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체역학을 적용한 조정된 동작의 기초적 원리를 열거해 보시오.
2. 대상자 보행을 돕는데 필요한 절차와 주의할 점을 열거해 보시오.
3. 수동적 관절운동의 방법과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4. 대상자 이동시 간호사의 과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방안을 열거해 보시오.
5. 신체활동대상자의 장애를 사정하기 위한 주.객관적인 자료를 설명하시오.
2. 대상자 보행을 돕는데 필요한 절차와 주의할 점을 열거해 보시오.
3. 수동적 관절운동의 방법과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4. 대상자 이동시 간호사의 과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방안을 열거해 보시오.
5. 신체활동대상자의 장애를 사정하기 위한 주.객관적인 자료를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척추기형이다.
③ 균형
환자가 눈을 감은 상태로 앉거나 일어서게 함으로 균형감을 사정 할 수 있다. 정상적 조정력을 가진 사람은 무엇을 하고자 할 때 우물쭈물 하지 않고, 원하는 행동을 빠르게 한다. 또한 단추를 풀기, 또는 종이에 서명하기 등과 같은 간단한 동작을 수행하게 함으로 미세운동기술을 사정 할 수 있다.
④ 걸음걸이
환자가 걷는 것을 관찰한다. 정상적 걸음걸이는 고르고 율동적이다. 머리는 곧게 들여 있고, 무릎과 발은 움직임과 조화롭게 앞뒤로 움직인다. 신체의 무게는 잘 지지된다. 환자의 신의 닳은 양상을 봄으로써 환자의 걸음걸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⑤ 관절구조와 기능
관절의 발적, 부종, 따뜻한 정도를 만져보고, 관찰한다. 관절에 윤활작용이나 보호작용에 문제가 있으면 움직이는 동안에 뼈가 부딪치면서 소리가 날 수 있다. 움직이는 동안 불편함 정도를 사정하기 위해서 얼굴의 표정이나 비언어적 몸짓을 사정한다. 움직이는 동안 관절의강직이 관찰되면, 정상적 관절가동 운동범위를 해보도록 하고, 관절운동시의 저항감의 정도와 불편감의 정도를 평가한다. 또한 환자의 왼쪽과 오른쪽의 신체의 대칭성정도를 사정한다.
⑥ 근육양, 근긴장도, 근력
개인에 따라 근육양, 근긴장도, 근력은 다양하다. 따라서 근력은 환자가 먹고, 입고, 화장실가는 등의 자가간호 행위를 수행하는 환자의 능력을 평가함으로 사정한다. 또한 특정한 근육은 간호사의 손을 쥐어보게 한다던가, 어떤 물건을 밀게 함으로써 사정한다. 팔과 다리의 근육크기는 관찰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질병으로 이환된 다리나 팔의 지름이 줄어든 것은 일반적으로 부동으로 인한 근위축을 의미한다.
⑦ 체위에 따른 혈압의 변화
환자가 안전하게 침상에서 일어나거나 움직일 수 있는 것을 사정하기 위해서, 체위에 따른 혈압을 측정한다. 환자가 앙아위에서 좌위로 체위를 바꾸었을 때, 혈압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것은 낙상의 위험을 제시하는 것이다.
⑧ 낙상의 위험
환자가 침상에서 일어나는 것이 안전한지를 사정한다. 낙상에 대한 위험요소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노령(70세이상)
- 시력장애
- 낙상의 병력
- 어지럽거나 기립성 저혈압, 또는 혼절의 병력
- 혼돈과 같은 인지기능의 장애
- 인지적 능력 또는 균형감과 조절력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이나 알콜의 복용
- 실금
- 근위축 또는 근위약
⑨ 활동내구성
비정상적 반응을 사정하기 위해서 활동전 후, 활동기간 동안을 관찰한다. 활동내구성정도를 사정하는 가장 좋은 지표는 맥박수와 호흡수이다. 맥박과 호흡은 일반적으로 활동과 더불어 증가한다. 안정시 정상범위에 있다가 활동과 더불어 지나치게 빈맥, 빈호흡을 보이거나, 혈압의 하강을 보인다면, 환자는 활동중에 증가되는 신체의 산소요구량을 충족시키기에는 에너지가 적은 것이다. 환자가 오랜 침상안정 후 활동을 하게 될 때 간호사는 맥박과 호흡수, 산소포화도를 운동기간 동안 사정하고, 수치가 처방된 범위를 넘어갈 때는 운동을 중단시킨다. 운동 후 맥박과 호흡수는 3분안에 운동전의 수치로 돌아와야 한다.
