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본론
1. 정의
2. 원인 및 유발요인
3. 병태생리
4. 증상 증후
5. 간호
6. 치료
7. 간호과정
8. 약물요법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본론
1. 정의
2. 원인 및 유발요인
3. 병태생리
4. 증상 증후
5. 간호
6. 치료
7. 간호과정
8. 약물요법
본문내용
9 정상
9.0 ▲
15.9 ▼
90
7.406 정상
36.6 정상
105.9 ▼
154 ▲
4.0mmol/L 정상
115 ▲
9.1 ▲
15.7 ▼
95
7.35-7.45
35-45
80-90
35-145
3.5-5.5
98-110
0~2
21~28
95~100
- CBC
2008/5/8
2008/5/9
정상범위
WBCS
RBCS
Hgb
HCT
MCV
MCH
MCHC
RDW
Platelet count
7.4
6.0
5~10
3.26 ▼
3.39 ▼
4.7~6.1(남성)
10.4 ▼
10.9 ▼
14~18(남성
30.7 ▼
31.6 ▼
42~58(남성)
94.0
93.4
80~95
32.0
32.2 ▲
27~32
34.0
34.5
32~36
14.1
14.2
11~14.5
135 ▼
141 ▼
150~4000
◆ 관찰된 환자상태
- foley keep 하고 계심.
fowler's position 유지.
5/2일부터 ABR상태로 양 팔목에 억제대를 적용하고 있으며 난간 올려져 있는 상태임
5/7일 dyspnea reaggravation되어 SaO2=75%까지 떨어지고 accessory muscle사용
하는 등 mentality drowsy되었음
deep drowsy & sedation 상태로 보호자분이 position change를 해 주는 것 외에
활동이 없는 상태
semi coma로 거의 수면상태지만 intubation tube 내에 다량의 분비물이 쌓여 호흡이
어려워지는 것이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함
자가 간호가 전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이고 스스로 움직임이 불가능함.
날짜
2008/5/1
의미 있는 자료
(주,객관적 자료)
S : 답답함의 반응 보이시며, 호소 (얼굴을 찡그림)
O : 비정상적 혈중 산소포화도(87%).
비정상적 혈액 산소농도 (23.3mmHg)
빈호흡, 심박동수의 증가. 산소 2ℓ/min 유지하고 계심.
간호진단
#1. 환기관류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목표
① 혈액 산소농도와 혈중 산소포화도가 정상 수준이며,
O2 공급 없이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다.
② 호흡 양상이 기준선으로 돌아온다.
계획 및 수행
① 기도를 유지하고, 효과적인 호흡과 기도의 확장을 증진시킨다.
② 환자를 혼자 두지 않고 옆에 있어 주면서 적극적이고 조용하게
환자의 긴장과 불안, 공포 등을 완화시켜 주고 믿음직스러운
태도를 보여준다.
③ 호흡하기에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Fowler's position)
④ 1시간마다 v/s체크하고 SpO2를 주의 깊게 Monitor한다.
(대상자 oxymetry가 빠졌는지 확인하고 재 정렬 한다.)
평가
산소 2ℓ/min를 계속 유지 하면서
SPO2는 97~100% 정상으로 checked.
날짜
2008/5/6
의미 있는 자료
(주,객관적 자료)
S : 기침, 찡그리시며 답답함의 모습 보이심.
O : 기도 내 분비물 배출이 어려움, 호흡곤란,
semi coma로 자가 배출 불가능.
간호진단
#2.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목표
① 객담이 용이하게 배출되어 호흡이 편해짐.
계획 및 수행
① 흉벽을 두드려서 분비물의 배출을 쉽도록 도와준다.
→V/S check 후에 타진법을 이용하여 등을 두드려 준다.
② oral, nasal suction, Endotracheal suction을 해줌.
③ 호흡기 분비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자주 체위를 변경하도록 한다.
④ 기침을 하게하여 객담을 배출하도록 한다.
평가
suction시 객담배출이 용이함을 볼 수 있었다.
◆ 참고문헌
- 성인 내 외과 간호학 Ⅲ / 형설출판사 / 최정신 외 공저 / pp.176~184
- Essentials of Clinical Nursing / 한우리 / 전국대학병원, 간호대학편 / pp.559~566
-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 유해영 / pp.397~405
- 성인간호학 / 정담미디어 / 학술편찬국 / pp.132~138
- 성인간호학 / 수문사 / 서문자 외 공저
- 병리학 / 현문사 / 김양호 외 공저 / pp.292~297
- 호흡기학 / 서울대학교출판부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편자 / pp.211~219
- 일반병리학 / 고문사 / 김상호 외 공저
-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 현문사 / 이은옥 외 공저
-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 현문사 / 김금자 외 공저 / pp.97~98
- 간호과정론 / 서울대학교출판부 / 김매자 외 공저 / pp.216~259
9.0 ▲
15.9 ▼
90
7.406 정상
36.6 정상
105.9 ▼
154 ▲
4.0mmol/L 정상
115 ▲
9.1 ▲
15.7 ▼
95
7.35-7.45
35-45
80-90
35-145
3.5-5.5
98-110
0~2
21~28
95~100
- CBC
2008/5/8
2008/5/9
정상범위
WBCS
RBCS
Hgb
HCT
MCV
MCH
MCHC
RDW
Platelet count
7.4
6.0
5~10
3.26 ▼
3.39 ▼
4.7~6.1(남성)
10.4 ▼
10.9 ▼
14~18(남성
30.7 ▼
31.6 ▼
42~58(남성)
94.0
93.4
80~95
32.0
32.2 ▲
27~32
34.0
34.5
32~36
14.1
14.2
11~14.5
135 ▼
141 ▼
150~4000
◆ 관찰된 환자상태
- foley keep 하고 계심.
fowler's position 유지.
