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보행이란?
II. 정상보행
III. 보행장애
IV. 비정상 보행
V. 에너지 소비
II. 정상보행
III. 보행장애
IV. 비정상 보행
V. 에너지 소비
본문내용
다 약간위로
③ 양측성일 경우 체간이 언제나 뒤쪽으로 기울어짐
2) 중둔근 보행 (gluteus medius gait)
① 환측하지 heel strike - 건측 pelvis 하강 ,환측 hip jt 측방 돌출
② 보상 보행 - 환측 hip jt 의 측방 돌출 대신 약화된 하지의 hip jt 위에서 몸을 측면 으로 기울임
③ 양측성 - waddling gait
④ 진행성 극 이양증(progressive muscular dystropy)
3) 장요근 (iliopsoas) 약화
① hip flexion 약화
② toe off 시 체간을 후방
4) quadriceps muscle 의 약화
① muscle dysatrophy ,poliomyelitis에서 발생
② knee flexion 방지 - 대퇴 전면을 손으로 누름 - back knee 발생
③ 하퇴 전체를 외회전 - genu valgus
④ hand - knee gait
5) hamstring 약화시
보행주기에 걸쳐 knee extension - knee jt 강직 보행
6) tibialis ant. 약화시
① deep peroneal nerve palsy - foot drop
② 유각기시 - equinus gait
③ toe off 시 hip , knee 의 과도 굴곡 - steppage gait
7) calf muscle 의 약화시
① push off 약화 - calcaneous gait
② peroneus longus . brevis 비대 - eversion 경향
③ foot arch 감소 - foot flat
8) peroneus muscle 약화시
① swing phase 시 inversion
② ankle jt 의 안정성 저하
4. C.N.S 손상
신경계 질환의 경우 보행 속도의 저하는 하지의 근력 저하나 기립 자세의 정적 및 동 적 균형 저하와 상관이 높고 최대 보행 속도의 저하는 보행률과 중복보의 거리에
기인하고 있다.
1) hemiplegia (spastic gait)
① 환측 상완의 swing 상실
② 환측 어깨 하강. elbow flexion - balance 문제 유발
③ knee extension - 유각기시 flexion limit
④ ankle dorsiflexion 상실 - 유각기시 정확한 지면 이동이 힘들다
⑤ circumduction gait - hip abduction. 골반거상. 체간의 측방 굴곡 - knee flexion, ankle 의 dorsiflexion을 대상해 준다.
2) parkinsonism (parkisonian gait)
① 전방 굴곡 자세를 취하고 발바닥을 땅에 대고 문지르는 듯한 보행 형태
② reciprocal coordination 소실
③ 지속적인 tremor 발생
④ base of support 가 넓어진다.
⑤ freezing phenomenon 발생
⑥ paradoxial kinesis (모순 운동)
⑦ festinating gait (가속 보행)
3) cerebral palsy
① ataxic gait
ⓐ 술에 취한 사람의 모양 (drunken gait)
ⓑ base of support 가 넓다.
ⓒ knee jt motion 이 약화
② hemiplegia
③ scissors gait
ⓐ hip adductor muscle spasticity
ⓑ 유각기시 supporting leg 앞에 발이 놓인다.
5. 추체외로계의 질환자 보행 패턴
불수의 운동이나 비정상적 자세는 보행시에 더욱 증가되는 경우가 많아서 보행 장애 의 원인이 된다.
