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송의 유학 사상 - 주자학, 성리학
1)주자학(朱子學)
2)성리학(性理學)과 성학(聖學)
2.명대의 유학 - 양명학(陽明學)
3.주자학과 양명학의 비교
1)대학의 격물치지에 관한 주자와 왕양명의 해석
2)주자의 성즉리설과 왕양명의 심즉리
3)지(知)와 행(行)의 관계에 대해 주자와 왕양명의 차이
4)주자학과 양명학의 차이점
1)주자학(朱子學)
2)성리학(性理學)과 성학(聖學)
2.명대의 유학 - 양명학(陽明學)
3.주자학과 양명학의 비교
1)대학의 격물치지에 관한 주자와 왕양명의 해석
2)주자의 성즉리설과 왕양명의 심즉리
3)지(知)와 행(行)의 관계에 대해 주자와 왕양명의 차이
4)주자학과 양명학의 차이점
본문내용
마음과 상관 관계를 통하여 드러나는 것이지, 마음을 떠나 따로 어떤 사물이나 이치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하였다. 다시 말해 주자가 모든 것을 존재하는 까닭으로서의 원리가 먼저 존재한다고 본 데 반해, 왕양명은 마음이 곧 이치라고 보았다.
3)지(知)와 행(行)의 관계에 대해 주자와 왕양명의 차이
주자 - 이(理)의 파악없이 도덕적 실천 불가능 → 선지 후행(先知 後行)
왕양명 - 타고난 앎을 근거로 양심에 대한 자각과 실천 강조 (知行合一) → 지행의 선후 관계 불인정
4)주자학과 양명학의 차이점
-주자학(성리학)
o. 성즉리(性卽理)설
o. 인간의 본성(本性) 중시
o. 마음(心)과 이(理)를 분리시킴
o. 비교적 사물의 객관적 심(心)의 측면 중시
o. 경험적, 귀납적 방법 - 도덕적 실천과 함께 이론적 탐구로서 지식의 확충 주장-
격물치지(格物致知) - 궁리(窮理)
o. 선지(先知)후행(後行)
-양명학
o. 심즉리(心卽理)설
o. 본래 타고난 인간의 마음(心) 중시
o. 비교적 사물의 주관적 심(心)의 측면 중시
o. 직관적, 주관적 방법 - 객관적 지식보다 내면의 순수한 도덕성을 확충할 것 주장
o. 지행합일(知行合一)설 주장
3)지(知)와 행(行)의 관계에 대해 주자와 왕양명의 차이
주자 - 이(理)의 파악없이 도덕적 실천 불가능 → 선지 후행(先知 後行)
왕양명 - 타고난 앎을 근거로 양심에 대한 자각과 실천 강조 (知行合一) → 지행의 선후 관계 불인정
4)주자학과 양명학의 차이점
-주자학(성리학)
o. 성즉리(性卽理)설
o. 인간의 본성(本性) 중시
o. 마음(心)과 이(理)를 분리시킴
o. 비교적 사물의 객관적 심(心)의 측면 중시
o. 경험적, 귀납적 방법 - 도덕적 실천과 함께 이론적 탐구로서 지식의 확충 주장-
격물치지(格物致知) - 궁리(窮理)
o. 선지(先知)후행(後行)
-양명학
o. 심즉리(心卽理)설
o. 본래 타고난 인간의 마음(心) 중시
o. 비교적 사물의 주관적 심(心)의 측면 중시
o. 직관적, 주관적 방법 - 객관적 지식보다 내면의 순수한 도덕성을 확충할 것 주장
o. 지행합일(知行合一)설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