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연성의 효과
2) 유연성의 종류
3) 스트레칭 운동방법
▒▒▒ 연극 연기 훈련의 방법 ▒▒▒
1. 연극, 연기, 연기자란 무엇인가?
2.극장, 무대에 대한 이해와 기초적인 연기기술
3. 신체훈련 1
4. 신체훈련 2
5. 행동훈련 1 특화
6. 행동훈련 2 화법
7. 정서훈련
8. 장면표현 1
9. 장면표현 2
10. 역할분석과 리허설, 공연
11. 혼자서 할 수 있는 연기 훈련법
▣ 공연전의 훈련과정 ▣
▣ 연출가의 역할 ▣
1) 자세(Body Position)
2) 연기지역(Acting Area)
3) 높이(Levels)
4) 시선의 중심(eye focus)
5) 선 (Lines)
6) 공간 (space)
7) 대조 (contrast)
8) 강화 (reinforcement)
9) 조명 (lighting)
10) 색깔 (color)
11) 대사 (line)
12) 무대 동작(movement)
13) 균형 (balance)
▣ 배우예술의 특성 ▣
2) 유연성의 종류
3) 스트레칭 운동방법
▒▒▒ 연극 연기 훈련의 방법 ▒▒▒
1. 연극, 연기, 연기자란 무엇인가?
2.극장, 무대에 대한 이해와 기초적인 연기기술
3. 신체훈련 1
4. 신체훈련 2
5. 행동훈련 1 특화
6. 행동훈련 2 화법
7. 정서훈련
8. 장면표현 1
9. 장면표현 2
10. 역할분석과 리허설, 공연
11. 혼자서 할 수 있는 연기 훈련법
▣ 공연전의 훈련과정 ▣
▣ 연출가의 역할 ▣
1) 자세(Body Position)
2) 연기지역(Acting Area)
3) 높이(Levels)
4) 시선의 중심(eye focus)
5) 선 (Lines)
6) 공간 (space)
7) 대조 (contrast)
8) 강화 (reinforcement)
9) 조명 (lighting)
10) 색깔 (color)
11) 대사 (line)
12) 무대 동작(movement)
13) 균형 (balance)
▣ 배우예술의 특성 ▣
본문내용
서로 동일한 무게를 지니는 듯한 느낌을 갖게 만드는 것이 바로 이 심미적 또는 심리적 균형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극중에서 주역이 비중이 그보다 가벼운 여러 인물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더 큰 무게를 갖게 되는 경우가 있다. 서 있는 인물은 앉아 있는 여러명의 인물과 균형을 이루는 듯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말하는 인물은 듣고 있는 인물보다 무게가 있다. 무대 장치에 의해 강화되는 인물은 반대쪽의 많은 군중과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강한 움직임과 밝은 색깔을 사용하면 많은 군중과 균형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연극의 각 장면간의 균형에 대해 한 미디 하자면 어느 특정 장면을 위해서 무대의 한 지역만을 사용할 경우 그 지역이 무대 구성상으로 균형을 이룬다면 관객들은 무대의 나머지 빈 공간을 잊어버리게 된다.
지금까지 우리는 무대 동작을 의미 있게(meaningful), 기능적으로(funtional) 그리고 예술적으로(astistic)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이제부터는 연출가가 연극의 동작선을 어떻게 사전에 구상하는가에 대해 알아보자.
동작선을 긋는 작업을 시작 하기전에 연출가는 무대 장치의 평면도 (ground plan 혹은 floor plan)를 작성하고 가구가 있을 위치를 정해야 한다. 가구를 어떤 식으로 배치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연기지역이 생겨난다. 중요한 출구 및 입구는 등퇴장에 장애가 없도록 주위 공간을 확보해 두어야 할 것이다. 배우들이 무대에서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함과 동시에 무대가 텅 비어 보이는 효과를 의도적으로 노리지 않는 한 무대가 너무 텅빈 듯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가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런 후 연출가는 대본을 장면별로 검토해 나가면서 연출대본의 여백에 각 인물들의 주요한 기본 움직임을 표시하게 된다. 대개의 경우 극적으로 고조되는 (climactic) 장면의 동작선을 먼저 결정함으로써 그 장면 이전에 일어나는 중요도가 조금 덜한 장면에서 극적으로 고조되는 장면이 되풀이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출가는 장기알이나 단추 혹은 골프채 손잡이 두껑(inverted golf tees)으로 극중 인물을 표시하여 커다란 무대 평면도 위에서 직접 움직여 봄으로써 동작선을 구상하기도 한다. 효과적인 동작선이 생각나면 연출대본에 이를 표시하는데 연출 대본 여백에 조그만 무대 평면도를 대략 그려 놓고 그위에 가구의 위치를 표시한 다음 색깔이 다른 색연필을 사용하여 각 인물의 위치를 표시하고 번호를 부친다. 새로운 움직임을 표시하기 위해 대개 화살표를 그려둔다. 각 인물들의 움직임에 번호를 부치고 대본에서 그 움직임이 일어나는 대사의 정확한 위치에 같은 번호를 적어 놓는다. 연출가에 따라서 그 나름의 표기 방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연출가는 점이나 X표로 인물을 표시하고 다른 연출가는 막대기 모양으로 인물을 그려 넣어 그 인물의 자세나 움직임이 시각적으로 분명히 드러나도록 표시하기도 한다. 연출가에 따라서 표시 방법이 다양하나 막대 모양으로 인물을 표시하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인물이 서 있다가 앉아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인물이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다는 것도 표시할 수 있어서 편리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 배우예술의 특성 ▣
1. 특성
1)표현매체가 자신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 배우위 2중성
2)동시성 -만들어진 것과 동시에 과거화 (관객과의 만남)
3)현장성 - 직접적이고 강력한 호소력을 지닌다.