1) huntington 씨 병
안면 ,경부 ,손의 불수의적 운동이 점차 진행 체간이나 근위부 관절에도 불규칙적
운동 증가. 보행이 어렵게 되고 쉽게 넘어지는 현상 발생
2) 특발성 dystonia
보행시 발의 내반 첨족이나 골반의 비틀림으로 인해 쩔뚝거림과 같은 초기증상. 진행 후 고관절은 굴곡 , 하지는 신전 체간은 전방 또는 후방 굴곡 상태로 보행. 이럴 경우 척추에 측만증 동반
6. 전두엽 장애의 비정상적 보행
체간을 전방 굴곡한 자세로 체중 지지.parkinson 씨 증후군과 비슷. 원인은 수두증, alzheimer 병, 뇌혈관 질환 장애
7. senile gait(노인에게서 나타남)
보행의 속도 느리고 균형 불안전 (parkinson 과 비슷)
8. 히스테리성 보행 - 마비성 보행과 비슷
V. 에너지 소비
1. 보행시 에너지 소비
1) 기초대사량 - 안정 상태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량
2) 운동대사량 -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
3) 보행시 에너지 소비량 (kcal/m)
① 의류를 포함한 신체의 전 체중
② 보행의 속도 및 지면 상태
③ 경사의 유,무 등에 따라 변화
④ 의족보행은 손상관절이나 근육이 많을수록 , stump 가 짧을수록 에너지 소비 증가
4) ① 보행(일)=힘 *거리
② 일률=힘*거리/시간
5) PCI=(보행시 심장 박동수-안정시 심장 박동수)/보행 속도
원하는 보행 속도 하에서도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한 보행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
2. 정상 보행
1) 보행에서 에너지 소비가 최소가 되는 속도는 74m/min,78.8m/min이다.
2) 부드러운 흙이 아스팔트 보다는 에너지 소비가 30~40%증가 , 3inch 높이의 구두를 신었을때는 에너지 소비가 10~15%증가 , 1/10경사면을 내려올때는 평지보다 에너지
소비가 25%감소 , 급격한 내리막길은 평지보다 에너지 소비 증가 , 계단을 오를 때 6~12
kcal/min , 내려 올때는 1/3 정도 소모
3. 이상 보행
체간 및 하지의 관절 고정이나 변형성 구축은 보행 장애의 원인이 되어서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1) symes amputation
보행 속도는 정상 보다 34%감소 , 에너지 소비 31%증가
2) B/K amputation
보행 속도는 14~41% 감소 , 에너지 소비 10~33%증가
3) bilateral amputation
보행 속도는 21%감소 , 에너지 소비 41%증가
4) 에너지 소비의 원인
① 보행 속도
② 무거운 의족
③ 신체 중심점이 원위부 위치
④ 의족과 신체의 배열 저하
③ 양측성일 경우 체간이 언제나 뒤쪽으로 기울어짐
2) 중둔근 보행 (gluteus medius gait)
① 환측하지 heel strike - 건측 pelvis 하강 ,환측 hip jt 측방 돌출
② 보상 보행 - 환측 hip jt 의 측방 돌출 대신 약화된 하지의 hip jt 위에서 몸을 측면 으로 기울임
③ 양측성 - waddling gait
④ 진행성 극 이양증(progressive muscular dystropy)
3) 장요근 (iliopsoas) 약화
① hip flexion 약화
② toe off 시 체간을 후방
4) quadriceps muscle 의 약화
① muscle dysatrophy ,poliomyelitis에서 발생
② knee flexion 방지 - 대퇴 전면을 손으로 누름 - back knee 발생
③ 하퇴 전체를 외회전 - genu valgus
④ hand - knee gait
5) hamstring 약화시
보행주기에 걸쳐 knee extension - knee jt 강직 보행
6) tibialis ant. 약화시
① deep peroneal nerve palsy - foot drop
② 유각기시 - equinus gait
③ toe off 시 hip , knee 의 과도 굴곡 - steppage gait
7) calf muscle 의 약화시
① push off 약화 - calcaneous gait
② peroneus longus . brevis 비대 - eversion 경향
③ foot arch 감소 - foot flat
8) peroneus muscle 약화시
① swing phase 시 inversion
② ankle jt 의 안정성 저하
4. C.N.S 손상
신경계 질환의 경우 보행 속도의 저하는 하지의 근력 저하나 기립 자세의 정적 및 동 적 균형 저하와 상관이 높고 최대 보행 속도의 저하는 보행률과 중복보의 거리에
기인하고 있다.
