마음이 들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부모들이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보다는 오히려 부정적인 역할로 인해 자녀들을 어렵게 한다는데 있습니다.
머리 속으로는 아이들에게 좋은 역할을 해야겠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행동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주님 안에서 영적으로 성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무엇보다도 자녀의 우울증이나 정신건강을 위해 부모가 해야할 가장 중요한 역할은 주님 안에서 성숙해 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성숙해 갈 때 아이들은 주 안에서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발견하고 우울증은커녕 기쁨을 누리며 살아가게 될 것입니다.
추천자료
부모역할에 대한 보고서
국내에서 실시하고 있는 가족보존과 가정기반확립을 위한 서비스 두 개를 찾으시오 - 부모 효...
방통대, 중간과제, 유아교육, 부모교육, 태내기, 유아기, 발달, 필요성, 부모역할 : 태내기 ...
[부모교육] 태내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년기의 부모역할을 언어발달 관점에서 비...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정신지체(지적장애) - 정신지체 원인, 정신지체 기...
[부모父母교육] 집단 따돌림의 심각성과 문제점 및 자녀의 집단 따돌림을 예방하기 위한 부모...
[부모교육] 쌍둥이(twins) 자녀의 특성과 쌍둥이 자녀를 위한 부모역할
[부모교육] 프로이트(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Erikson)의 사회심리이론의 발달 단계,...
[부모父母교육] 건강가족 - 변화하는 사회에서 우리가 지향해야 할 건강한 가정은 무엇이며, ...
[부모父母교육] 자녀 행동의 통제 - 효과적으로 꾸중하기와 벌주기를 통하여 자녀의 바람직하...
[부모교육] 재혼가족의 개념과 현황, 재혼가족의 특성및 재혼가족의 부모역할, 재혼가족의 ...
[부모교육] ADHD자녀의 특성과 ADHD의 원인 및 ADHD자녀의 특성 및 자녀를 위한 부모역할
[부모교육] 현대가족의 다양한 가족 형태 중 맞벌이 가족에서의 부모역할과 자녀양육태도에 ...
(부모교육 A형) 유아기 및 아동기 발달특성을 영역별로 설명하고 유아기 및 아동기 발달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