③ 균형
환자가 눈을 감은 상태로 앉거나 일어서게 함으로 균형감을 사정 할 수 있다. 정상적 조정력을 가진 사람은 무엇을 하고자 할 때 우물쭈물 하지 않고, 원하는 행동을 빠르게 한다. 또한 단추를 풀기, 또는 종이에 서명하기 등과 같은 간단한 동작을 수행하게 함으로 미세운동기술을 사정 할 수 있다.
④ 걸음걸이
환자가 걷는 것을 관찰한다. 정상적 걸음걸이는 고르고 율동적이다. 머리는 곧게 들여 있고, 무릎과 발은 움직임과 조화롭게 앞뒤로 움직인다. 신체의 무게는 잘 지지된다. 환자의 신의 닳은 양상을 봄으로써 환자의 걸음걸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⑤ 관절구조와 기능
관절의 발적, 부종, 따뜻한 정도를 만져보고, 관찰한다. 관절에 윤활작용이나 보호작용에 문제가 있으면 움직이는 동안에 뼈가 부딪치면서 소리가 날 수 있다. 움직이는 동안 불편함 정도를 사정하기 위해서 얼굴의 표정이나 비언어적 몸짓을 사정한다. 움직이는 동안 관절의강직이 관찰되면, 정상적 관절가동 운동범위를 해보도록 하고, 관절운동시의 저항감의 정도와 불편감의 정도를 평가한다. 또한 환자의 왼쪽과 오른쪽의 신체의 대칭성정도를 사정한다.
⑥ 근육양, 근긴장도, 근력
개인에 따라 근육양, 근긴장도, 근력은 다양하다. 따라서 근력은 환자가 먹고, 입고, 화장실가는 등의 자가간호 행위를 수행하는 환자의 능력을 평가함으로 사정한다. 또한 특정한 근육은 간호사의 손을 쥐어보게 한다던가, 어떤 물건을 밀게 함으로써 사정한다. 팔과 다리의 근육크기는 관찰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질병으로 이환된 다리나 팔의 지름이 줄어든 것은 일반적으로 부동으로 인한 근위축을 의미한다.
⑦ 체위에 따른 혈압의 변화
환자가 안전하게 침상에서 일어나거나 움직일 수 있는 것을 사정하기 위해서, 체위에 따른 혈압을 측정한다. 환자가 앙아위에서 좌위로 체위를 바꾸었을 때, 혈압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것은 낙상의 위험을 제시하는 것이다.
⑧ 낙상의 위험
환자가 침상에서 일어나는 것이 안전한지를 사정한다. 낙상에 대한 위험요소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노령(70세이상)
- 시력장애
- 낙상의 병력
- 어지럽거나 기립성 저혈압, 또는 혼절의 병력
- 혼돈과 같은 인지기능의 장애
- 인지적 능력 또는 균형감과 조절력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이나 알콜의 복용
- 실금
- 근위축 또는 근위약
⑨ 활동내구성
비정상적 반응을 사정하기 위해서 활동전 후, 활동기간 동안을 관찰한다. 활동내구성정도를 사정하는 가장 좋은 지표는 맥박수와 호흡수이다. 맥박과 호흡은 일반적으로 활동과 더불어 증가한다. 안정시 정상범위에 있다가 활동과 더불어 지나치게 빈맥, 빈호흡을 보이거나, 혈압의 하강을 보인다면, 환자는 활동중에 증가되는 신체의 산소요구량을 충족시키기에는 에너지가 적은 것이다. 환자가 오랜 침상안정 후 활동을 하게 될 때 간호사는 맥박과 호흡수, 산소포화도를 운동기간 동안 사정하고, 수치가 처방된 범위를 넘어갈 때는 운동을 중단시킨다. 운동 후 맥박과 호흡수는 3분안에 운동전의 수치로 돌아와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