2. 훈련 : 육체적, 정신적 훈련을 병행해야 하며, 일상생활에서 습관화 되야 한다.
1) 육체와 소리에 대한 훈련
육체 - 율동. 체조. 발레. 한 국무용 펜싱 수영 기계체조등
소리 - 성악. 웅변. 호흡등
2) 정신적훈련
observation(관찰) - 일상생활에서의 경험과 정서적 반응을 기억, 재연
imagination (상상력) - 자기표현에서의 상상력개발
concentration(집중력) - 표현에 있어서의 집중과 인물 수행의 지속
3) 기술연마 - 무대와 연관되는 것에 대한 이해 속에서 할 일을 찾아본 다.
4) 연기방법론 터득
동양 : 외형적 표현기술을 습득한 후 emotion을 갖는다.
서양 : 내적인 emotion의 반응으로부터 어떻게 자연스러운 육체의 행동으로 표현할 것인가?
3.배역의 창조
1) 인물의 분석
. 전체연극이 추구하는 목표중 자 신의 위치파악이 중요
. 작가가 제시한 신체적 여건에 대 한 표현의 방법
. 매 scen 의 목표를 객관적으로 분석
. 인물들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상호 관계속에서 위치 파악
. 연극의 style, structure 와 연관시켜 생각 한다.
2) 심리적(정서적)준비상태
. 즉흥극 : 보편적 방법 유사한 환 경 속에서 적응훈련
. 유사한 상황 : 유사한 정서의 기억을 환기
. 밖으로부터의 접근 : 신체의 동 작을 통해 심리적 적응 상태를 갖도록 함.
외적인 의상 소품 분당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음
('Building a character' - '배우의 성격구축' 스타니슬라브스키)
3) 움직임의 이해 - Movement, Business, Gesture
. 배우스스로 창조 : 연출가는 확 인 보충 정리
Movement : 정서적인 반응이나 지적인 요 구에 의해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움 직이는 것 (공간이동)
Gesture : 공간이동을 포함하지 않는 배우 자체의 짓거리
. 이야기를 전달시키기 위해
. 인물에 대한 시각적인 도움을 준 다.
. 극적인 동기와 그것에 대한 태도를 보여준다.
. 정서 반응으로서의 표현
. 연극양식(style) 또는 분위기(mood)와 연관되어짐
. 때로는 기능적인 필요에 의해 이 루어 질 때도 있음
4) 음성연기
. 연극 전체를 파악하고 적합한 대 사 연구
. 볼륨, 음색, 핏치의 연구
5) 대사의 암기
. 동작과 대사를 동시에 암기
. 다른 사람의 대사와 연관해 암기
6) ensemble
. 창조적을 공헌하는 입장이 되어 야 함 (주장하는 입장이 아님)
. 작업의 방향 요령 기술에 대한 이 해
. 집중
. 주위 조건에 적응 (분장, 소품, 조명 등)
. 공연
연극의 각 장면간의 균형에 대해 한 미디 하자면 어느 특정 장면을 위해서 무대의 한 지역만을 사용할 경우 그 지역이 무대 구성상으로 균형을 이룬다면 관객들은 무대의 나머지 빈 공간을 잊어버리게 된다.
지금까지 우리는 무대 동작을 의미 있게(meaningful), 기능적으로(funtional) 그리고 예술적으로(astistic)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이제부터는 연출가가 연극의 동작선을 어떻게 사전에 구상하는가에 대해 알아보자.
