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Ⅰ장 서 론
ⅰ. 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의 배경 - 1 -
ⅱ. 메콩강개발의 태동 - 2 -
제 Ⅱ장 본론
ⅰ. 메콩강유역 여건 및 자금조달현황 - 3-
ⅱ. 주요계획 - 4 -
ⅲ. 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에 대한 주요국의 참여현황 - 4~5 -
ⅳ. 환경문제 - 6 -
ⅴ. 하수관리 프로젝트로 도시 인프라 구축 - 6~8 -
제 Ⅲ장 결론
ⅰ. 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 배우는 교훈 -8~9-
ⅰ. 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의 배경 - 1 -
ⅱ. 메콩강개발의 태동 - 2 -
제 Ⅱ장 본론
ⅰ. 메콩강유역 여건 및 자금조달현황 - 3-
ⅱ. 주요계획 - 4 -
ⅲ. 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에 대한 주요국의 참여현황 - 4~5 -
ⅳ. 환경문제 - 6 -
ⅴ. 하수관리 프로젝트로 도시 인프라 구축 - 6~8 -
제 Ⅲ장 결론
ⅰ. 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 배우는 교훈 -8~9-
본문내용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시엠립 도시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AFD-Project)
시엠립의 도시인프라 구축 및 지자체 관리를 위한 AFD 파이낸싱 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관광객 증가와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는 시엠립과 인근의 환경적인 악영향을 받고 있는 지역들에 대해 지속적인 개발이 가능하도록 돕는 것이다.
또한 배수체계 및 도로의 정비를 통해 시엠립의 남동쪽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홍수 범람을 예방하는 것도 목적 중 하나다. 시엠립 시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관리 능력 강화에도 지원하고 있다. 한편, 앙코르 문화유산의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공공기관인 APSARA를 지원 역시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이뤄지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크게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구분되는 성격을 갖고 있다. 좁은 의미의 프로젝트 목적으로는 시엠림 전 지역에 대해 배수 및 폐수 관련 마스터플랜에 관한 연구 및 초안을 작성하는 것이다. 또한 25km 수준의 개수로 및 운하 건설, 관련도로의 복원 및 정비 등을 통해서 시엠립 동부의 확장된 도심지역에서의 배수시스템 관련 우선순위가 높은 사업에 대해 설계 및 조언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위에서 언급한 사항들에 대해 시행기관(시엠립 시정부)이 활동하는 것을 지원하고 필요한 설비들을 시 정부에 다각적으로 제공한다. 나아가 시엠립 시의 계획 및 관리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직접적인 지원활동을 펼치는 것이다.
넓은 의미의 프로젝트 목적은 시엠립 하천제방을 조경작업 외에도 호텔, 문화지구 조성, 관광편의시설 마련 등 내부적인 문제와 관련하여 ABSARA를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될 수 있다.
제 Ⅲ장 결론
ⅰ.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 배우는 교훈
첫째, 매우 심각한 생태 위협 상황으로 간주하는 댐이 건설되었거나 계획되고 있다. 중국 구간의 기존 댐 건설과 6, 7개의 댐 건설 계획 논의와 더불어 최근 라오스 구간에서도 말레이시아에 의한 댐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른 메콩강 이해당사국들은 댐 건설로 인한 하류 생태계에 미칠 영향 평가가 라오스 정부가 위촉한 호주 회사가 아닌, 그들과 협의해서 선정되는 전문업체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거세게 주장하고 있다. 제안된 댐 건설은 어류의 이동에 영향을 주어 강 생태계를 크게 변화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물고기의 서식처를 파괴하는 발파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메콩강에서 배로 화물을 운송할 목적의 발파작업이 중국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하상의 암석을 발파하면 물고기가 기거하고 알을 까는 장소가 없어질 것으로 보고 관련 국가들은 예의 주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셋째, 중·하류 지역의 수질과 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지 이용 행위가 상류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다. 토양 침식으로 하류 지역의 섬과 바다 인근 지역에서의 퇴적현상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중국을 포함한 상류 지역의 일부 국가는 메콩강위원회(MRC)에 참여하지 않아 한 국가만 반대하더라도 사업을 진행할 수 없는 투표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으므로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넷째, 지속가능하지 않은 관리로 메콩강과 그 배후습지에서 살고 있는 야생 동식물이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기에 범람되어 6개월간 습지로 기능하는 삼림은 매년 많은 면적이 농지로 개간되고 있다. 또한 메콩강 본류의 깊은 물속에서는 강 돌고래가 관찰되지만, 메콩강의 지류와 연결되는 앙코르와트 사원 옆 똔레삽에는 지금 자취를 감추었다. 고래 기름을 엔진 오일로 쓰기 위해 남획한 결과라고 한다.
