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희(1130~1200)의 생애
2. 주자의 제자들
3. 주자학의 발전
4. 양명 왕수인(1472~1529)의 생애
5. 양명학의 분열
6. 조선에서의 주자학과 양명학 수용
2. 주자의 제자들
3. 주자학의 발전
4. 양명 왕수인(1472~1529)의 생애
5. 양명학의 분열
6. 조선에서의 주자학과 양명학 수용
본문내용
량으로 반입하여 이제현(1287~1367), 박충좌(1287~1394)등의 자신의 문인들에게 전하였다.
우탁(1263~1342)은 ‘정이’의 <역전>이 들어왔을 때, 그 누구도 이해하지를 못하였으나 보름의 연구 끝에 스스로 깨우쳐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경지에 다다랐다고 한다. 그는 경사와 역학의 대가였다고 전해진다.
이제현(안향의 제자인 권보의 사위)에 이르러서 ‘국가 체제의 이념’이 장착되고 그의 문인 이색을 필두로 이후 이숭인, 정몽주, 길재, 정도전, 권근 등이 주자학을 익히면서 당시 통치술의 학문적, 사상적 배경이 된다. 이후 조선 500년의 주자학기득권시기의 서막이 오른다.
이에 반하여 일본에도 말기 지식인층에 퍼져 “메이지유신”의 정신적 토대가 된 “양명학”이 유독 조선에서 영향력이 없었음은 조선의 주자학에 대한 학문적 풍토가 ‘폐쇄적이며 다양성을 인정하지 못하는 풍조’였음을 반증한다 하겠다.
근래에는 양명학의 전파 시기가 박상(1474~1530)의 <눌재집>과 박세필(1473~1533)의 <십청헌집>을 근거로 ‘1521년(중종 16년)이전 설’이 힘을 얻고 있다.
<동양근세사 레포트>
주자학과 양명학
200615314
사회교육학부
김슬기
우탁(1263~1342)은 ‘정이’의 <역전>이 들어왔을 때, 그 누구도 이해하지를 못하였으나 보름의 연구 끝에 스스로 깨우쳐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경지에 다다랐다고 한다. 그는 경사와 역학의 대가였다고 전해진다.
이제현(안향의 제자인 권보의 사위)에 이르러서 ‘국가 체제의 이념’이 장착되고 그의 문인 이색을 필두로 이후 이숭인, 정몽주, 길재, 정도전, 권근 등이 주자학을 익히면서 당시 통치술의 학문적, 사상적 배경이 된다. 이후 조선 500년의 주자학기득권시기의 서막이 오른다.
이에 반하여 일본에도 말기 지식인층에 퍼져 “메이지유신”의 정신적 토대가 된 “양명학”이 유독 조선에서 영향력이 없었음은 조선의 주자학에 대한 학문적 풍토가 ‘폐쇄적이며 다양성을 인정하지 못하는 풍조’였음을 반증한다 하겠다.
근래에는 양명학의 전파 시기가 박상(1474~1530)의 <눌재집>과 박세필(1473~1533)의 <십청헌집>을 근거로 ‘1521년(중종 16년)이전 설’이 힘을 얻고 있다.
<동양근세사 레포트>
주자학과 양명학
200615314
사회교육학부
김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