동작선을 긋는 작업을 시작 하기전에 연출가는 무대 장치의 평면도 (ground plan 혹은 floor plan)를 작성하고 가구가 있을 위치를 정해야 한다. 가구를 어떤 식으로 배치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연기지역이 생겨난다. 중요한 출구 및 입구는 등퇴장에 장애가 없도록 주위 공간을 확보해 두어야 할 것이다. 배우들이 무대에서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함과 동시에 무대가 텅 비어 보이는 효과를 의도적으로 노리지 않는 한 무대가 너무 텅빈 듯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가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런 후 연출가는 대본을 장면별로 검토해 나가면서 연출대본의 여백에 각 인물들의 주요한 기본 움직임을 표시하게 된다. 대개의 경우 극적으로 고조되는 (climactic) 장면의 동작선을 먼저 결정함으로써 그 장면 이전에 일어나는 중요도가 조금 덜한 장면에서 극적으로 고조되는 장면이 되풀이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출가는 장기알이나 단추 혹은 골프채 손잡이 두껑(inverted golf tees)으로 극중 인물을 표시하여 커다란 무대 평면도 위에서 직접 움직여 봄으로써 동작선을 구상하기도 한다. 효과적인 동작선이 생각나면 연출대본에 이를 표시하는데 연출 대본 여백에 조그만 무대 평면도를 대략 그려 놓고 그위에 가구의 위치를 표시한 다음 색깔이 다른 색연필을 사용하여 각 인물의 위치를 표시하고 번호를 부친다. 새로운 움직임을 표시하기 위해 대개 화살표를 그려둔다. 각 인물들의 움직임에 번호를 부치고 대본에서 그 움직임이 일어나는 대사의 정확한 위치에 같은 번호를 적어 놓는다. 연출가에 따라서 그 나름의 표기 방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연출가는 점이나 X표로 인물을 표시하고 다른 연출가는 막대기 모양으로 인물을 그려 넣어 그 인물의 자세나 움직임이 시각적으로 분명히 드러나도록 표시하기도 한다. 연출가에 따라서 표시 방법이 다양하나 막대 모양으로 인물을 표시하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인물이 서 있다가 앉아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인물이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다는 것도 표시할 수 있어서 편리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 배우예술의 특성 ▣
1. 특성
1)표현매체가 자신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 배우위 2중성
2)동시성 -만들어진 것과 동시에 과거화 (관객과의 만남)
3)현장성 - 직접적이고 강력한 호소력을 지닌다.
2. 훈련 : 육체적, 정신적 훈련을 병행해야 하며, 일상생활에서 습관화 되야 한다.
1) 육체와 소리에 대한 훈련
육체 - 율동. 체조. 발레. 한 국무용 펜싱 수영 기계체조등
소리 - 성악. 웅변. 호흡등
2) 정신적훈련
observation(관찰) - 일상생활에서의 경험과 정서적 반응을 기억, 재연
imagination (상상력) - 자기표현에서의 상상력개발
concentration(집중력) - 표현에 있어서의 집중과 인물 수행의 지속
3) 기술연마 - 무대와 연관되는 것에 대한 이해 속에서 할 일을 찾아본 다.
4) 연기방법론 터득
동양 : 외형적 표현기술을 습득한 후 emotion을 갖는다.
서양 : 내적인 emotion의 반응으로부터 어떻게 자연스러운 육체의 행동으로 표현할 것인가?
3.배역의 창조
1) 인물의 분석
. 전체연극이 추구하는 목표중 자 신의 위치파악이 중요
. 작가가 제시한 신체적 여건에 대 한 표현의 방법
. 매 scen 의 목표를 객관적으로 분석
. 인물들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상호 관계속에서 위치 파악
. 연극의 style, structure 와 연관시켜 생각 한다.
2) 심리적(정서적)준비상태
. 즉흥극 : 보편적 방법 유사한 환 경 속에서 적응훈련
. 유사한 상황 : 유사한 정서의 기억을 환기
. 밖으로부터의 접근 : 신체의 동 작을 통해 심리적 적응 상태를 갖도록 함.
외적인 의상 소품 분당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음
('Building a character' - '배우의 성격구축' 스타니슬라브스키)
3) 움직임의 이해 - Movement, Business, Gesture
. 배우스스로 창조 : 연출가는 확 인 보충 정리
Movement : 정서적인 반응이나 지적인 요 구에 의해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움 직이는 것 (공간이동)
Gesture : 공간이동을 포함하지 않는 배우 자체의 짓거리
. 이야기를 전달시키기 위해
. 인물에 대한 시각적인 도움을 준 다.
. 극적인 동기와 그것에 대한 태도를 보여준다.
. 정서 반응으로서의 표현
. 연극양식(style) 또는 분위기(mood)와 연관되어짐
. 때로는 기능적인 필요에 의해 이 루어 질 때도 있음
4) 음성연기
. 연극 전체를 파악하고 적합한 대 사 연구
. 볼륨, 음색, 핏치의 연구
5) 대사의 암기
. 동작과 대사를 동시에 암기
. 다른 사람의 대사와 연관해 암기
6) ensemble
. 창조적을 공헌하는 입장이 되어 야 함 (주장하는 입장이 아님)
. 작업의 방향 요령 기술에 대한 이 해
. 집중
. 주위 조건에 적응 (분장, 소품, 조명 등)
. 공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