위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 메콩강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증진을 위해 유엔개발계획(UNDP)·지구환경금융(GEP) 메콩강 습지사업단이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그리고 베트남의 참여 하에 활동하고 있다. 이 활동에는 불법어획의 감시, 메콩강에 생계를 의지하는 주민들의 생활 수준 향상, 환경생태 감시 그리고 관리계획 수립 활동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라오스와 캄보디아가 접경 람사 사이트를 지정하기로 합의하고 2008년 한국에서 개최되는 람사 총회에 제출할 제안서를 작성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남북을 흐르는 5개 강의 관리 현황은 어떠한가? 어떤 희귀 동식물들이 서식하는가에 관한 기초조사조차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메콩강에서의 교훈을 통해 남북의 참여 하에 선정되는 강과 그 배후습지 장기관리계획을 유역 차원에서 수립하고, 접경 람사 사이트로 지정받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장기관리계획은 생물다양성 관리계획과 생태관광 계획이 포함되는 포괄적 계획이어야 한다. 남북을 흐르는 강 습지는 비록 정치적으로 나누어지긴 했지만 서로 연결된 하나의 생태계임을 잊지 말아야겠다.
목 차
제 Ⅰ장 서 론
ⅰ. 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의 배경 - 1 -
ⅱ. 메콩강개발의 태동 - 2 -
제 Ⅱ장 본론
ⅰ. 메콩강유역 여건 및 자금조달현황 - 3-
ⅱ. 주요계획 - 4 -
ⅲ. 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에 대한 주요국의 참여현황 - 4~5 -
ⅳ. 환경문제 - 6 -
ⅴ. 하수관리 프로젝트로 도시 인프라 구축 - 6~8 -
제 Ⅲ장 결론
ⅰ. 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 배우는 교훈 -8~9-
참고문헌
메콩강 가난하나 위대한 땅 (전운성 교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네이버 백과사전
[로터리/3월 30일] 메콩강과 틈새시장 서울경제 칼럼 | 2009.03.29
포스코건설, 2천100억 베트남 도로공사 수주 경북일보 경제 | 2009.03.25
네이버지식인.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112&eid=r77U9Lf/hfT+4/sP/VdmTk0N2kKZNdFv&qb=66mU7L2p6rCV7Jyg7Jet6rCc67Cc&enc=utf8&pid=fOgmswoi5TNssazqRlwsss--302464&sid=SdThA-LS1EkAAA0GMsE
시엠립 도시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AFD-Project)
시엠립의 도시인프라 구축 및 지자체 관리를 위한 AFD 파이낸싱 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관광객 증가와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는 시엠립과 인근의 환경적인 악영향을 받고 있는 지역들에 대해 지속적인 개발이 가능하도록 돕는 것이다.
또한 배수체계 및 도로의 정비를 통해 시엠립의 남동쪽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홍수 범람을 예방하는 것도 목적 중 하나다. 시엠립 시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관리 능력 강화에도 지원하고 있다. 한편, 앙코르 문화유산의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공공기관인 APSARA를 지원 역시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이뤄지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크게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구분되는 성격을 갖고 있다. 좁은 의미의 프로젝트 목적으로는 시엠림 전 지역에 대해 배수 및 폐수 관련 마스터플랜에 관한 연구 및 초안을 작성하는 것이다. 또한 25km 수준의 개수로 및 운하 건설, 관련도로의 복원 및 정비 등을 통해서 시엠립 동부의 확장된 도심지역에서의 배수시스템 관련 우선순위가 높은 사업에 대해 설계 및 조언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위에서 언급한 사항들에 대해 시행기관(시엠립 시정부)이 활동하는 것을 지원하고 필요한 설비들을 시 정부에 다각적으로 제공한다. 나아가 시엠립 시의 계획 및 관리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직접적인 지원활동을 펼치는 것이다.
넓은 의미의 프로젝트 목적은 시엠립 하천제방을 조경작업 외에도 호텔, 문화지구 조성, 관광편의시설 마련 등 내부적인 문제와 관련하여 ABSARA를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될 수 있다.
