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감염기전
2. 신체방어기전
2. 신체방어기전
본문내용
유래되는 백혈구로서 성숙된 후 골수를 떠난다. B-림프구는 체내에 들어온 수용성 항원과 결합한다. 즉 침입한 이물질이 단백질과 같은 분자라면 B-림프구가 결합하게 된다. 이때 B-림프구의 막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특정한 수용체와 결합하는 항원 부위를 항원결정기라고 한다. 항원과 결합한 B-림프구는 유사분열을 반복하여 동일한 특이성을 갖는 클론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들 클론 중 일부의 세포들이 형질세포로 분화된다. 형질세포는 세포질 내에 많은 조면소포체를 갖고 있으며 항원에 대한 수용체, 즉 항체를 합성하여 방출한다. 분비된 항체는 항원과 결합하여 항원을 무력화시키는 면역반응을 수행한다.
2. T-림프구(T-lymphocyte, T-cell)
T-림프구도 골수에서 유래된다. 그러나 B-림프구와는 달리 성숙되기 전에 골수를 떠나 가슴샘으로 이동한다. 이곳에서 성숙과정을 마치고 T-림프구가 되는 것이다. T-림프구도 B-림프구와 마찬가지로 세포의 표면이 항원에 대한 수용체로 덮혀있지만 그 성질이 약간 다르다. B-림프구가 수용성 항원과 결합하는 반면에 T-림프구는 침입한 이물질이 세포일 경우, 세포의 막에 존재하는 항원결정기를 인식하고 이것과 결합하게 된다. 또 한가지 특이한 것은 T-림프구가 결합하는 항원부위는 복합적이다. 즉 침입한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모자이크와 같은 여러 개의 항원조각들이 함께 어우러져 T-림프구와 결합한다. 즉 박테리아와 같은 세포성 이물질이 침입하였을 경우에는 B-림프구가 출동하는 것이 아니고, T-림프구가 접근하여 박테리아의 세포막 표면에 있는 비자기성분과 결합하는 것이다.
2. T-림프구(T-lymphocyte, T-cell)
T-림프구도 골수에서 유래된다. 그러나 B-림프구와는 달리 성숙되기 전에 골수를 떠나 가슴샘으로 이동한다. 이곳에서 성숙과정을 마치고 T-림프구가 되는 것이다. T-림프구도 B-림프구와 마찬가지로 세포의 표면이 항원에 대한 수용체로 덮혀있지만 그 성질이 약간 다르다. B-림프구가 수용성 항원과 결합하는 반면에 T-림프구는 침입한 이물질이 세포일 경우, 세포의 막에 존재하는 항원결정기를 인식하고 이것과 결합하게 된다. 또 한가지 특이한 것은 T-림프구가 결합하는 항원부위는 복합적이다. 즉 침입한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모자이크와 같은 여러 개의 항원조각들이 함께 어우러져 T-림프구와 결합한다. 즉 박테리아와 같은 세포성 이물질이 침입하였을 경우에는 B-림프구가 출동하는 것이 아니고, T-림프구가 접근하여 박테리아의 세포막 표면에 있는 비자기성분과 결합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감염 예방과 통제
감염 및 호흡기 질환과 영양
창상 감염 관리
감염성 질환 (Infectious Diseases)
병원감염관리
병원감염의 관리
임질 및 요로감염
아동간호학_소아과_요로감염_UTI_case
감염성 질환(Infectious Diseases)의 분류, 감염진로, 증상 및 진단.
정신간호 - Chater 29. 신체형·해리성·허위성 장애
5.산욕기 간호 - 산욕기의 신체적 회복 & 간호문제별 산욕간호 & 어머니의 사회 심리...
[폐결핵, 폐결핵 개념과 특성, 폐결핵 감염, 폐결핵 증상, 폐결핵 전파경로, 폐결핵 진단, 치...
[병리, 소화기관, 심혈관계질환, 간내결석증, CHV(개허피스바이러스)감염증]소화기관의 병리,...
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의 단계, 감염에 따른 분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