5/2일부터 ABR상태로 양 팔목에 억제대를 적용하고 있으며 난간 올려져 있는 상태임
5/7일 dyspnea reaggravation되어 SaO2=75%까지 떨어지고 accessory muscle사용
하는 등 mentality drowsy되었음
deep drowsy & sedation 상태로 보호자분이 position change를 해 주는 것 외에
활동이 없는 상태
semi coma로 거의 수면상태지만 intubation tube 내에 다량의 분비물이 쌓여 호흡이
어려워지는 것이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함
자가 간호가 전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이고 스스로 움직임이 불가능함.
날짜
2008/5/1
의미 있는 자료
(주,객관적 자료)
S : 답답함의 반응 보이시며, 호소 (얼굴을 찡그림)
O : 비정상적 혈중 산소포화도(87%).
비정상적 혈액 산소농도 (23.3mmHg)
빈호흡, 심박동수의 증가. 산소 2ℓ/min 유지하고 계심.
간호진단
#1. 환기관류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목표
① 혈액 산소농도와 혈중 산소포화도가 정상 수준이며,
O2 공급 없이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다.
② 호흡 양상이 기준선으로 돌아온다.
계획 및 수행
① 기도를 유지하고, 효과적인 호흡과 기도의 확장을 증진시킨다.
② 환자를 혼자 두지 않고 옆에 있어 주면서 적극적이고 조용하게
환자의 긴장과 불안, 공포 등을 완화시켜 주고 믿음직스러운
태도를 보여준다.
③ 호흡하기에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Fowler's position)
④ 1시간마다 v/s체크하고 SpO2를 주의 깊게 Monitor한다.
(대상자 oxymetry가 빠졌는지 확인하고 재 정렬 한다.)
평가
산소 2ℓ/min를 계속 유지 하면서
SPO2는 97~100% 정상으로 checked.
날짜
2008/5/6
의미 있는 자료
(주,객관적 자료)
S : 기침, 찡그리시며 답답함의 모습 보이심.
O : 기도 내 분비물 배출이 어려움, 호흡곤란,
semi coma로 자가 배출 불가능.
간호진단
#2.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목표
① 객담이 용이하게 배출되어 호흡이 편해짐.
계획 및 수행
① 흉벽을 두드려서 분비물의 배출을 쉽도록 도와준다.
→V/S check 후에 타진법을 이용하여 등을 두드려 준다.
② oral, nasal suction, Endotracheal suction을 해줌.
③ 호흡기 분비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자주 체위를 변경하도록 한다.
④ 기침을 하게하여 객담을 배출하도록 한다.
평가
suction시 객담배출이 용이함을 볼 수 있었다.
◆ 참고문헌
- 성인 내 외과 간호학 Ⅲ / 형설출판사 / 최정신 외 공저 / pp.176~184
- Essentials of Clinical Nursing / 한우리 / 전국대학병원, 간호대학편 / pp.559~566
-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 유해영 / pp.397~405
- 성인간호학 / 정담미디어 / 학술편찬국 / pp.132~138
- 성인간호학 / 수문사 / 서문자 외 공저
- 병리학 / 현문사 / 김양호 외 공저 / pp.292~297
- 호흡기학 / 서울대학교출판부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편자 / pp.211~219
- 일반병리학 / 고문사 / 김상호 외 공저
-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 현문사 / 이은옥 외 공저
-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 현문사 / 김금자 외 공저 / pp.97~98
- 간호과정론 / 서울대학교출판부 / 김매자 외 공저 / pp.216~259
추천자료
[간호학] 당뇨 환자 케이스
가와사키 아동 질환(Kawaski Disease) 케이스
(성인) 응급실 데일리 케이스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케이스(Case Study)
길랑-바레 증후군 (Guillain-Barre)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뇌출혈 ICH(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MI(Acute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 케이스 case study
[성인간호학] ICU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케이스 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T-SAH C...
복막염, penperitonitis, 복막염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복막염 수술 후 관리,...
A+++상악골 골절(위턱뼈 골절) 케이스(연구의 필요성부터 ~ 문헌고찰,간호과정, 간호사정, 간...
폐암(Lung cancer) 케이스 간호과정,간호사정,간호진단 포함 A+++++
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케이스
내과중환자실) Pneumonia case study 폐렴 케이스 스터디
강력추천) Brain Tumor 뇌종양 케이스 스터디 A+ CASE, STUDY, 간호과정, 사례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