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학과 양명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주희(1130~1200)의 생애
2. 주자의 제자들
3. 주자학의 발전
4. 양명 왕수인(1472~1529)의 생애
5. 양명학의 분열
6. 조선에서의 주자학과 양명학 수용

본문내용

량으로 반입하여 이제현(1287~1367), 박충좌(1287~1394)등의 자신의 문인들에게 전하였다.
우탁(1263~1342)은 ‘정이’의 <역전>이 들어왔을 때, 그 누구도 이해하지를 못하였으나 보름의 연구 끝에 스스로 깨우쳐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경지에 다다랐다고 한다. 그는 경사와 역학의 대가였다고 전해진다.
이제현(안향의 제자인 권보의 사위)에 이르러서 ‘국가 체제의 이념’이 장착되고 그의 문인 이색을 필두로 이후 이숭인, 정몽주, 길재, 정도전, 권근 등이 주자학을 익히면서 당시 통치술의 학문적, 사상적 배경이 된다. 이후 조선 500년의 주자학기득권시기의 서막이 오른다.
이에 반하여 일본에도 말기 지식인층에 퍼져 “메이지유신”의 정신적 토대가 된 “양명학”이 유독 조선에서 영향력이 없었음은 조선의 주자학에 대한 학문적 풍토가 ‘폐쇄적이며 다양성을 인정하지 못하는 풍조’였음을 반증한다 하겠다.
근래에는 양명학의 전파 시기가 박상(1474~1530)의 <눌재집>과 박세필(1473~1533)의 <십청헌집>을 근거로 ‘1521년(중종 16년)이전 설’이 힘을 얻고 있다.
<동양근세사 레포트>
주자학과 양명학
200615314
사회교육학부
김슬기

키워드

  • 가격6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5.05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6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