1) hemiplegia (spastic gait)
① 환측 상완의 swing 상실
② 환측 어깨 하강. elbow flexion - balance 문제 유발
③ knee extension - 유각기시 flexion limit
④ ankle dorsiflexion 상실 - 유각기시 정확한 지면 이동이 힘들다
⑤ circumduction gait - hip abduction. 골반거상. 체간의 측방 굴곡 - knee flexion, ankle 의 dorsiflexion을 대상해 준다.
2) parkinsonism (parkisonian gait)
① 전방 굴곡 자세를 취하고 발바닥을 땅에 대고 문지르는 듯한 보행 형태
② reciprocal coordination 소실
③ 지속적인 tremor 발생
④ base of support 가 넓어진다.
⑤ freezing phenomenon 발생
⑥ paradoxial kinesis (모순 운동)
⑦ festinating gait (가속 보행)
3) cerebral palsy
① ataxic gait
ⓐ 술에 취한 사람의 모양 (drunken gait)
ⓑ base of support 가 넓다.
ⓒ knee jt motion 이 약화
② hemiplegia
③ scissors gait
ⓐ hip adductor muscle spasticity
ⓑ 유각기시 supporting leg 앞에 발이 놓인다.
5. 추체외로계의 질환자 보행 패턴
불수의 운동이나 비정상적 자세는 보행시에 더욱 증가되는 경우가 많아서 보행 장애 의 원인이 된다.
1) huntington 씨 병
안면 ,경부 ,손의 불수의적 운동이 점차 진행 체간이나 근위부 관절에도 불규칙적
운동 증가. 보행이 어렵게 되고 쉽게 넘어지는 현상 발생
2) 특발성 dystonia
보행시 발의 내반 첨족이나 골반의 비틀림으로 인해 쩔뚝거림과 같은 초기증상. 진행 후 고관절은 굴곡 , 하지는 신전 체간은 전방 또는 후방 굴곡 상태로 보행. 이럴 경우 척추에 측만증 동반
6. 전두엽 장애의 비정상적 보행
체간을 전방 굴곡한 자세로 체중 지지.parkinson 씨 증후군과 비슷. 원인은 수두증, alzheimer 병, 뇌혈관 질환 장애
7. senile gait(노인에게서 나타남)
보행의 속도 느리고 균형 불안전 (parkinson 과 비슷)
8. 히스테리성 보행 - 마비성 보행과 비슷
V. 에너지 소비
1. 보행시 에너지 소비
1) 기초대사량 - 안정 상태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량
2) 운동대사량 -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
3) 보행시 에너지 소비량 (kcal/m)
① 의류를 포함한 신체의 전 체중
② 보행의 속도 및 지면 상태
③ 경사의 유,무 등에 따라 변화
④ 의족보행은 손상관절이나 근육이 많을수록 , stump 가 짧을수록 에너지 소비 증가
4) ① 보행(일)=힘 *거리
② 일률=힘*거리/시간
5) PCI=(보행시 심장 박동수-안정시 심장 박동수)/보행 속도
원하는 보행 속도 하에서도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한 보행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
2. 정상 보행
1) 보행에서 에너지 소비가 최소가 되는 속도는 74m/min,78.8m/min이다.
2) 부드러운 흙이 아스팔트 보다는 에너지 소비가 30~40%증가 , 3inch 높이의 구두를 신었을때는 에너지 소비가 10~15%증가 , 1/10경사면을 내려올때는 평지보다 에너지
소비가 25%감소 , 급격한 내리막길은 평지보다 에너지 소비 증가 , 계단을 오를 때 6~12
kcal/min , 내려 올때는 1/3 정도 소모
3. 이상 보행
체간 및 하지의 관절 고정이나 변형성 구축은 보행 장애의 원인이 되어서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1) symes amputation
보행 속도는 정상 보다 34%감소 , 에너지 소비 31%증가
2) B/K amputation
보행 속도는 14~41% 감소 , 에너지 소비 10~33%증가
3) bilateral amputation
보행 속도는 21%감소 , 에너지 소비 41%증가
4) 에너지 소비의 원인
① 보행 속도
② 무거운 의족
③ 신체 중심점이 원위부 위치
④ 의족과 신체의 배열 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