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계절적 변이에 따른 발생
2) 자외선과 발생
3) 중력과 압력에 의한 성 결정
4) 환경 호르몬에 의한 발생
5)온도에 의존성 성결정
6)장소 의존성 성 결정
7)공생에 의한 발생
<참고 문헌 >
2) 자외선과 발생
3) 중력과 압력에 의한 성 결정
4) 환경 호르몬에 의한 발생
5)온도에 의존성 성결정
6)장소 의존성 성 결정
7)공생에 의한 발생
<참고 문헌 >
본문내용
반면에 유생이 암컷의 주둥이 위에 위치하면 (주둥이는 유생을 유인하는 화학적 신호를 보낸다.) 암컷의 입속으로 들어가 자궁으로 이동하여 수컷으로 분화한다.
실험실에서 바다와 비슷한 조건으로 유생을 배양하면 암컷의 존재 유무에 따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7)공생에 의한 발생
성체 오징어는 발광 박테리아로 채워진 작은 주머니를 가진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어린 오징어는 발광 공생체를 가지고 있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키우는 발광기관도 없다. 성숙한 오징어는 외투강의 바닷물에서 발광 박테리아를 얻는다.
박테리아는 외투강에 뻗은 섬모상피에 붙는데, 상피는 V. fischeri와만 붙고 다른 박테리아는 흘러 보낸다. 그 다음에 박테리아는 상피세포의 세포자살을 유발하여 섬모가 없는 상피로 바꾸고 박테리아를 보관할 주변세포의 분화를 유도한다.
양서류와 달팽이 알의 덩어리는 딱딱한 물질로 서로 묶여 있다.
산소 공급의 제한으로 알 덩어리의 안쪽에 위치한 알은 표면 쪽의 알에 비해 매우 느리게 발생한다. 덩어리의 바깥쪽과 안쪽 사이에는 산소의 심한 기울기가 있는데, 배아는 광합성 조류를 얇은 막으로 둘러싸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 같다. 양서류와 달팽이의 알 덩어리에 부착된 조류는 빛이 있으면 광합성을 하여 산소를 생성한다.
그래서 조류의 광합성으로 알은 정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기생성 말벌(Asobara tabida)과 멸구(Euscelis incisus)에서처럼 이들 곤충의 공생 박테리아는 알의 세포질에서 발견되며 미토콘드리아처럼 다음 세대로 전달된다.
멸구의 공생 박테리아는 멸구의 세포질에서만 증식하도록 매우 특수화되어 있으며, 숙주는 박테리아에 의존적이 되어 이들이 없으면 배아형성을 마칠 수 없다.
즉, 이 박테리아는 배아 창자의 형성에 필수적인 것 같다. 수술이나 유충이나 성체에 항체를 투여하여 생성된 박테리아 공생체가 없는 알은 복부가 없는 배아로 발생한다.
<참고 문헌 >
- 길버트 발생 생물학 8판 p42~44, p494~515, scott F. Gilbert 라이프 사이언스
- 발생 생물학 p569~575, 김윤희, 정문각
- 설랑 발생 생물학, p397~399, 조완규, 아카데미 서적
- 논문명: 수온 및 Estradiol - 17β가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의
성결정에 미치는 효과, P151~152, 김동수외 2명, 한국어류학회
실험실에서 바다와 비슷한 조건으로 유생을 배양하면 암컷의 존재 유무에 따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7)공생에 의한 발생
성체 오징어는 발광 박테리아로 채워진 작은 주머니를 가진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어린 오징어는 발광 공생체를 가지고 있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키우는 발광기관도 없다. 성숙한 오징어는 외투강의 바닷물에서 발광 박테리아를 얻는다.
박테리아는 외투강에 뻗은 섬모상피에 붙는데, 상피는 V. fischeri와만 붙고 다른 박테리아는 흘러 보낸다. 그 다음에 박테리아는 상피세포의 세포자살을 유발하여 섬모가 없는 상피로 바꾸고 박테리아를 보관할 주변세포의 분화를 유도한다.
양서류와 달팽이 알의 덩어리는 딱딱한 물질로 서로 묶여 있다.
산소 공급의 제한으로 알 덩어리의 안쪽에 위치한 알은 표면 쪽의 알에 비해 매우 느리게 발생한다. 덩어리의 바깥쪽과 안쪽 사이에는 산소의 심한 기울기가 있는데, 배아는 광합성 조류를 얇은 막으로 둘러싸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 같다. 양서류와 달팽이의 알 덩어리에 부착된 조류는 빛이 있으면 광합성을 하여 산소를 생성한다.
그래서 조류의 광합성으로 알은 정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기생성 말벌(Asobara tabida)과 멸구(Euscelis incisus)에서처럼 이들 곤충의 공생 박테리아는 알의 세포질에서 발견되며 미토콘드리아처럼 다음 세대로 전달된다.
멸구의 공생 박테리아는 멸구의 세포질에서만 증식하도록 매우 특수화되어 있으며, 숙주는 박테리아에 의존적이 되어 이들이 없으면 배아형성을 마칠 수 없다.
즉, 이 박테리아는 배아 창자의 형성에 필수적인 것 같다. 수술이나 유충이나 성체에 항체를 투여하여 생성된 박테리아 공생체가 없는 알은 복부가 없는 배아로 발생한다.
<참고 문헌 >
- 길버트 발생 생물학 8판 p42~44, p494~515, scott F. Gilbert 라이프 사이언스
- 발생 생물학 p569~575, 김윤희, 정문각
- 설랑 발생 생물학, p397~399, 조완규, 아카데미 서적
- 논문명: 수온 및 Estradiol - 17β가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의
성결정에 미치는 효과, P151~152, 김동수외 2명, 한국어류학회
추천자료
[2012-보건교육D]초/중/고등학생의 다이어트에 대한 보건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
2012년 2학기 인간과심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인간행동의 유전적영향, 환경적영향)
허츠버그의 이요인이론에서 동기요인과 위생요인비교
인간발달 과정은 생물학적 요소와 환경적요소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중심적으로 설명.
[아동발달] 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한 환경적인 측면과 학습적인 측면, 성인(부모나 교사)의 노...
고령화 사회의 정의/고령화 사회의 원인/고령화 사회의 특징/환경적, 사회적 변화/우리나라 ...
님비갈등 사례분석을 통한 지방정부간 갈등관리전략 - 천안시 쓰레기 소각장 설치갈등 사례 {...
★우수레포트★[환경環境정책 사례] 난개발 현황, 난개발 문제점, 환경오염 실태, 용인시 환경...
위험요인에 따른 글로벌 SCM 위험관리전략 - Global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 GSCM 위...
심리학개론_지능은 유전적 요인과 성장환경의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
교육심리학-지능의 다양한 이론과 창의성 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아울러 창의성과 지능을 환...
앤더슨의 의료이용예측모형을 적용한 의료이용행위를 분석. 대상자 2인의 인구사회적, 생활습...
청년 및 중년남성 근로자 중 1년 이상 금연 유지 성공군 및 실패군 간 개인적.사회적.환경적 ...
[건강의 영향요인]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신체적 요인 행동적 요인 심리적 요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