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학생은 인간의 원죄를 배격하면서 학생이란 창조자의 형상이면서도 진화의 산물이며 살아있는 유기적 존재로 이해한다. 다섯째, 사회적 환경인데, 사회적 유산과 사회적 분위기 창조야말로 사회화를 가능케하는 교육의 자리라고 믿었다. 결국 교육은 하나님의 민주주의에 참여하도록 경험과 실험에 초청하는 행위라고 본 것이다. 2. 기독교교육학파/ 신정통주의 신학의 등장으로 자유주의 신학이 그 신학적 근거를 잃게 되면서 종교교육학파도 심각한 도전을 받게 되었다. 1941년 H. S. Smith가 신앙과 양육이라는 책을 출판하면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다. 1940년대 이후 기독교교육 운동은 학문적 황금시대를 구가하면서 크게 네 가지 흐름을 형성하면서 발전해갔다. 첫째는 R. Miller를 중심한 , 관례론적 기독교교육이다. 둘째는 J. Smart를 중심한 말씀의 기독교교육이다. 셋째는 L. Sherrill을 중심한 만남과 대화의 기독교교육이다. 그리고 넷째는 그라임스를 중심한 교회교육론이다. 이 학파의 중심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목적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참여된 인격적 관계로서의 계시적 경험에 있었으며, 이는 교회와 그 안에서의 하나님과의 만남, 인격적 성장, 지적 성숙,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으로의 헌신 등으로 나타나게 한다. 둘째, 내용은 만남, 말씀, 관계, 대화로써 표현되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이며 그 관계는 성서를 통하여 증언되고 또 경험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성서가 주된 교육내용이 된다. 셋째, 교사는 계시적 행위와 인간의 응답이라는 이 만남 사건의 증진자요 참여자이다. 넷째, 방법은 계시의 선행성에 이어 교회 사역에 뿌리를 둔 교육방법이 시도된다. 3. 현대 다양한 학문적 시도들 1960년대 Missio Dei 신학의 등장과 L. Russell에 의해 Christian Education in Mission 이라는 책을 통해 선교론적 교육론이 시도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와 다양한 기독교교육의 학문적 흐름이 하나의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것을 다섯가지 메타포를 중심으로 정리할 있다. 1) 종교교수(Religious Instruction)/ 여기서 종교교수란 S. Little에 의해서 사람들이 그들을 위한 복음의 진리를 이해하고 평가하고 그럼으로써 응답하는 어떤 방법 안에서 교회의 존통과 자기 이해를 탐구해 가는 과정이라고 정의된다. 2) 신앙공동체/ 웨스토호프, 넬슨 등에 의해 주되된 흐름으로 신앙 공동체가 그들의 신앙과 삶의 양식을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수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3) 발달/ J. Fowler에 의해 주도된 흐름으로 성숙한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기 위해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신앙 전통 안에 참여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것은 발달의 개념을 성장의 개인의 사적인 과정을 넘어 개인과 공동체 사이의 역동적 상호작용까지 확대되어 이해하고자 한다. 4) 해방/ P. Freire에 의해 주되된 흐름으로 바람직한 삶의 양식 즉 세계를 변형시키고 인간화시키기 위한 노력에의 급진적 참여에 관한 새로운 기독교 의식을 구체화하는 것을 말한다. 5) 해석/ T. Groome에 의해 주도된 흐름으로 하나님의 계시의 빛 안에서 의미를 찾고 그의미를 따라 충실히 살아가게 사람들을 돕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신앙의 이야기와 경험을 연결시키는 것이 요점이다. 1990년대 이후 최근에는 소위 실천신학 운동과 맞물린 기독교교육의 학문적 재정립과 실천신학으로서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시도들이 모색되고 있다. 즉 교회 사역 전체의 시각에서 교육을 시도하는 다시 말해서 교육목회라는 관점에서 기독교교육이 새롭게 논의되고 있다.
추천자료
기독교의 이해 “기독교와 대중문화”
기독교와현대사회, 기현사, 기독교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
한국 기독교 문제로 인한 반 기독교 운동에 관한 연구
기독교의 종교관 및 생사관 그리고 이 종교에 관한 나의 견해 - 기독교의 종교관, 생사관
기독교교육학개론 - 기독교 가정교육
[기독교교육론] 기독교교육의 방법과 원리 (교수와 경험의 관계, 교수원리, 효율적인 교수에 ...
[기독교교육론] 기독교교육의 목표론 (목표의 필요성, 목표의 성격과 기능, 그리스도인 교사...
[기독교심리]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에 대해
[기독교와 심리치료] 현실요법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현실요법의 철학적 전제, 심리치료모델...
[기독교와 심리치료] 책임성 있는 절충주의 - 기독교상담사들이 선택할 수 있는 접근모델에 ...
[기독교와 심리치료] 기독교상담사의 상담직업에 대한 소명
[기독교와 심리치료] 기독교와 심리치료의 통합 작업에 대한 비평과 그에 대한 입장(반론)
[기독교와 심리치료] 행동주의 심리학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행동치료, 합리정서치료, 인지행...
[기독교와 심리치료] 고전적 정신분석학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 - 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건...