제 Ⅲ장 결론
ⅰ.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 배우는 교훈
첫째, 매우 심각한 생태 위협 상황으로 간주하는 댐이 건설되었거나 계획되고 있다. 중국 구간의 기존 댐 건설과 6, 7개의 댐 건설 계획 논의와 더불어 최근 라오스 구간에서도 말레이시아에 의한 댐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른 메콩강 이해당사국들은 댐 건설로 인한 하류 생태계에 미칠 영향 평가가 라오스 정부가 위촉한 호주 회사가 아닌, 그들과 협의해서 선정되는 전문업체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거세게 주장하고 있다. 제안된 댐 건설은 어류의 이동에 영향을 주어 강 생태계를 크게 변화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물고기의 서식처를 파괴하는 발파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메콩강에서 배로 화물을 운송할 목적의 발파작업이 중국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하상의 암석을 발파하면 물고기가 기거하고 알을 까는 장소가 없어질 것으로 보고 관련 국가들은 예의 주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셋째, 중·하류 지역의 수질과 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지 이용 행위가 상류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다. 토양 침식으로 하류 지역의 섬과 바다 인근 지역에서의 퇴적현상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중국을 포함한 상류 지역의 일부 국가는 메콩강위원회(MRC)에 참여하지 않아 한 국가만 반대하더라도 사업을 진행할 수 없는 투표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으므로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넷째, 지속가능하지 않은 관리로 메콩강과 그 배후습지에서 살고 있는 야생 동식물이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기에 범람되어 6개월간 습지로 기능하는 삼림은 매년 많은 면적이 농지로 개간되고 있다. 또한 메콩강 본류의 깊은 물속에서는 강 돌고래가 관찰되지만, 메콩강의 지류와 연결되는 앙코르와트 사원 옆 똔레삽에는 지금 자취를 감추었다. 고래 기름을 엔진 오일로 쓰기 위해 남획한 결과라고 한다.
위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 메콩강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증진을 위해 유엔개발계획(UNDP)·지구환경금융(GEP) 메콩강 습지사업단이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그리고 베트남의 참여 하에 활동하고 있다. 이 활동에는 불법어획의 감시, 메콩강에 생계를 의지하는 주민들의 생활 수준 향상, 환경생태 감시 그리고 관리계획 수립 활동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라오스와 캄보디아가 접경 람사 사이트를 지정하기로 합의하고 2008년 한국에서 개최되는 람사 총회에 제출할 제안서를 작성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남북을 흐르는 5개 강의 관리 현황은 어떠한가? 어떤 희귀 동식물들이 서식하는가에 관한 기초조사조차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메콩강에서의 교훈을 통해 남북의 참여 하에 선정되는 강과 그 배후습지 장기관리계획을 유역 차원에서 수립하고, 접경 람사 사이트로 지정받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장기관리계획은 생물다양성 관리계획과 생태관광 계획이 포함되는 포괄적 계획이어야 한다. 남북을 흐르는 강 습지는 비록 정치적으로 나누어지긴 했지만 서로 연결된 하나의 생태계임을 잊지 말아야겠다.
목 차
제 Ⅰ장 서 론
ⅰ. 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의 배경 - 1 -
ⅱ. 메콩강개발의 태동 - 2 -
제 Ⅱ장 본론
ⅰ. 메콩강유역 여건 및 자금조달현황 - 3-
ⅱ. 주요계획 - 4 -
ⅲ. 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에 대한 주요국의 참여현황 - 4~5 -
ⅳ. 환경문제 - 6 -
ⅴ. 하수관리 프로젝트로 도시 인프라 구축 - 6~8 -
제 Ⅲ장 결론
ⅰ. 메콩강유역개발(Greater Mekong Subregion) 배우는 교훈 -8~9-
참고문헌
메콩강 가난하나 위대한 땅 (전운성 교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네이버 백과사전
[로터리/3월 30일] 메콩강과 틈새시장 서울경제 칼럼 | 2009.03.29
포스코건설, 2천100억 베트남 도로공사 수주 경북일보 경제 | 2009.03.25
네이버지식인.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112&eid=r77U9Lf/hfT+4/sP/VdmTk0N2kKZNdFv&qb=66mU7L2p6rCV7Jyg7Jet6rCc67Cc&enc=utf8&pid=fOgmswoi5TNssazqRlwsss--302464&sid=SdThA-LS1EkAAA0GM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